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나라 정보 | | {{나라 정보 |
| |나라이름= 중화민국 | | |나라이름= 중화민국'''굵은 글씨''' |
| |현지이름= 중화민국 | | |현지이름= 중화민국 |
| |다른표기= Republic of China 中華民國 | | |다른표기= 中華民國 |
| |대표이미지= | | |대표이미지= |
| |대표이미지_설명= | | |대표이미지_설명= |
| |국기_그림= | | |국기_그림= 중화민국국기.png |
| |문장_그림= | | |문장_그림= 중화민국국장.png |
| |문장_이름= | | |문장_이름= |
| |지도_그림= | | |지도_그림= 중화민국 |
| |지도_그림_설명= 지도 | | |지도_그림_설명= 지도 |
| |나라_표어= 단일중국 單一中國 | | |나라_표어= 단일중국 單一中國 |
22번째 줄: |
23번째 줄: |
| |국민어= 중국어 | | |국민어= 중국어 |
| |지역어= | | |지역어= |
| |정부형태= 총통제,일당제,단일국가 | | |정부형태= 총통제,공화제,단일국가 |
| |지도자_칭호= 총통 | | |지도자_칭호= 총통 |
| |지도자_이름= 장우백 | | |지도자_이름= 장우백 |
78번째 줄: |
79번째 줄: |
| ==개요== | | ==개요== |
|
| |
|
| 캐나다는 영국의 정치 제도를 본따서 [[입헌군주제]]와 [[내각제]]를 채택했지만 땅이 넓은 관계로 이웃 미국의 제도를 모방해서 [[연방]] 국가가 되었다. 이 모델은 [[호주]] 연방 결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1867년에 [[온타리오]], [[퀘벡]],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가 연합해 캐나다 자치령이 된 것이 연방의 시작이며, 1949년에 마지막으로 [[뉴펀들랜드 래브라도|뉴펀들랜드]] 자치령이 가입했다.
| |
|
| |
|
| 그러나 최근 영연방을 탈퇴하여 대통령 중심제 국가로 탈바꿈 하고있다
| |
|
| |
| 1000만km^^2^^에 거의 육박한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러시아]]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다. [[중국]]보다 1.04배 크고 [[미국]]보다 1.01배 크며 러시아를 제외한 나머지 유럽 나라들을 합친 면적의 0.98배이다. 남한의 100배, 일본의 26배 정도 되는 면적을 가지고 있다. [[앵글로아메리카]]에서는 면적 1위이고, 인구수는 미국에 이은 2위다. 다만 러시아와 비슷하게 북부는 추워서 살기가 힘들고 개발도 힘들기 때문에 실제 가용 면적은 실제 면적보다 차이가 난다. 다만 북부를 빼도 엄청난 면적임은 사실.
| |
|
| |
| 세계 3위의 [[산유국]]이다. [[이라크]]나 [[아랍 에미리트]]보다도 석유가 많이 난다.
| |
|
| |
| ==역사==
| |
|
| |
| 수 천 년 간 캐나다 원주민들이 살아온 삶의 터전이었다. 16세기 후반 잉글랜드 왕국과 프랑스 왕국이 캐나다 탐험을 시작하였고 17세기 중반 캐나다의 대서양 해안에 정착하였다. 프랑스는 7년 전쟁에서 패배한 후 누벨프랑스를 영국에 양도하고 캐나다에서 지배력을 상실하였다. 1867년, 영국령 캐나다가 연합하여 캐나다를 이루게 되었다.
| |
| 1,2차세계대전 동안 영국의 자치령으로써 참전하여 함께 싸웠으며, 1951년 정식으로 국명을 캐나다 자치령이라고 정했다. 이후
| |
| 캐나다는 영연방의 한 국가로 늘그랬듯 영국과 호주등의 국가들과 교류하다가, 1999년 영연방 탈퇴선언을 하고 캐나다 합중국을 선포했다.
