갈스만 제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국가 정보 양식2
{{국가 정보 양식2
| 틀 너비 = 10
| 틀 너비 = 620px
| 글씨 크기 =  
| 글씨 크기 = 10.5pt
| 테두리 크기 =
| 테두리 크기 = 2px
| 테두리 색 =
| 테두리 색 = #
| 틀 끝색 =
| 틀 끝색 = #FF0000
| 틀 중간색 =
| 틀 중간색 = #D83D3D
| 틀 글씨색 =
| 틀 글씨색 = #fff
| 국가 명칭 = 갈스만 제국
| 국가 명칭 = [[파일:오스만국장.png|25px]]<br>가장 숭고한 갈스만 제국
| 기타 명칭 = Galsman Imparatorluğu I Galsman Empire
| 기타 명칭 = The most sublime Galzmán Empire
| 국기 =  
| 국기 = 1280px-Flag of the Ottoman Empire (1844–1922).svg.png
| 국기 크기 =  
| 국기 크기 = 170px
| 국장 =  
| 국장 = 오스만국장.png
| 국장 크기 =
| 국장 크기 = 120px
| 범례색 =  
| 범례색 = #C91F1F
| 범례 글씨색 =  
| 범례 글씨색 = #fff


| 표어 배경색 =
| 표어 배경색 = #fff
| 표어 글씨색 =
| 표어 글씨색 = #C41818
| 표어 = 불멸의 나라
| 표어 = '''Devlet-i Ebed Müddet'''
| 원어표어 글씨색 =  
| 원어표어 글씨색 = #D83D3D
| 원어표어 = ölümsüz ülke
| 원어표어 = '''불멸의 나라'''


| 국가 = 갈니치예 행진곡
| 국가 = '''미정'''
| 국화 = 장미
| 국화 =
| 국수 = 고양이
| 국수 = '''늑대'''
| 국목 = 사이프러스 나무
| 국목 =
| 국조 = 칠면조
| 국조 = '''칠면조'''


| 역사 =  
| 역사 = '''갈비 왕국 건국''' 0년<br>'''갈스만 술탄국 선포''' 145년<br>'''1차 지하드''' 206년<br>'''2차 지하드''' 302년<br>'''이슬람 정벌''' 352년<br>'''가장 숭고한 갈스만 제국 선포''' 360년<br>


| 수도 = 갈스탄티니예
| 수도 = 가지안테프
| 최대도시 = 갈스탄티니예
| 최대도시 = 바그다드
| 면적 =  
| 면적 = 15,000,000km²
| 내수면 비율 =
| 내수면 비율 =  
| 접경국 = 메오 제국, 탈루안 공화국, 루타르 공화국, 디세르트 공국
| 접경국 = 카본, 연노국
| 인접국 =  
| 인접국 =  


| 행정구역 명칭1 = 3개 구
| 행정구역 명칭1 = 갈스만
| 행정구역1 = 가루비구, 쿠비쿠구, 코비코구
| 행정구역1 = 22개 구
| 행정구역 명칭2 = 2개 로드
| 행정구역 명칭2 = 아흐란
| 행정구역2 = 커비로드, 카비로드
| 행정구역2 = 4개 구
| 행정구역 명칭3 = 1개 도
| 행정구역 명칭3 =  
| 행정구역3 = 그라우스도
| 행정구역3 =  
| 행정구역 명칭4 =
| 행정구역 명칭4 =  
| 행정구역4 =
| 행정구역4 =  
| 행정구역 명칭5 =
| 행정구역 명칭5 =
| 행정구역5 =
| 행정구역5 =
50번째 줄: 50번째 줄:
| 행정구역6 =  
| 행정구역6 =  


| 인구 = 갈스만인
| 인구 = 30,000,000명
| 총 인구 = 3억 8000만 명
| 인종 구성 = 아시아인 94%, 백인 5%, 기타 1%
| 민족 구성 = 갈스만인 98%, 그라우스인 2%
| 민족 구성 =
| 인구밀도 = 515.2명/km²
| 인구밀도 = 2명/km²
| 출생아 수 =
| 출생아 수 =
| 출산율 =
| 출산율 = 2.0명
| 평균 수명 =
| 평균 수명 =
| 기대 수명 =
| 기대 수명 =  
| 공용어 = 갈스만어
| 공용어 =  
| 모국어 = 갈스만어
| 모국어 =
| 국민어 = 갈스만어
| 국민어 = 갈비어
| 지역어 = 그라우스어
| 지역어 =
| 공용 문자 = 갈스만어
| 공용 문자 = 갈비어
| 국교 = 갈슬람교
| 국교 = '''갈슬람'''
| 종교 분포 = 갈슬람교 87%, 그리스도교 9%(개신교 5%, 가톨릭 4%), 기타 3%, 무교 1%
| 종교 분포 = 갈슬람 78%<br>이슬람 7%<br>조로아스터교 4%<br>기타 1%
| 자국군 = 갈스만 제국군
| 자국군 = 갈스만 제국군
| 주둔군 = 없음
| 주둔군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 정치체제 = 전제군주제
| 민주주의 지수 =
| 민주주의 지수 =  
| 국가원수 명칭 = 술탄
| 국가원수 명칭 =  
| 국가원수 = 갈흐메트 3세
| 국가원수 =  
| 국가요인 명칭1 = 총리
| 국가요인 명칭1 =  
| 국가요인1 = 갈바에트
| 국가요인1 =  
| 국가요인 명칭2 =
| 국가요인 명칭2 =
| 국가요인2 =
| 국가요인2 =
88번째 줄: 88번째 줄:
| 국가요인 명칭8 =
| 국가요인 명칭8 =
| 국가요인8 =
| 국가요인8 =
| 여당 =
| 여당 =  
| 연립여당 =  
| 연립여당 =  


