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상위문서 : 월본/철도 노선 목록, 월본의 철도환경 * 참고 : 본 문서는 월본의 간선철도 노선 중앙선과 세부 계통에 대한 내용입니...)
 
잔글 (SMCN님이 중앙선(월본) 문서를 중앙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상위문서 : [[월본/철도 노선 목록]], [[월본의 철도환경]]
{{월본철도공사 수도권 노선}}
* 참고 : 본 문서는 월본의 간선철도 노선 중앙선과 세부 계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조번 수도권 광역전철 노선}}
{| class="infobox" align="right"
|-
| style="border: 0px solid white; background: #white; colspan=2 |
|-
| style="border: 0px solid white; background: #fff; color: #gray; text-align: center;" colspan=3 | [[월본철도공사|[[파일:worail_logo1.png|70px]]]]
|-
| style="border: 0px solid white; background: #white; colspan=2 |
|-
| style="width:40%; border: 0px solid white; background:#FFFFFF; text-align=right;" colspan=2 | [[파일:wrJU.png|width=30px&align=right]]
| style="width:60%;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0px 0px 0px 1px; border-color:#gray; background:#FFFFFF; color:#EAEAEA; text-align: left;" | {{{#FFCA00 {{{+2 '''중앙선'''}}}}}}<br>{{{#FFCA00 Jungang line / 中央線}}}
|-
| style="border: 0px solid white; background: #white; colspan=3 |
|-
| style="background: #fff; color: #gray; text-align: center;" colspan=3 | [[파일:Map_WRJA.png|300px]]
|-
| style="background: #fff; color: #gray; text-align: center;" colspan=3 | [[파일:Pic_211X13.png|300px]]<br>[[월본철도공사 211호대 전동차|211호대 전동차 13편성]]
|-
| style="background: #FFF; color: #gray; text-align: center;" colspan=3 | '''노선 정보'''
|-
| style="width:25%; text-align: center;" | '''분류'''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광역철도
|-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기호'''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파일:wrJA.png|20px]]
|-
| style="text-align: center;" | '''개업일'''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1901년 4월 12일
|-
| style="text-align: center;" | '''소유'''
| style="text-align: left;" rowspan=2 colspan=2 | [[월본철도공사|[[파일:worail_logo1.png|100px]]]]
|-
| style="text-align: center;" | '''운영'''
|-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기지'''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상수종합차량센터<br>사와승무사업소
|-
| style="text-align: center;" | '''사용차량'''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테|&nbsp;[[월본철도공사 211호대 전동차|{{{#000 211}}}]]&nbsp;|#FFFFFF|#FFFFFF|#|#|0.4em|#FFCA00}}호대 전동차
|-
|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3 | '''노선 제원'''
|-
| style="text-align: center;" | '''기점'''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도유역]]
|-
| style="text-align: center;" | '''종점'''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주타사역]]
|-
| style="text-align: center;" | '''역 수'''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47개
|-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연장'''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 ㎞
|-
| style="text-align: center;" | '''운행방식'''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좌측통행
|-
| style="text-align: center;" | '''사용전류'''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교류 25,000V 60 ㎐
|-
| style="text-align: center;" | '''보안장비'''
| style="text-align: left;" colspan=2 | ATC, ATS
|}


||<-99><table width=100%> 중앙선 하위 계통 ||
||[[파일:수도권 전철 중앙선_노선도.png|500px]]||
|| [[중앙선(월본)#서월본|중앙본선(서월본)]] || [[중앙선(월본)#중부월본|중앙본선]] || {{{#FFCA00 }}} [[중앙선(월본)#광역전철|수도권 광역전철 중앙선]] || 문영선(신의선 연결선) ||
|| '''{{{#FFCA00 수도권 광역철도 중앙선 노선도}}}''' ||
||<-99> [[중앙고속선]] ||


'''中央線 / Jungang Line '''
'''중앙선'''(Jungang line / 中央線)은 [[도유도]] [[주교구]] [[도유역]]에서 [[청하부]] [[청하역]]을 잇는 일반철도 노선이다. 그중 도유역과 주타사역간은 수도권 광역철도로 운행된다. 좌측통행 방식으로 운행하며, 노선색은 전구간 통용{{{#FFCA00 ●}}}노란색이다.


