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버스 급행1: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중)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상위 문서 :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분류: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 상위 문서 :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분류: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include(틀:대전광역시 급행버스)]
[include(틀:대전광역시 급행버스)]
||<tablewidth=100%><width=48%>[[파일:대전급행아폴로전기.jpg]]||<width=52%>[[파일:DSC04766.png|width=100%]]||
||<tablewidth=100%><width=48%>[[파일:대전급행아폴로전기.jpg]]||<width=52%>[[파일:대전버스급행1도색.png|width=100%]]||
|| 우진산전 아폴로 1100 차량. || 차량도색. ||
|| 우진산전 아폴로 1100 차량. || 광고 없는 차량도색. ||
||<-2> [[파일:DSC04497.png|width=100%]] ||
||<-2> [[파일:대전버스급행1노선도.png|width=100%]] ||
||<-2> 2018년 10월부터 운행중인 '''아폴로 1100''' 전기버스 차량. ||
||<-2> '''노선도''' ||


[목차]
[목차]


== 노선 정보 ==
== 노선 정보 ==
||<-6><:><#f72f08>[[파일:Seal_of_Daejeon_little.png|width=20]] {{{#ffffff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1번}}}||
||<-6><:><#f72f08>[[파일:Sealdaejeonlittle.png|width=20]] {{{#ffffff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1번}}}||
||<-6><tablewidth=100%><:>{{{#!folding [ 노선도 보기 ]
||<-2><:>기점||<width=300px><:>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공영차고지)||<-2><:>종점||<width=300px><:>대전광역시 동구 정동(대전역)||
[[파일:대전1노선도.png|width=100%]]}}}||
||<-2><:>기점||<width=300px><:>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원내동공영차고지)||<-2><:>종점||<width=300px><:>대전광역시 동구 신안동(신안동)||
||<|2><width=50px><:>종점행||<width=50px><:>첫차||<:>05:25||<|2><width=50px><:>기점행||<width=50px><:>첫차||<:>05:45||
||<|2><width=50px><:>종점행||<width=50px><:>첫차||<:>05:25||<|2><width=50px><:>기점행||<width=50px><:>첫차||<:>05:45||
||<:>막차||<:>22:35||<:>막차||<:>23:10||
||<:>막차||<:>22:35||<:>막차||<:>23:10||
||<-2><:>평일배차||<:>8분||<-2><:>주말배차||<:>8~9분||
||<-2><:>평일배차||<:>8분||<-2><:>주말배차||<:>8~9분||
||<-2><:>운수사명||<:>[[경익운수]]||<-2><:>인가대수||<:>18대[* 토요일은 17대, 공휴일은 15대만 운행.]||
||<-2><:>운수사명||<:>경익운수||<-2><:>인가대수||<:>18대[* 토요일은 17대, 공휴일은 15대만 운행.]||
||<-2><:>노선||<-4><:>원내동공영차고지 - 진잠동주민센터 - 롯데마트서대전점 - [[건양대학교병원|건양대병원네거리]] - 가수원육교.가수원시장 - 정림삼거리 - 도마삼거리 - 도마시장 - 버드내아파트 - 유천시장 - 서대전역네거리 - 서대전네거리역 - 중구청 - 중앙로역 - 대전역.목척교 → 신안동 → 대동역 → 역전시장 → 대전역.목척교 → 이후 역순||
||<-2><:>노선||<-4><:>원내동공영차고지 - 진잠근린공원 - 롯데마트서대전점 - 구봉중학교 - 동방고등학교 - 가수원동우체국 - 정림삼거리 - 복수자이아파트 - 계룡리슈빌아파트 - 효성타운아파트 - 버드내네거리 - 유천네거리 - 서대전육교 - 서대전역네거리 - 서대전네거리 - 중구청역 - 중앙로역 - 목척교 - 대전역 - 이후 역순||
 
||<-2><:><#FCBBC2> '''중간 출발 정류장''' ||
|| '''신안동''' 방향 ||도마시장^^05:25^^, 가수원^^05:25^^ ||
|| '''원내동''' 방향 ||없음 ||


== 개요 ==
== 개요 ==
경익운수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31184&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경익운수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 슬로건은 '''대전을 아는 버스'''.


== 역사 ==
== 역사 ==
  * 2008년 개편으로 급행버스가 도입되었을 때 신설되었다. 노선 자체는 구 220번(서일고 - 대덕구청)의 단축 및 급행형 노선이다.
  * 기존 노선에서 2019년 02월 17일 개편으로 정류장 위치가 변경되었다. 선형 자체는 비슷하나 정차하는 위치가 바뀌었다.
 
