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연방/군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유소프 공화국 군사 설정
== 개요 ==


주변 위험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중국 (남중국해 관련 충돌)
 
가상 적국 : 인도네시아, 필리핀
 
◇ 확장 견제 국가 : 중국, 이란
 


유소프의 군사 전략
말레이시아 연방의 군사 전략
당연히 자국의 방어를 최우선으로 한다. 외교적으로 해결하겠지만, 만약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수립한다.
국방력이 약한 국가와의 충돌의 경우 우리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침략한 상대국 군대에 대한 섬멸을 목표로 한다.
국방력이 강한 국가의 공격이 있을 경우, 최대한 공격에 대한 지연을 시키며 상대국의 주요 지점에 대한 집중타격으로 최대한 큰 피해를 내어 휴전/종전을 이끌어내는 전략이다.


적국에 대한 자국의 방어를 최우선으로 한다. 다만, 적국의 공격이 있을 경우 상대국에 병력을 상륙시켜 전면전을 벌일 필요가 있다. 이럴 경우 상대국의 정복을 목표로 한다.
말레이시아 연방은 영국으로부터 독립 이후 중립노선을 유지하긴 하였지만, 어느정도의 친서방 노선으로 협력해 왔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신뢰도 높은 서방 국가의 무기를 주로 수입했다. 최근에는 국방자주화를 이루어내기 위해 자주포, 보병전투차 등을 직접 개발, 운용하고있다. 또한, 무기 현대화와 무인화를 위해 투자하고 있다.


또한 국방력이 강한 국가의 공격이 있을 경우, 최대한 공격에 대한 지연을 시키며 상대국의 주요 도시에 대한 집중타격으로 큰 피해를 내어 휴전/종전을 이끌어내는게 전략이다.
국가 인근에 상당히 많은 수의 배가 통행하며, 말라카 해협 등에는 그만큼 많은 해적들이 존재하여 주변 통항하는 선박을 해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군사력을 끌어올렸으며, 인근에 중국 등 강대국이 위치하며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의 분쟁 관련으루 충돌 가능성이 높은 국가들이 위치하고 있는 만큼 군사력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국방에 비용을 많이 투자한다.
 
유소프 공화국은 영국으로부터 독립 이후 친서방 노선을 선택해 협력해 왔으며 미국 등 서방 국가의 무기를 주로 수입했다. 최근에는 국방자주화를 이루어내기 위해 자주포, 보병전투차 등을 직접 개발, 운용하고있다.
 
유소프 공화국은 냉전시기부터 친미노선을 선택해 왔으며, 군사.안보적인 협력을 지속해왔다. 최근에는 중국, 이란 등의 견제를 목적으로 더욱 가까운 파트너로 성장하였다. 유소프는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였으며, 미국,앵거리와 손을 잡고 IFTO를 설립하기도 했을 만큼 미국과는 밀접한 동맹 관계이다.
 
유소프는 국가 인근에 많은 수의 배가 통행하며, 그만큼 많은 해적들이 존재하여 이를 방어하기 위해 군사력을 끌어올렸으며, 인근에 중국 등 강대국이 위치하며 직접적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으며(남중국해) 가까이에 인도네시아 등의 적국이 위치하고 있는 만큼 군사력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국방에 비용을 많이 투자한다.
 
 
◇ 유소프 공화국 GDP : 7473억 9600만 달러
 
◇ 유소프 공화국 인구 : 3900만명
 
◇ 국방비 276억 5635만 달러 (GDP대비 3.7%)


◇ 말레이시아 연방 GDP : 8300억 9791만 1766 달러
◇ 말레이시아 연방 인구 : 4082만 3149명
◇ 국방비 232억  4274만 1529 달러 (GDP대비 2.8%)
◇ 남성 징병제, 여성 모병제
◇ 남성 징병제, 여성 모병제
◇ 육.해.공군 2년 군복무
◇ 육.해.공군 2년 군복무
◇ 8년 예비군
◇ 8년 예비군
◇ 상비군 : 총 25만 5천명 (육군 20만명, 해군 2만5천명, 공군 3만명)
◇ 예비군 : 약 110만명