| 경제체제 = 자유경제
| ID-1 = 1
| 전체 GDP =
| ID-2 = 2
| 1인당 GDP =
| ID-3 = 3
| 전체 GDP(PPP) =
| ID-4 = 4
| 1인당 GDP(PPP)=
| ID-5 = 5
| 국부 = 15,700,000$
| ID-6 = 6
| 수출 =
| ID-7 = 7
| 수입 =
| ID-8 = 8
| 신용등급 = B
}}
| 화폐 = 갈스만 디르함
| 화폐번호 = GDR
| 세입 =
| 세출 =
| 외환보유액 =
| 지니 계수 =


| 법정연호 = 율리우스력
{{목차}}
| 시간대 = +02:00
==개요==
| 도량형 =  
'''가장 숭고한 갈스만 제국'''은 오스만 제국을 기반으로 한 가상국가다.
| 운전석 =


| 동맹 가입 여부 = 협상국
==역사==
| 기타 기구 가입 여부 = WLPO
===갈비 왕국(0 ~ 145)===
| 수교국 = 협상국 전체
갈스만 1세가 갈파쿠타푸에 정착하며 갈비 왕국을 건국하였다. 이후 주변에 접경한 이슬람 국가들을 지하드로 정벌하며 세력을 키웠다. 이 과정에서 큰 손실을 입게 되지만, 광활한 영토를 얻게 된다. 이때 같은 갈슬람 국가인 아흐란 후국과 동맹을 맺었다. 여러 전쟁을 거치다, 이슬람의 성지인 바그다들 점령하며 이슬람 정벌을 마치게 된다.
===갈스만 술탄국(145 ~ 352)===
갈라트 1세가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자신을 파디샤와 술탄으로 자칭하며 갈스만 술탄국으로 국명을 바꿨다. 이 시기에 갈스만이 아흐란 후국과 같이 기독교 국가를 침공하자, 쾨르센이 함선으로 항구를 타격하며 보복했다. 이에 갈스만은 쾨르센에 대한 보복을 하기 위해 당시 강대국이었던 파르티아를 침공했으나, 압도적인 전력차로 인해 처참한 피해를 입고 퇴각한다. 이후 파르티아의 황제가 죽고 파르티아에서 내전이 일어나자, 파르티아를 침공하였다. 하지만 남쪽의 파르티아가 아흐란 왕국과 손을 잡자, 종전한다. 기독교 세력이라는 큰 적에 대항하기 위해 갈스만은 아흐란과 파르티아와 동맹을 맺는다. 아흐란 후국은 갈스만에 의해 합병당하게 된다.
===1차 지하드(206 ~ 210), 2차 지하드(302~305)===
쾨르센-갈스만 전쟁 참고.
===가장 숭고한 갈스만 제국(360 ~)===
갈스만이 아무도 예상치 못한 기습 공격으로 동맹국이었던 모든 이슬람 국가를 정벌하고, 메흐메트 2세가 자신을 황제라 칭하며 가장 숭고한 갈스만 제국으로 국명을 바꿨다. 이후 쾨르센과 지속적인 군비경쟁을 하는 중이다.


| ccTLD =
==정치==
| 국가 코드 =
갈스만은 강압적인 전제군주제를 시행중이다. 영주의 영향력이 현저히 적다.
| 국제 전화 코드 =
| 링크 주소 =
| 링크 설명 =
| 지도 =
| 문양 =
| 문양 크기 =


| ID-1 =
==군사==
| ID-2 =
갈스만 왕국군으로 오랫동안 불러지다, 갈흐메트 2세가 황제를 선포하며 갈스만 제국군으로 바뀌었다. 기병이 군사의 주축인데, 보유 기병만 10만 명이 넘을 정도로 상당히 강한 전력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정예보병인 예니체리와, 투석기도 상당히 많이 운용하고 있다. 보병은 대부분 100만 명 이상을 유지한다.
| ID-3 =
| ID-4 =
| ID-5 =
| ID-6 =  
| ID-7 =
| ID-8 =


}}
==외교==
GGCP라는 세력의 맹주국이다. 가맹국은 신성메오제국, 페체네그족 등이 있다. 기독교와 사이가 매우 안좋다. 이슬람도 처음엔 안좋았다가 이슬람 친화 정책으로 관계회복이 되는가 싶더니, 갈흐메트 2세의 이슬람 정벌로 관계가 다시 최악으로 치닫았다.
 