| |
|
| |
|
| | ==상징== |
|
| |
|
| ==상징==
| |
|
| |
|
| 단풍잎
| |
|
| |
|
| ==군사== | | ==군사== |
|
| |
|
|
| |
| ||||<table align=center><#BECE9E> {{{+1 캐나다군}}}
| |
| '''{{{+1 Canadian Armed Forces (CAF)}}}'''
| |
| '''{{{+1 Les Forces armées canadiennes (FAC)}}}''' ||
| |
| ||<-2> [[File:003.jpg|400px]] ||
| |
| ||<#D2CFCA>상비군 ||100000 명 ([[2019년]]) ||
| |
| ||<#D2CFCA>예비군 ||27,000 명 (2019년) ||
| |
| ||<#D2CFCA>[[전차]] ||282 대 ([[2019년]]) ||
| |
| ||<#D2CFCA>[[장갑차]](APCs/IFVs) ||1193 대 ([[2019년]]) ||
| |
| ||<#D2CFCA>[[견인포]] ||163 문 (2019년) ||
| |
| ||<#D2CFCA>[[박격포]] ||124 문 (2019년) ||
| |
| ||<#D2CFCA>[[자주포]] ||32 문 (2019년) ||
| |
| ||<#D2CFCA>[[MLRS]] ||21 문 (2019년) ||
| |
| ||<#D2CFCA>수송 차량 ||12,727 대 ||
| |
| ||<#D2CFCA>[[헬리콥터]] ||123 기 (2019년) ||
| |
| ||<#D2CFCA>[[전투기]] ||97 기 (2019년) ||
| |
| ||<#D2CFCA>공군기 총합 ||334 기 (2018년) ||
| |
| ||<#D2CFCA>[[항공모함]] ||0 척 ||
| |
| ||<#D2CFCA>GFP 기준 [[구축함]] ||2 척 (2018년) ||
| |
| ||<#D2CFCA>GFP 기준 [[호위함]](프리깃)||12 척 (2019년) ||
| |
| ||<#D2CFCA>[[초계함]]([[고속정]]) ||45 척 (2019년) ||
| |
| ||<#D2CFCA>[[잠수함]] ||10 척 (2019년) ||
| |
|
| |
|
|
| |
|
| ===편제=== | | ===편제=== |
|
| |
|
|
| |
|
| |
| [[캐나다]] 육군은 총 5개 사단으로 구성되있다
| |
|
| |
| [[캐나다]] 제1사단(1st Canadian Division)은 '[[육군본부]]'에 해당한다. [[캐나다]] 통합군 체제 내에서 본부역할을 맡고 있다. 국내 방어 외에도 해외 파병에 맡은 역할을 수행하는 [[캐나다]] [[육군]]의 특성상 지상군 파병에 따른 여러 행정 지원 업무 또한 1사단의 몫이다. 사령부는 [[온타리오]]주 킹스턴에 위치해 있다.
| |
|
| |
| [[캐나다]] 제2사단(2nd Canadian Division: 퀘벡지역 지상군)은 [[퀘벡]]지역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령부는 [[퀘벡]]주 [[몬트리올]]에 위치해 있으며, 예하에 5기계화 보병여단, 34여단(예), 35여단(예)을 두고 있다.
| |
|
| |
| [[캐나다]] 제3사단(3th Canadian Division: 서부지역 지상군)은 [[캐나다]] 서부지역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령부는 [[알버타]]주 [[에드먼턴]]에 위치해 있으며, 예하에 1기계화 보병여단, 38여단(예), 39여단(예), 41여단(예)을 두고 있다.
| |
|
| |
| [[캐나다]] 제4사단(4rd Canadian Division: 前 중부지역 지상군)은 [[캐나다]] 중부지역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령부는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위치해 있지만 예하 대부분의 부대들은 [[온타리오]]주 전역에 흩어져 있다. 예하에 2기계화 보병여단, 31여단(예), 32여단(예), 33여단(예)을 두고 있다.
| |
|
| |
| [[캐나다]] 제5사단(5th Canadian Division: 前 대서양지역 지상군)은 [[캐나다]] 대서양 연안지역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역 특성상 기계화 보병사단은 없고 1개 방공연대와 2개 예비군 여단을 두고 있다. 사령부는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에 위치해 있지만 예하 대부분의 부대들은 [[노바스코샤]]주 전역에 흩어져 있다.
| |
|
| |
|
| ==외교== | | ==외교== |
143번째 줄: |
96번째 줄: |
| * '''동맹국''' 관계는 '우방'을 넘어서 양국의 안보, 민생현안, 군사에 협력과 도움을 주는 동맹관계이다. | | * '''동맹국''' 관계는 '우방'을 넘어서 양국의 안보, 민생현안, 군사에 협력과 도움을 주는 동맹관계이다. |
| * '''우방국''' 관계는 우호 관계이나 적은 교류단계이다. | | * '''우방국''' 관계는 우호 관계이나 적은 교류단계이다. |
| * '''교류국'''은 단순 수교의 의미에서 캐나다와 물적, 지적교류를 시작하는 단계이다. | | * '''교류국'''은 단순 수교의 의미에서 중화민국과 물적, 지적교류를 시작하는 단계이다. |
| * '''수교국'''은 양국이 수교만 시작한 단순한 관계이다. | | * '''수교국'''은 양국이 수교만 시작한 단순한 관계이다. |
|
| |
|
154번째 줄: |
107번째 줄: |
| ==정치== | | ==정치== |
|
| |
|
| 국민당의 일당제 정치
| | 중화민국의 선거제도 |
|
| |
|
| 1894년에 홍콩에서 결성된 '흥중회', 1905년에 결성된 '중국동맹회', 1914년 일본 도쿄에서 결성된 '중화혁명당'을 계승 발전하여 현재의 형태로 완성되었다. 신해혁명의 주요 인물이었던 쑨 원과 중화민국의 총통이었던 장제스가 이 당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 중화민국은 선거제가 존재한다. 다만 총통을 제외한 모든 공직만 선거제가 이루어진다. 총통은 선거로 집권하지 않고, 물러나는 총통을 통해 계승받는다. |
|
| |
|
| ==경제== | | ==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