|[[월본철도공사]]|<:><-2><tablealign=right><tablewidth=350><#0080B7>||
= 수도권 광역철도 중앙선 =
||<-2><#FFCA00>||
도유도 시내를 가로지르는 월본철도공사의 유일한 노선이므로 주요노선으로 취급된다. 월본철도공사의 운임권으로 도유 동ㆍ서부를 이동할경우 중앙선을 이용하지 않으면 남북으로 돌아가야된다. 시내 중심 주요지점을 연결하므로 이용객이 많다.
||<-2><:>{{{+2 '''중앙선'''}}} [br] Jungang Line / 中央線||
||<:><-2><bgcolor=white>[[파일:wrJA.png|width=100%]]||
||<:><-2><bgcolor=white>[[파일:wnr105.png|width=30%]]<br>[[월본국유철도 105계 전동차|105계 전동차]]||
||<-2><:>'''노선 정보'''||
||<bgcolor=white><:>'''분류'''||<bgcolor=white><:>간선철도, 광역철도,,(상수-도이리),,||
||<bgcolor=white><:>'''기점'''||<bgcolor=white><:>[[경단역]]||
||<bgcolor=white><:>'''종점'''||<bgcolor=white><:>[[청하역]]||
||<bgcolor=white><:>'''노선기호'''||<bgcolor=white><:>{{{#FFCA00 {{{+1 '''JA''' }}} }}}||
||<bgcolor=white><:>'''개업일'''||<bgcolor=white><:>1901년 4월 12일||
||<bgcolor=white><:>'''소유'''||<bgcolor=white><:><|2>[[월본철도공사|[[파일:WRlogo.png|width=100]]]]||
||<bgcolor=white><:>'''운영'''||
||<bgcolor=white><:>'''차량기지'''||<bgcolor=white><:>상수종합차량센터<br>히라가와승무사업소<br>소가차량센터||
||<bgcolor=white><:>'''사용차량'''||<bgcolor=white><:>'''일반철도'''[br][[월본철도공사 E265계 전동차|E265계 전동차]][br][[월본철도공사 E385계 전동차|E385계 전동차]][br]'''광역전철'''[br]~~[[월본국유철도 101계 전동차]]~~,,퇴역,, <br> ~~[[월본국유철도 105계 전동차]]~~,,퇴역,, <br> ~~[[월본국유철도 204계 전동차]]~~,,퇴역,, <br> [[월본철도공사 206계 전동차]] <br> [[월본철도공사 210계 전동차]] <br> [[월본철도공사 E240계 전동차]] ||
||<-2><:>'''노선 제원'''||
||<bgcolor=white><:>'''노선연장'''||<bgcolor=white><:>약 480 km||
||<bgcolor=white><:>'''궤간'''||<bgcolor=white><:>1067mm ||
||<bgcolor=white><:>'''선로구성'''||<bgcolor=white><:>[[복선(철도)|복선]]||
||<bgcolor=white><:>'''사용전류'''||<bgcolor=white><:>[[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bgcolor=white><:>'''보안장비'''||<bgcolor=white><:>[[ATC]] / [[ATS]]||


 
= 일반철도 중앙본선 =
||<width=500px> 노선도 ||
{{국기나라|월본}} [[도유도]] [[주교구]] [[도유역]]에서 [[청하부]]의 [[청하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파일:linemap주단선.png|500px]]||
 
== 개요 ==
 
{{국기나라|월본}} [[조번도]] [[문영구]] [[상수역]]에서 [[청하부]]의 [[청하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1901년 당시, 남부해안의 [[주단선]]에 의존하던 교통망에 뒤이어 개통하며 내륙의 산업철도시설 확충을 위해 건설되었다.
1901년 당시, 남부해안의 [[주단선]]에 의존하던 교통망에 뒤이어 개통하며 내륙의 산업철도시설 확충을 위해 건설되었다.
초기에는 당시의 [[조번역]]이었던 [[도리본역]]에서 출발하여 [[청하역]]까지 연결하는 노선이었다. 전쟁을 겪은 뒤 조번역이 남쪽으로 옮겨지고 연장되어 현재의 조번역 위치까지 연결되어 시종착을 하였다. 서월본과 내륙의 화물이 동북부 도기타로의 연결이 어려워지자[* 중앙선이 조번역에서 끊겨 동부지역으로 열차를 돌리려면 시부사에서 도선사보선을 경유하여 신의선을 타야한다. 하지만 과밀 다이어로 인해 도선사보선의 입선은 어려워졌다. 따라서 중앙선과 주단선을 수도권 진입전에 잇는 [[남부선(월본)|남부선]]이 건설된다.] 상수 방향으로 연결선을 건설하여 신의선과 선로연결을 추진하게 된다. [[히라가와역]]을 중심으로 일반열차도 운행한다.
초기에는 당시의 [[도유역]]이었던 [[도리본역]]에서 출발하여 [[청하역]]까지 연결하는 노선이었다. 전쟁을 겪은 뒤 도유역이 더 남쪽으로 옮겨지고 연장되어 현재의 도유역 위치까지 연결되어 시종착을 하였다.
 
