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납법: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예시==
==예시==


||사례 1. 어떤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사례 1. 1년전에 보았던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사례 2. 또다른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사례 2. 몇달전에 보았던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
.
.
.
.
.
사례 n. 어제 보았던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결론: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결론: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귀납의 문제==
==귀납의 문제==
데이비드 흄은 논증의 방법으로서의 귀납법이 오류를 지닌다고 하였다. 이에 따르면, 귀납법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미래의 세계가 그 운동 원리 등에 있어 한결같음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러한 한결같음은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닌, 경험을 통해서만 그 참ㆍ거짓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며, 그렇다면 한결같음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경험들을 개별 사례로 활용하는 귀납법이 존재하지 않을 수 없다. 즉, 귀납법의 유효함을 증명하는 방법은 궁극적으로 귀납법이므로, 순환 논증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데이비드 흄은 논증의 방법으로서의 귀납법이 오류를 지닌다고 하였다. 이에 따르면, 귀납법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미래의 세계가 그 운동 원리 등에 있어 한결같음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러한 한결같음은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닌, 경험을 통해서만 그 참ㆍ거짓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며, 그렇다면 한결같음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경험들을 개별 사례로 활용하는 귀납법이 존재하지 않을 수 없다. 즉, 귀납법의 유효함을 증명하는 방법은 궁극적으로 귀납법이므로, 순환 논증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외에 칼 포퍼는 귀납법이 어떤 명제의 개연성을 높여줄 수는 있지만 개별적인 사례들을 모두 조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귀납법은 어떤 명제의 참ㆍ거짓 여부를 궁극적으로 증명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반증주의를 주장하였다.

2024년 11월 3일 (일) 19:03 기준 최신판

개요

개별적인 사례들로부터 일반적인 명제를 도출하는 논증 방법이다.

예시

사례 1. 1년전에 보았던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사례 2. 몇달전에 보았던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
.
.
사례 n. 어제 보았던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결론: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귀납의 문제

데이비드 흄은 논증의 방법으로서의 귀납법이 오류를 지닌다고 하였다. 이에 따르면, 귀납법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미래의 세계가 그 운동 원리 등에 있어 한결같음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러한 한결같음은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닌, 경험을 통해서만 그 참ㆍ거짓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며, 그렇다면 한결같음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경험들을 개별 사례로 활용하는 귀납법이 존재하지 않을 수 없다. 즉, 귀납법의 유효함을 증명하는 방법은 궁극적으로 귀납법이므로, 순환 논증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외에 칼 포퍼는 귀납법이 어떤 명제의 개연성을 높여줄 수는 있지만 개별적인 사례들을 모두 조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귀납법은 어떤 명제의 참ㆍ거짓 여부를 궁극적으로 증명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반증주의를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