◇ 상비군 : 400,000명
 
◇ 예비군 : 약 2,000,000명


== 육군 ==
== 육군 ==
<육군>


육군의 경우 국토 전체(스프래틀리 제외)에 대한 수비를 맡는다.
육군의 경우 국토 전체(스프래틀리 제외)에 대한 수비를 맡는다.
대륙 방향으로는 태국과 국경을 접하고, 보르네오 섬에서는 인도네시아와 국경을 접한다. 양 국경 모두 사이가 좋지만은 않은 국가들과 접경중이므로 상당히 신경써서 방어를 한다.
국토 전체적으로 밀림이 우거져 있으며, 일부 높은 산간지역들이 위치하고 있어 대부분의 육군 병력들은 정글 전투오ㅡ 산악 전투에 대한 훈련을 먾이 받는다. 또한, 게릴라전에 대한 준비 역시 상당히 하고 있다.
육군에는 구르카 용병부대가 존재하며, 이들의 밀림과 산악지대 익숙도를 고려하여 보르네오섬 동부에 주로 투입한다.


말레이 반도 북부의 경우 동맹국인 티아프가 위치해 있어 한개 사단의 담당 범위가 넓다. 중국의 전면적 침공에 대비하며 북부 지원군은 중부에서 담당하고, 동부와 보르네오섬의 병력은 지원군이 올때까지 버틸 수준이다. 남부와 서부의 경우 인도네시아와의 거리가 가까운만큼 병력을 집중 배치해 놓았으며, 유사시 보르네오 지원군으로도 활동한다. 육군은 상륙작전이 벌어질 시 후방 작전을 수행한다. 상륙 이후 공격은 육군이 맡는다.
=== 육군 장비 목록 ===
=== 육군 장비 목록 ===
장비목록
3.5세대 전차 : 220대 (레오파르트 2SG Revolution)
3세대 전차 : 210대 (PT-91M 80대, M1A1 130대)
경전차 : 180대 (FV101 스콜피온)
APC : 1775대


(테렉스 AV-81 430대, 캐딜락 게이지V 410대, Bandvagn206 300대, M113A2 280대, K200APC 110대)
||<bgcolor=#909090><:>{{{#fff '''이름'''}}}||<:><bgcolor=#909090>{{{#fff '''종류'''}}}||<bgcolor=#909090><:>{{{#fff '''개발.생산국'''}}}||<bgcolor=#909090><:>{{{#fff '''보유수량'''}}}||<:><bgcolor=#909090>{{{#fff '''OTL 비교'''}}}||
 
||<bgcolor=#909090><-5><:>{{{#fff '''전차'''}}}||
IFV : 300대 (바이오닉스 250대, 헌터기갑전투차량 50대)
||<:>레오파르트 2SG 레볼루션||<:>3.5세대||<:>독일||<:>96대||<:>OTL과 동일||
 
||<:>레오파르트 2A4||<:>3세대||<:>독일||<:>120대||<:>OTL수량 +46대||
다연장로켓 : 220대 (M270MLRS 20대, AstroIIMLRS 80대, M142HIMARS 130대)
||<:>FV101 스콜피온||<:>경전차||<:>영국||<:>16대||<:>OTL 동일||
 
||<bgcolor=#909090><-5><:>{{{#fff '''다연장로켓'''}}}||
자주포 : 1080문 (SSPH프리머스(자주곡사포) 680문, BroncoATTC(자주박격포) 400문)
||<:>M142 Himars||<:>다연장||<:>미국||<:>24대||<:>OTL 동일||
 
||<:>Astro II||<:>다연장||<:>브라질||<:>54대||<:>OTL과 동일||
견인곡사포 : 1800문
||<bgcolor=#909090><-5><:>{{{#fff '''장갑차'''}}}||
 
||<:>바이오닉스II||<:>IFV||<:>싱가포르||<:>300대||<:>OTL 동일||
박격포 : 1300문
||<:>헌터 기갑전투차||<:>AFV||<:>싱가포르||<:>250대||<:>M113 대체중||
 
||<:>M113A2||<:>APC||<:>미국,싱가포르||<:>460대||<:>헌터로 대체||
헬기 : 169기 (AH-64 34기, CH-47SD 30기, H225 16기, UH-60 25기, S-70i 24기, AH1 40기)
||<:>테렉스 AV-81||<:>ACV||<:>싱가포르||<:>435대||<:>OTL -15대||
 