* 2013년 6월 25일에 1대가 감차되어 18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http://traffic.daejeon.go.kr/community/ntfBrd/ntfBrdView.do?seq=173|대전광역시 공지사항]]
 
* 종점지 회차문제 해결을 위해 2014년 3월 19일부터 대전역동광장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점이 대전역동광장에서 신안동으로 변경되었다. [[http://traffic.daejeon.go.kr/community/ntfBrd/ntfBrdView.do?seq=241|대전광역시 공지사항]]
 
* 민원을 의식하여 2015년 4월 17일부터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대전충남병무청정류장 대신 수요가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서대전역네거리에 정차한다. 그리고 신선마을아파트에 추가로 정차하게 되었다. ~~2, 3번은 왠지 변동이 없다~~ [[http://traffic.daejeon.go.kr/community/ntfBrd/ntfBrdView.do?seq=314|대전광역시 공지사항]]


  * 중간 출발지가 정림삼거리에서 가수원으로 바뀌었다. (시기 미상)
  * 기존에는 계백로를 따라 유천동으로 순행하는 형태였다면 19년 02월 개편을 통하여 대전역-서대전역으로 이어지는 구간에서 수요가 집중되며 정림동-복수동 구간은 신축 아파트인 복수자이아파트를 경유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 특징 ==
== 특징 ==
  * 대전광역시 3개 급행노선 중 하나. 모든 차량이 붉은 색으로 도배되어 있으며, 주요 정류장만 정차하는 급행이라 대전 서남부권 시민들의 도시철도 역할을 하고 있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트램]]이 완공되면 큰 타격이...~~
  * 대전광역시의 '''간판 노선.''' 이것만 타고 다니면 웬만한 서남부 번화가는 다 둘러볼 수 있다. 특히 복수자이아파트에 정차하게 되면서 정림동 주민들의 복수동으로 가는 편의가 크게 향상되었다. 반면 관저동 쪽으로 가는 삼육초중/대신중고 학생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201번을 이용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다만, 조만간 '''급행 2번도 개혁될 계획이 있다.'''[* 시장 본인이 밝힘]


  * 대전의 급행버스도 과거 좌석버스가 하던 역할을 계승했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대전 버스 202|계룡 버스 2002번]]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구 201번 좌석버스의 시내단축 버전으로서 그 역할을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 전 차량 '''입석 급행이다.'''


  * 대전 서남부권 [[관저동]], [[원내동]]에서 시내로 나가는 장거리 승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노선으로 같은 직선 노선으로는 [[대전 버스 201|201번]]이 있다. 1번이 원도심으로 가는 장거리 수요를 빠르게 처리한다면 201번은 건양대병원 부근의 승객들 및 급행 미정차 정류장, 복합터미널로 가는 승객들을 분담한다.
  * 선형이 일부 변경되며 가수원-관저 지역 시민들의 걱정이 있었으나 정류장 개수와 사실상 거리가 비슷하여 큰 민원은 들어오고 있지 않다. 다만, 서대전역 인근에서 지나치게 정차를 많이 하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


  * 대전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첫차가 가장 이르다.
  * 대전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첫차가 가장 이르다.


  * 배차 간격은 평일 7~9분, 토요일 7~9분, 일요일 8~10분이다. 평일 배차 간격은 대전 3등... 서남부 장거리 승객들이 많기 때문에 혼잡도도 상당히 높은 노선이다. 하지만 높은 혼잡도와 배차 간격에 비해 장거리 승객들이 많아 승객 물갈이가 잘 안 되다보니 승객 수요는 9~10위를 왔다갔다 한다.
  * 배차 간격이 표시된 것보다 짧아서 ~~급행은 '''완전 급행''~~ 정류장에 심하면 '''세 대가 줄지어 들어온다던가''' .. 주행속도는 정체되지 않는다면 '''50km/h 전후를 왔다갔다 한다.''' ~~역시 세배 빠르다.~~ 일반적인 대전 시내버스의 속도가 40km/h인 것을 고려하면 흠좀무.
 
  * 한때는 저상버스가 5대가 다녔으나 2011년 급행3번이 생긴 후, 급행3번에 저상버스를 몰아주면서 한동안 입석만 다닌 적이 있었다. 그러나 급행3번에 저상이 너무 몰려있고 이때문에 출퇴근 시간에 급행3번에 혼잡도가 가중된다는 민원이 제기되어 급행3번에 투입되었던 저상 중 일부가 빠지게 되었고, 급행3번에서 빠진 저상버스는 다시 급행1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현재 급행1번에서 저상버스는 5대 운행 중.
 