==둘러보기==

2024년 11월 29일 (금) 22:22 기준 최신판


오스만국장.png
가장 숭고한 갈스만 제국

The most sublime Galzmán Empire
1280px-Flag of the Ottoman Empire (1844–1922).svg.png 오스만국장.png
국기 국장
Devlet-i Ebed Müddet
불멸의 나라
상징
국가 미정
국수 늑대
국조 칠면조
역사
[ 펼치기 · 접기 ]
갈비 왕국 건국 0년
갈스만 술탄국 선포 145년
1차 지하드 206년
2차 지하드 302년
이슬람 정벌 352년
가장 숭고한 갈스만 제국 선포 360년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가지안테프
최대도시 바그다드
면적 15,000,000km²
접경국 카본, 연노국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갈스만 22개 구
아흐란 4개 구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총 인구 30,000,000명
인종 구성 아시아인 94%, 백인 5%, 기타 1%
인구밀도 2명/km²
출산율 2.0명
국민어 갈비어
공용 문자 갈비어
종교 국교 갈슬람
분포 갈슬람 78%
이슬람 7%
조로아스터교 4%
기타 1%
군대 갈스만 제국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체제 전제군주제
경제
[ 펼치기 · 접기 ]
단위
[ 펼치기 · 접기 ]
외교
[ 펼치기 · 접기 ]

개요

가장 숭고한 갈스만 제국은 오스만 제국을 기반으로 한 가상국가다.

역사

갈비 왕국(0 ~ 145)

갈스만 1세가 갈파쿠타푸에 정착하며 갈비 왕국을 건국하였다. 이후 주변에 접경한 이슬람 국가들을 지하드로 정벌하며 세력을 키웠다. 이 과정에서 큰 손실을 입게 되지만, 광활한 영토를 얻게 된다. 이때 같은 갈슬람 국가인 아흐란 후국과 동맹을 맺었다. 여러 전쟁을 거치다, 이슬람의 성지인 바그다들 점령하며 이슬람 정벌을 마치게 된다.

갈스만 술탄국(145 ~ 352)

갈라트 1세가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자신을 파디샤와 술탄으로 자칭하며 갈스만 술탄국으로 국명을 바꿨다. 이 시기에 갈스만이 아흐란 후국과 같이 기독교 국가를 침공하자, 쾨르센이 함선으로 항구를 타격하며 보복했다. 이에 갈스만은 쾨르센에 대한 보복을 하기 위해 당시 강대국이었던 파르티아를 침공했으나, 압도적인 전력차로 인해 처참한 피해를 입고 퇴각한다. 이후 파르티아의 황제가 죽고 파르티아에서 내전이 일어나자, 파르티아를 침공하였다. 하지만 남쪽의 파르티아가 아흐란 왕국과 손을 잡자, 종전한다. 기독교 세력이라는 큰 적에 대항하기 위해 갈스만은 아흐란과 파르티아와 동맹을 맺는다. 아흐란 후국은 갈스만에 의해 합병당하게 된다.

1차 지하드(206 ~ 210), 2차 지하드(302~305)

쾨르센-갈스만 전쟁 참고.

가장 숭고한 갈스만 제국(360 ~)

갈스만이 아무도 예상치 못한 기습 공격으로 동맹국이었던 모든 이슬람 국가를 정벌하고, 메흐메트 2세가 자신을 황제라 칭하며 가장 숭고한 갈스만 제국으로 국명을 바꿨다. 이후 쾨르센과 지속적인 군비경쟁을 하는 중이다.

정치

갈스만은 강압적인 전제군주제를 시행중이다. 영주의 영향력이 현저히 적다.

군사

갈스만 왕국군으로 오랫동안 불러지다, 갈흐메트 2세가 황제를 선포하며 갈스만 제국군으로 바뀌었다. 기병이 군사의 주축인데, 보유 기병만 10만 명이 넘을 정도로 상당히 강한 전력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정예보병인 예니체리와, 투석기도 상당히 많이 운용하고 있다. 보병은 대부분 100만 명 이상을 유지한다.

외교

GGCP라는 세력의 맹주국이다. 가맹국은 신성메오제국, 페체네그족 등이 있다. 기독교와 사이가 매우 안좋다. 이슬람도 처음엔 안좋았다가 이슬람 친화 정책으로 관계회복이 되는가 싶더니, 갈흐메트 2세의 이슬람 정벌로 관계가 다시 최악으로 치닫았다.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