||<:>캐딜락 게이지 V-100/150/200||<:>APC||<:>미국||<:>520대||<:>OTL||
수송기 : 22기 (C-130H 12기, a400m 6기, CN-235 5기)
||<:>K200KIFV||<:>ACV||<:>한국||<:>110대||<:>OTL||
 
||<:>Bandvagn 206||<:>전지형 만능 장갑차||<:>스웨덴||<:>360대||<:>OTL -20대||
UAV : 40기 (소형 25기, 중형 15기)
||<:>Bronco All Terrain Carrier||<:>수륙 양용 장갑||<:>싱가포르||<:>400대||<:>OTL||
 
||<:>Uro Vamtac||<:>다목적||<:>스페인||<:>96대||<:>OTL -7대||
||<:>웨스트스타 GK M1||<:>다목적||<:>말레이시아||<:>100대||<:>OTL||
||<:>콘도르||<:>APC||<:>독일||<:>316대||<:>OTL||
||<:>SIBMAS||<:>화력지원||<:>벨기에||<:>140대||<:>OTL -46대||
||<:>ACV 300 아드난||<:>ACV||<:>터키, 말레이||<:>267대||<:>OTL||
||<:>AV-8 Gempita||<:>ACV||<:>터키, 말레이||<:>257대||<:>OTL||
||<:>VAB APC||<:>APC||<:>프랑스||<:>45대||<:>OTL||
||<:>AV-VBL||<:>포병지휘||<:>브라질||<:>10대||<:>OTL||
||<:>인터네셔널 맥스프로||<:>APC||<:>미국||<:>15대||<:>OTL||
||<:>벨렉스||<:>전투지원||<:>120대||<:>남아공. 싱가포르||<:>OTL||
||<:>피스키퍼 PRV||<:>APC||<:>110대||<:>프랑스. 싱가포르||<:>OTL||
||<:>AV4 Lipanbara||<:>APC||<:>태국, 말레이||<:>20대||<:>OTL||
||<:>Guardian||<:>APC||<:>UAE||<:>9대||<:>OTL||
||<bgcolor=#909090><-5><:>{{{#fff '''경공격 차량'''}}}||
||<:>경공격차량 총합||<:>light strike vehicle||<:>||<:>500~600대||<:>OTL 정보없음||
||<bgcolor=#909090><-5><:>{{{#fff '''자주포'''}}}||
||<:>SSPH 프리머스||<:>자주곡사포||<:>싱가포르||<:>110대||<:>OTL + 60대||
||<:>Bronco MTC[* Bronco ATTC 개조형]||<:>자주박격포||<:>싱가포르||<:>80대||<:>OTL 정보없음[* OTL 정보없음은 보유중인것은 확인되나, 정확한 수량이 파악되지 않음을 뜻함]||
||<bgcolor=#909090><-5><:>{{{#fff '''기타 포 종류'''}}}||
||<:>곡사포 총합||<:>곡사포||<:>||<:>800문||<:>OTL 정보없음||
||<:>박격포 총합||<:>박격포||<:>||<:>400문||<:>OTL 정보없음||
||<bgcolor=#909090><-5><:>{{{#fff '''무인기''' }}}||
||<:>ST Aerospace Skyblade II||<:>소형 무인정찰기||<:>싱가포르||<:>80기||<:>OTL 동일||
||<:>CTRM 알루드라||<:>소형 무인정찰기||<:>말레이시아||<:>6기||<:>OTL 정보없음||
||<:>Schiebel 캠콥터 s100||<:>무인정찰기||<:>오스트리아||<:>20기||<:>OTL 정보없음||
||<:>스카이레인저 R60||<:>소형 무인정찰기||<:>캐나다||<:>40기||<:>OTL 정보없음||
||<:>메기 트 반시||<:>다목적 무인기||<:>영국||<:>10기||<:>OTL 정보없음||
||<bgcolor=#909090><-5><:>{{{#fff '''헬리콥터(육군)'''}}}||
||<:>MD530||<:>헬리콥터||<:>미국||<:>6대||<:>OTL 동일||
||<:>AW109||<:>헬리콥터||<:>이탈리아,영국||<:>10대||<:>OTL 동일||
||<:>SH-3 시킹||<:>헬리콥터||<:>미국||<:>14대||<:>OTL 동일||
||<bgcolor=#909090><-5><:>{{{#fff '''OTL에서 제외된 장비''' }}}||
||<:>PT 91M Pendekar||<:>3세대 주력전차||<:>폴란드||<:>0대||<:>OTL -48대||