 
== 광역전철 ==
* 중앙선의 하위 계통입니다.
 
{{{#FFCA00 ●}}} '''수도권 광역전철 중앙선'''
 
1960년 [[월본국유철도 101계 전동차|101계 전동차]]의 데뷔를 시작으로 기존 중앙선 구간의 광역전철화 작업을 시작했다. 중앙선중 도심구간을 고상 승강장 개량을 마쳐 [[도리본역]]~[[시부사역]]간 운행을 게시했다. 이어 시부사역 서부 지역의 광역전철화사업을 시작해 현재 [[도이리역]]까지 광역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도심구간의 복복선화를 거쳐 [[신의선]]과 직결운행하기 위한 공사를 진행중이다. [[신의중앙선]] 참조.
2010년부터 [[소가선]] 광역전철이 개통됨에 따라 도이리역에서 소가역까지 연장운행하는 다이어가 운행된다.
 
== 중부월본 ==
;중앙본선 中央本線
 
조번역부터 유전역까지의 중부월본 관할 구간을 의미한다.  


특히 화물운송에 있어서도 주요 무역관문인 서번, 사이수초에서 바로 주단선으로 운송하는 경우도 있지만 내륙의 경우 반드시 중앙선을 이용할수밖에 없다. 초창기에는 도유역을 거쳤지만 트래픽이 과밀해 도유서부선을 개설하여 경유하기 시작했다. 러시아워등 도심 트래픽에 따른 수송력한계로 화물은 더이상 도심을 거치지 않고 남부선을 경유한다.


= 신의선과의 직결 =
서월본과 내륙의 화물이 동북부 도기타로의 연결이 어려워지자[* 중앙선이 도유역에서 끊겨 동부지역으로 열차를 돌리려면 시부사에서 도선사보선을 경유하여 신의선을 타야한다. 하지만 과밀 다이어로 인해 도선사보선의 입선은 어려워졌다. 따라서 [[중앙선]]과 [[주단선]]을 수도권 진입전에 잇는 [[남부선]]이 건설된다.] 상수 방향으로 연결선을 건설하여 신의선과 선로연결을 추진하게 된다. [[사와역]]을 중심으로 일반열차도 운행한다.


신의선과의 직결시 [[도유역]]-[[오차구지역]]-[[도리본역]]-[[사와역]] 구간의 고가는 철거되고 그 자리에 [[도선사보선]]과 [[보후종관선]]의 선로 이설과 확장공사를 하게되며 빈공간에는 [[우시로마치라인]]이 3층고가로 건설될계획이다.


== 서월본 ==
주타사 방면에서 기존선 그대로 [[구반가야역]]까지 온 다음 기존선(도선사보선, 보후종관선) [[사와역]]의 상부로 고가역사^^(신설)^^를 지나 지하로 연결된 문영연결선^^(신설)^^을 지나 [[경단역|지하경단역]]^^(신설)^^을 신설한다.
;중앙서선 中央西線


유전역부터 청하역을 연결하는 서월본 관할 구간을 의미한다.
신의선과의 직결 후 [[신의ᆞ중앙선]]으로 명명될 예정이다.


= 운행열차 =
[[파일:worail logo1.png|75px]]
* {{테|&nbsp;[[월본철도공사 211호대 전동차|{{{#000 211}}}]]&nbsp;|#FFFFFF|#FFFFFF|#|#|0.4em|#FFCA00}}호대 전동차[* 추후 직결될 신의선의 열차도 211호대이다.]