* [[광역시]] 이상급 도시에서 [[인천 버스 1]], [[부산 버스 1]]과 함께 셋밖에 없는 1번 시내버스 노선이다.
 
* 소요시간은 원내동 → 대전역이 37~48분, 대전역 → 원내동이 40~50분이다.
 
* 출퇴근시간대와 진잠중(대전공고 포함) 하교시간(16시 30~50분)에는 굉장히 붐빈다. 기사들이 201번을 타라고 권할 정도.


* 노선 대부분(진잠네거리 - 신안동종점 가기 전 삼거리)이 직선이다. 다만, 혼잡 구간이 많아 소요시간은 제법 걸린다.
  * 저상버스가 도입되었으나 대부분 중고상형으로 대차되었다.


  * 2018년 10월부터 우진산전의 [[우진산전 아폴로 1100|APOLLO 1100]] 1대가 운행 중이다.
  * 서남부 수요처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노선이라 혼잡할 때는 몹시 혼잡하다.


== 연계 철도역 ==
  * 2018년 10월부터 우진산전의 아폴로 1100 한 대가 운행 중에 있다. 대전의 버스 회사가 사실상 시영 업체가 되면서 시에서는 이 노선에 추가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듯하다.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서대전네거리역]], [[중구청역]], [[중앙로역(대전)|중앙로역]], [[대전역]], [[대동역]]
* 일반 철도역 : [[대전역]](SRT,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서대전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남도해양관광열차)

2019년 2월 19일 (화) 00:01 기준 최신판

{{틀:대전광역시 급행버스}}

대전급행아폴로전기.jpgwidth=100%
우진산전 아폴로 1100 차량.광고 없는 차량도색.
width=100%
노선도

노선 정보

Sealdaejeonlittle.png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1번
기점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공영차고지)종점대전광역시 동구 정동(대전역)
종점행첫차05:25기점행첫차05:45
막차22:35막차23:10
평일배차8분주말배차8~9분
운수사명경익운수인가대수18대 토요일은 17대, 공휴일은 15대만 운행.
노선원내동공영차고지 - 진잠근린공원 - 롯데마트서대전점 - 구봉중학교 - 동방고등학교 - 가수원동우체국 - 정림삼거리 - 복수자이아파트 - 계룡리슈빌아파트 - 효성타운아파트 - 버드내네거리 - 유천네거리 - 서대전육교 - 서대전역네거리 - 서대전네거리 - 중구청역 - 중앙로역 - 목척교 - 대전역 - 이후 역순

개요

경익운수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 슬로건은 대전을 아는 버스.

역사

  • 기존 노선에서 2019년 02월 17일 개편으로 정류장 위치가 변경되었다. 선형 자체는 비슷하나 정차하는 위치가 바뀌었다.
  • 기존에는 계백로를 따라 유천동으로 순행하는 형태였다면 19년 02월 개편을 통하여 대전역-서대전역으로 이어지는 구간에서 수요가 집중되며 정림동-복수동 구간은 신축 아파트인 복수자이아파트를 경유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특징

  • 대전광역시의 간판 노선. 이것만 타고 다니면 웬만한 서남부 번화가는 다 둘러볼 수 있다. 특히 복수자이아파트에 정차하게 되면서 정림동 주민들의 복수동으로 가는 편의가 크게 향상되었다. 반면 관저동 쪽으로 가는 삼육초중/대신중고 학생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201번을 이용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다만, 조만간 급행 2번도 개혁될 계획이 있다. 시장 본인이 밝힘
  • 전 차량 입석 급행이다.
  • 선형이 일부 변경되며 가수원-관저 지역 시민들의 걱정이 있었으나 정류장 개수와 사실상 거리가 비슷하여 큰 민원은 들어오고 있지 않다. 다만, 서대전역 인근에서 지나치게 정차를 많이 하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
  • 대전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첫차가 가장 이르다.
  • 배차 간격이 표시된 것보다 짧아서 급행은 완전 급행 정류장에 심하면 세 대가 줄지어 들어온다던가' .. 주행속도는 정체되지 않는다면 50km/h 전후를 왔다갔다 한다. 역시 세배 빠르다. 일반적인 대전 시내버스의 속도가 40km/h인 것을 고려하면 흠좀무.
  • 저상버스가 도입되었으나 대부분 중고상형으로 대차되었다.
  • 서남부 수요처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노선이라 혼잡할 때는 몹시 혼잡하다.
  • 2018년 10월부터 우진산전의 아폴로 1100 한 대가 운행 중에 있다. 대전의 버스 회사가 사실상 시영 업체가 되면서 시에서는 이 노선에 추가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