=== 육군 편제 ===
=== 육군 편제 ===


□ 특수전 사령부
※육군본부
 
⊙군수사령부 (싱가포르)
*제1 공수여단
  ㄴ 하위 부대
 
* 제2 공수여단


* 제3 공수여단
⊙교육사령부 (쿠알라룸푸르)
  ㄴ하위 부대


*제4 특임 여단
⊙인사사령부 (싱가포르)
  ㄴ행정, 기록 등 하위 부대 및 군악대, 군의장대


⊙미사일 사령부 (비공개)


□ 항공 작전 사령부
⊙동원전력 사령부 (싱가포르)
  ㄴ제1 동원전력군 (쿠알라룸푸르) - 말레이반도 서부 담당
  ㄴ제2 동원전력군 (파항) - 말레이반도 동부 담당
  ㄴ제3 동원전력군 (쿠칭) - 보르네오 서부 담당
  ㄴ제4 동원전력군 (브루나이) - 보르네오 동부 담당


* 제1 항공여단 (본토 북부)
⊙특전 사령부 (싱가포르) (약 1만명)
  ㄴ 사단 특임대 (총10개)
  ㄴ 공수 특전 여단 (1공수, 2공수, 3공수)
  ㄴ 제5 특임여단
  ㄴ 제6 특임단
  ㄴ 구르카 용병여단


*제2 항공여단 (본토 중부)
⊙지상작전 사령부 (싱가포르) - (사단은 1만2천명, 사령부, 군단 직할 여단은 3천명 규모)
  •제1군단 - 말레이 반도 서부(말라카, 네그리셈비란,슬랑고르,페락,페낭,페를리스,케다) 담당
  ㄴ제1 기계화보병 사단
  ㄴ제2 기계화보병 사단
  ㄴ제3 보병 사단
  ㄴ제1 기갑여단
  ㄴ제1 포병여단
  ㄴ제1 공병여단
  ㄴ제1 군수•지원여단


* 제3 항공여단 (본토 남부)
  •제2군단 - 말레이 반도 동부(켈란탄, 트렝가누, 파항, 조호르)
    ㄴ제5 기계화 보병 사단
    ㄴ제6 보병 사단
    ㄴ제3 보병 여단
    ㄴ제4 보병 여단
    ㄴ제3 기계화 보병 여단
    ㄴ제4 혼성 여단(기계화,기갑)
    ㄴ제2 기갑여단
    ㄴ제2 포병여단
    ㄴ제2 공병여단
    ㄴ제2 군수•지원여단


* 제4 항공여단 (보르네오섬)
  •제5군단 - 보르네오 서부 (사라왁)
    ㄴ제8 기계화 보병 사단
    ㄴ제9 보병 사단
    ㄴ제5 기갑여단
    ㄴ제5 포병여단
    ㄴ제5 공병여단
    ㄴ제5 군수•지원여단


  •제6군단 - 보르네오 동부 (사바, 브루나이)
  ㄴ제10 보병 사단
  ㄴ제7 보병 여단
  ㄴ제8 기계화 보병 여단
  ㄴ제8 보병 여단
  ㄴ제9 혼성 여단 (기계화, 기갑)
  ㄴ제6 기갑여단
  ㄴ제6 포병여단
  ㄴ제6 공병여단
  ㄴ제6 군수•지원여단


□ 지상 작전 사령부
•제50 기계화 보병여단 (쿠알라룸푸르 주둔, 말레이반도 지원)
•제51 혼성 여단(기계화, 포병) (파항 주둔, 말레이반도 지원)
•제60 기계화 보병여단 (빈툴루 주둔, 보르네오 지원)
•제61 혼성 여단 (기계화, 포병) (라부안 주둔, 보르네오 지원)