= 사건사고 =


== 각주 ==
<hr>
{{월본철도공사 수도권 노선}}
[[분류:월본]] [[분류:월본의 교통]]

2020년 5월 18일 (월) 16:41 기준 최신판

Worail logo1.png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
수도권 본부
주단선 * 보후종관선 * 도선사보선 * 중앙선 * 신의선 * 반본선 * 도원선 * 도하선 * 무사단선 * 우시로마치라인 * 조요시부사라인
동부 본부
하타선 * 신의선 * 조산선 * 히조대선 * 조타치선
서부 본부
중앙선 * 서번선 * 남부선 * 주단선 * 사이수초선 * 소가선
북부 본부
소보선 * 광영리선 * 설양선 * 군계선 * 교외선


Worail logo1.png
중앙선
Jungang line / 中央線
파일:Map WRJA.png
파일:Pic 211X13.png
211호대 전동차 13편성
노선 정보
분류 광역철도
노선기호 파일:WrJA.png
개업일 1901년 4월 12일
소유 Worail logo1.png
운영
차량기지 상수종합차량센터
사와승무사업소
사용차량  211  호대 전동차
노선 제원
기점 도유역
종점 주타사역
역 수 47개
노선연장 --.- ㎞
운행방식 좌측통행
사용전류 교류 25,000V 60 ㎐
보안장비 ATC, ATS
파일:수도권 전철 중앙선 노선도.png
수도권 광역철도 중앙선 노선도

중앙선(Jungang line / 中央線)은 도유도 주교구 도유역에서 청하부 청하역을 잇는 일반철도 노선이다. 그중 도유역과 주타사역간은 수도권 광역철도로 운행된다. 좌측통행 방식으로 운행하며, 노선색은 전구간 통용노란색이다.

수도권 광역철도 중앙선

도유도 시내를 가로지르는 월본철도공사의 유일한 노선이므로 주요노선으로 취급된다. 월본철도공사의 운임권으로 도유 동ㆍ서부를 이동할경우 중앙선을 이용하지 않으면 남북으로 돌아가야된다. 시내 중심 주요지점을 연결하므로 이용객이 많다.

일반철도 중앙본선

월본 월본 도유도 주교구 도유역에서 청하부청하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1901년 당시, 남부해안의 주단선에 의존하던 교통망에 뒤이어 개통하며 내륙의 산업철도시설 확충을 위해 건설되었다. 초기에는 당시의 도유역이었던 도리본역에서 출발하여 청하역까지 연결하는 노선이었다. 전쟁을 겪은 뒤 도유역이 더 남쪽으로 옮겨지고 연장되어 현재의 도유역 위치까지 연결되어 시종착을 하였다.

특히 화물운송에 있어서도 주요 무역관문인 서번, 사이수초에서 바로 주단선으로 운송하는 경우도 있지만 내륙의 경우 반드시 중앙선을 이용할수밖에 없다. 초창기에는 도유역을 거쳤지만 트래픽이 과밀해 도유서부선을 개설하여 경유하기 시작했다. 러시아워등 도심 트래픽에 따른 수송력한계로 화물은 더이상 도심을 거치지 않고 남부선을 경유한다.

신의선과의 직결

서월본과 내륙의 화물이 동북부 도기타로의 연결이 어려워지자 중앙선이 도유역에서 끊겨 동부지역으로 열차를 돌리려면 시부사에서 도선사보선을 경유하여 신의선을 타야한다. 하지만 과밀 다이어로 인해 도선사보선의 입선은 어려워졌다. 따라서 중앙선주단선을 수도권 진입전에 잇는 남부선이 건설된다. 상수 방향으로 연결선을 건설하여 신의선과 선로연결을 추진하게 된다. 사와역을 중심으로 일반열차도 운행한다.

신의선과의 직결시 도유역-오차구지역-도리본역-사와역 구간의 고가는 철거되고 그 자리에 도선사보선보후종관선의 선로 이설과 확장공사를 하게되며 빈공간에는 우시로마치라인이 3층고가로 건설될계획이다.

주타사 방면에서 기존선 그대로 구반가야역까지 온 다음 기존선(도선사보선, 보후종관선) 사와역의 상부로 고가역사(신설)를 지나 지하로 연결된 문영연결선(신설)을 지나 지하경단역(신설)을 신설한다.

신의선과의 직결 후 신의ᆞ중앙선으로 명명될 예정이다.

운행열차

Worail logo1.png

  •  211  호대 전동차 추후 직결될 신의선의 열차도 211호대이다.

사건사고


Worail logo1.png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
수도권 본부
주단선 * 보후종관선 * 도선사보선 * 중앙선 * 신의선 * 반본선 * 도원선 * 도하선 * 무사단선 * 우시로마치라인 * 조요시부사라인
동부 본부
하타선 * 신의선 * 조산선 * 히조대선 * 조타치선
서부 본부
중앙선 * 서번선 * 남부선 * 주단선 * 사이수초선 * 소가선
북부 본부
소보선 * 광영리선 * 설양선 * 군계선 * 교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