◇제1군단 (남부군)
* 11사단 (SP주 남부,싱가폴)
* 12사단 (SP주 동부)
* 13사단 (SP주 서부)
◇제2군단 (서부군)
* 21사단 (CM주 중부)
* 22사단 (CM주 남부)
* 23사단 (CM주 북부)
◇제3군단 (동부군)
*31사단 (NE주 남부)
*32사단 (NE주 중부)
*33사단 (NE주 중부)
*34사단 (NE주 북부)
◇제4군단 (북부군)
*41사단 (NP주 북부)
*42사단 (NP주 남부)
◇제 5군단 (보르네오군)
*51사단 (WB주 서부)
*52사단 (WB주 동부)
*53사단 (EB주 서부)
*54사단 (EB주 동부)
== 공군 ==
== 공군 ==
<공군>
<공군>


공군은 전시에는 적국의 주요 시설에 대한 타격을 책임지며 제공권 확보를 노린다. 가능할 경우 지상에 대한 지원도 진행한다. 평시에는 영공 방위와 국지적 도발에 대한 방어에 주력한다. 전시에 강대국을 상대로 휴전을 유도해 내기위해 주요도시를 공습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고 그에 따라 스텔스기를 소유한다.  
공군은 전시에는 적국의 주요 시설에 대한 타격을 책임지며 제공권 확보를 노린다. 가능할 경우 지상및 함선에 대한 지원도 진행한다. 평시에는 영공 방위와 남중국해 등에 대한 국지적 도발에 대한 방어에 주력한다.  
전시에 강대국을 상대로 휴전을 유도해 내기위해 주요도시를 공습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고 그에 따라 스텔스기를 소유한다.  


161번째 줄: 166번째 줄:
=== 공군 장비 목록 ===
=== 공군 장비 목록 ===


5세대 전투기 : 24기 (F35A)
||<bgcolor=#909090><:>{{{#fff '''이름'''}}}||<:><bgcolor=#909090>{{{#fff '''종류'''}}}||<bgcolor=#909090><:>{{{#fff '''개발.생산국'''}}}||<bgcolor=#909090><:>{{{#fff '''보유수량'''}}}||<:><bgcolor=#909090>{{{#fff '''OTL 비교'''}}}||
 
||<bgcolor=#909090><-5><:>{{{#fff '''전투기'''}}}||
4.5/4세대 전투기 : 248기 (F15SG 55기, F16C/D 154기, F/A18 8기, BAE HAWK208 13기, 라팔 18기)
||<:>F35-B||<:>5세대||<:>미국||<:>10기||<:>OTL 도입 진행중[* OTL F35 B형 12기 판매 승인 완료]||
 
||<:> F15E SG||<:>4.5세대||<:>미국||<:>40기||<:>OTL||
공격기 : 40기 (FA50)
||<:>F16C/D||<:>4.5세대||<:>미국||<:>70기||<:>OTL +14기||
 
||<:>F16V||<:>4.5세대||<:>미국||<:>14기||<:>OTL +14기||
조기경보기 : 7기 (E-2 4기, E737 3기)
||<bgcolor=#909090><-5><:>{{{#fff '''공중 급유, 수송기'''}}}||
 
||<:>A330MRTT||<:>공중급유, 수송||<:>프랑스||<:>6기||<:>OTL 동일||
공중급유/수송기 : 15기 (KC130H 9기, A330MRTT 6기)
||<:>KC130H||<:>공중급유, 수송||<:>미국||<:>9기||<:>OTL 동일||
 
||<:>A400M||<:>공중급유, 수송||<:>스페인||<:>4기||<:>OTL 동일||
전자전기 : 6기 (EA18G)
||<bgcolor=#909090><-5><:>{{{#fff '''조기경보기'''}}}||
 
||<:>걸프스트림 G550 AEW||<:>조기경보기||<:>미국||<:>4기||<:>OTL 동일||
수송기 : 12기 (c130 7기, cn235 5기)
||<:>E737 피스아이||<:>조기경보기||<:>미국||<:>3기||<:>OTL 미도입 장비||
 
||<bgcolor=#909090><-5><:>{{{#fff '''초계기'''}}}||
헬기 : EC725 12기, Bell214 1기, MBB bo105 6기
||<:>포커 50||<:>초계||<:>네덜란드||<:>4기||<:>OTL -1기||
 
||<:>P-3 오라이언||<:>초계||<:>미국||<:>3기||<:>OTL 미도입 장비||
UAV : 글로벌 호크 2기, 기타 10기
||<bgcolor=#909090><-5><:>{{{#fff '''전자전기'''}}}||
 
||<:>EA18G||<:>전자전||<:>미국||<:>6기||<:>OTL 미도입 장비||
보병전투차(기지방어용) : k200a1 46대
||<bgcolor=#909090><-5><:>{{{#fff '''수송기'''}}}||
 
||<:>B737||<:>VIP||<:>미국||<:>1기||<:>OTL||
||<:>A319||<:>VIP||<:>독일||<:>1기||<:>OTL||
||<:>봉바르디아 글로벌 익스프레스||<:>VIP||<:>캐나다||<:>1기||<:>OTL||
||<:>C130H||<:>수송||<:>미국||<:>15기||<:>OTL||
||<:>CN235||<:>수송||<:>스페인, 인도네시아||<:>8기||<:>OTL||
||<:>포커50||<:>수송||<:>네덜란드||<:>4기||<:>OTL - 2기||
||<bgcolor=#909090><-5><:>{{{#fff '''헬리콥터'''}}}||
||<:>EC725||<|8><:>헬리콥터||<:>프랑스||<:>12기||<|8><:>OTL||
||<:>MBB BO 105||<:>독일||<:>6기||
||<:>AS332||<:>프랑스||<:>32기||
||<:>H225||<:>프랑스||<:>16기||
||<:>AH-64D||<:>미국||<:>17기||
||<:>CH-47S D/F||<:>미국||<:>15기||
||<:>S-70B||<:>미국||<:>8기||
||<:>S-70I||<:>미국||<:>16기||
||<bgcolor=#909090><-5><:>{{{#fff '''무인기'''}}}||
||<:>CTRM 알루드라 MK1||<:>소형 무인정찰기||<:>말레이시아||<:>3기||<:>OTL||
||<:>CTRM 이글150ARV ||<:>경비행 무인정찰기||<:>말레이시아||<:>3기||<:>OTL||
||<:>IAI Eitan UAV||<:>중고도 장거리 무인정찰기||<:>이스라엘||<:>6기||<:>OTL 미도입 장비||
||<:>제너럴아토믹스 MQ-1 프리데터 UAV||<:>무인 전투||<:>미국||<:>4기||<:>OTL 미도입 장비||
||<:>TAI Anka UAV||<:>무인 전투 및 정찰||<:>터키||<:>4기||<:>OTL 미도입 장비||
||<:>BAY TAKER TB2||<:>무인 전투 및 정찰||<:>터키||<:>2기||<:>OTL 미도입 장비||
||<:>CTRM 알루드라 카마르 ||<:>무인기||<:>말레이시아||<:>10기||<:>OTL||
||<bgcolor=#909090><-5><:>{{{#fff '''OTL에서 제외된 장비'''}}}||
||<:>슈퍼킹에아||<:>초계기||<:>미국||<:>0기||<:>OTL -3기||
||<:>Bell 214||<:>헬리콥터||<:>미국||<:>0기||<:>OTL -1기||
||<:>F/A18||<:>4세대 전투기||<:>미국||<:>0기||<:>OTL -8기||
||<:>SU-30MKM||<:>4세대 전투기||<:>러시아||<:>0기||<:>OTL -18기||
||<:>BAE Hawk 208||<:>4세대 전투기||<:>영국||<:>0기||<:>OTL -13기||


=== 공군 편제 ===
=== 공군 편제 ===


□공중기동정찰사령부
공군 편제는 규모에 상관없이 이름을 붙였음.
 
* 21공중기동비행단 (수송기 및 공중급유)
 
* 22공중기동비행단 (수송기 및 공중급유)
 
* 25탐색구조비행전대
 
* 28전술정찰비행전대(유인 및 무인 정찰기)
 
* 29항공통제비행전대(조기경보기 운영)
 


□공중전투사령부
※공군본부 (싱가포르 파야레바)
  ㄴ제90 비행전대 (VIP 고정익기)
  ㄴ제95 비행전대 (VIP 회전익기)
⊙ 공군 교육 사령부 (쿠알라룸푸르)
    ㄴ하위 일선 부대


*제1 전투비행단 (창이)
⊙ 공군 군수 사령부 (쿠안탄)
    ㄴ 하위 일선 부대


*제2 전투비행단 (스나이)
⊙ 방공 관제 사령부 (싱가포르)
  ㄴ제1 방공관제 전대 (쿠알라룸푸르 주둔, 말레이 반도 관할)
  ㄴ제2 방공관제 전대 (라부안 주둔, 보르네오 섬 관할)
  ㄴ제3 방공관제 대대 (싱가포르 주둔, 싱가포르 및 인근 공역 관할)


*제3 전투비행단 (Tengah)
⊙ 방공 유도탄 사령부 (싱가포르)
  ㄴ제1 방공 유도탄 전대 (싱가포르)
  ㄴ제2 방공 유도탄 전대 (쿠알라룸푸르)
  ㄴ제3 방공 유도탄 전대 (쿠칭)


*제5 전투비행단 (KL)
⊙ 공중 기동 정찰 사령부 (싱가포르 파야 레바)
  ㄴ제30 비행단 (싱가포르 파야레바)
  ㄴ제31 비행단 (라부안)
  ㄴ제32 전대 (쿠안탄)
  ㄴ제33 전대 (버터워스)


* 제6 전투 비행단 (수방)
⊙ 공군 작전 사령부


* 제7 전투비행단 (부킷주그라)
•제1공중전투사령부 (파야레바)
  ㄴ제1 전투비행단 (창이)
  ㄴ제2 전투비행단 (조호르, 부킷룬추)
  ㄴ제3 전투비행단 (파항, 쿠안탄)
  ㄴ제11 전투비행전대 (싱가포르, Tengah)


* 제8 전투비행단 (키나라)
•제2공중전투사령부 (쿠알라룸푸르)
  ㄴ제5 전투비행단 (쿠알라룸푸르)
  ㄴ제6 전투비행단 (페낭, 버터워스)
  ㄴ제7 전투비행단 (켈란탄, 공케닥)
  ㄴ제12 전투비행전대 (슬랑고르, 수방)
  ㄴ제14 전투비행전대 (페락, 에포)


* 제9 전투비행단 (쿠안탄)
•제3공중전투사령부 (쿠칭)
  ㄴ제9 전투비행단 (사라왁, 쿠칭)
  ㄴ제10 전투비행단 (라부안)
  ㄴ제15 전투비행전대 (스왈로우리프, 스프래틀리) -> 제10 전투비행단에서 교대 근무


* 제10 전투비행단 (부킷이밤)
* 제11 전투비행단 (알로스타)
* 제12 전투비행단 (버터워스)
* 제13 전투비행단 (에포)
* 제14 전투비행단 (공케닥)
* 제15 전투비행단 (쿠칭)
*제 16 전투비행단 (라부안)
* 스프래틀리 군도 방공 비행단 (swallow reef)
== 해군 ==
== 해군 ==
<해군>
<해군>


평시에는 해상 경계와 국지적 도발에 대한 방어를 진행한다. 세계 해상 교역로의 중심인 유소프의 위치적 특성으로 해적들이 다수 존재하며, 해안경찰과 함께 해적을 진압한다. 반도와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요 분쟁 지역이 바다라는 점에서 유소프는 해군에 큰 투자를 하였다. 전시에는 전면적인 해상 전투를 벌이고, 상륙을 전담하는 부대가 존재한다. 적국으로의 상륙을 위한 강습상륙함과 수송함이 필요로 하며, 상대가 강대국일 경우 주요 도시에 대한 집중타격을 위해 해군 강습상륙함용 스텔스기가 존재한다. 동부는 분쟁지역으로 전담하는 연안경계부대가 존재한다.
평시에는 해상 경계와 국지적 도발에 대한 방어를 진행한다. 세계 해상 교역로의 중심인 말레이시아의 위치적 특성으로 해적들이 다수 존재하며, 평사 임무의 대부분은 해적 경계와 진압 작전이다. 반도와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요 분쟁 지역이 바다라는 점에서 말레이시아는 해군에 큰 투자를 하였다. 전시에는 전면적인 해상 전투를 벌이고, 상륙을 전담하는 부대가 존재한다. 섬으로의 이동을 위해 대형 수송함이 필요로 한다.
 
 
=== 해군 장비 목록 ===
 
*강습상륙함 2척
 
ㄴ 41,000t급 (미국 와스프급 8번함과 동급) 2척
 
*상륙수송함 5척
 
ㄴ 8,500t급 (인듀어런스급) 5척
 
*구축함 5척
 
ㄴ 이지스 구축함 10,600t급 (한국 세종대왕과 동급) 2척
 
ㄴ 구축함 5,500t급 (한국 이순신급과 동급) 3척
 
*호위함 15척
 
ㄴ 준이지스 호위함 3,200t급 (포미더블급) 7척
 
ㄴ 호위함 3,100t 마하라자레라급 6척
 
ㄴ 호위함 2,300t 레키우급 2척
 
*초계함, 하위급초계함 34척
 
ㄴ1,900t 카스투리급 2척
 
ㄴ 1,850t 케다급 6척
 
ㄴ 1,625t 다루살람급 4척
 
ㄴ 1,200t 인디펜던스급 8척
 
ㄴ780t 케리스급 4척
 
ㄴ675t 락사마나급 4척
 
ㄴ600t 빅토리급 6척
 
*고속정 36척
 
ㄴ500t 피얼리스급 2척
 
ㄴ270t 시울프급 10척
 
ㄴ260t 이치하드급 4척
 
ㄴ268t 한달란급 4척
 
ㄴ265t 페르다나급 4척
 
ㄴ255t 주롱급 6척
 
ㄴ250t 무스테드급 1척
 
ㄴ205t 와스파다급 3척
 
ㄴ109t 케리스급 2척
 
*재래식 잠수함 10척
 
ㄴ2,200t 인크레더블급 6척
 
ㄴ1,600t 스콜페네급 2척
 
ㄴ1,400t 아처급 2척
 
*군수지원함 6척


*기해.소해함 8척
=== 해군 장비목록 ===
 
||<bgcolor=#909090><:>{{{#fff '''이름'''}}}||<bgcolor=#909090><:>{{{#fff '''배수량'''}}}||<bgcolor=#909090><:>{{{#fff '''개발.생산국'''}}}||<bgcolor=#909090><:>{{{#fff '''보유수량'''}}}||<:><bgcolor=#909090>{{{#fff '''OTL 비교'''}}}||
*LCU(landing craft utility) 10척
||<bgcolor=#909090><-5><:>{{{#fff '''잠수함'''}}}||
 
||<:>Invincible급||<:>2,200t||<:>독일||<:>4척||<:>OTL||
*LCM(landing craft machanized) 24척
||<:>스콜페네급||<:>1,600t||<:>프랑스||<:>2척||<:>OTL||
 
||<:>아처급||<:>1,400t||<:>스웨덴||<:>2척||<:>OTL||
*FCU(fast craft utility) 12척
||<:>챌린저급||<:>1,400t||<:>스웨덴||<:>2척(-2)||<:>OTL||
 
||<bgcolor=#909090><-5><:>{{{#fff '''구축함'''}}}||
*FCEU(fast craft equipment&utility) 24척
||<:>MRCV(가칭)||<:>5,300t||<:>싱가포르||<:>4척||<:>OTL 도입 사업||
 
||<bgcolor=#909090><-5><:>{{{#fff '''호위함'''}}}||
*5세대 전투기
||<:>포미더블급||<:>3,200t||<:>프랑스, 싱가포르||<:>8척||<:>OTL||
 
||<:>마하라자레라급||<:>3,100t||<:>프랑스, 말레이시아||<:>6척||<:>OTL||
ㄴF-35B 12기
||<:>레키우급||<:>2,300t||<:>영국||<:>2척||<:>OTL||
 
||<bgcolor=#909090><-5><:>{{{#fff '''초계함'''}}}||
*수송기 24기
||<:>카스투리급||<:>1,900t||<:>독일||<:>1척||<:>OTL||
 
||<:>케다급||<:>1,850t||<:>독일, 말레이||<:>6척||<:>OTL||
ㄴV-22 24기
||<:>다루살람급||<:>1,625t||<:>독일||<:>4척||<:>OTL||
 
||<:>인디펜던스급||<:>1,200t||<:>싱가포르||<:>10척||<:>OTL +2척||
*초계기 7기
||<:>락사마나급||<:>675t||<:>이탈리아||<:>4척||<:>OTL||
 
||<:>빅토리급||<:>595t||<:>독일, 싱가포르||<:>2척||<:>OTL||
ㄴ포커50 5기
||<bgcolor=#909090><-5><:>{{{#fff '''고속함, 고속정, 미사일 보트, 해상보안함'''}}}||
 
||<:>센티넬급[* 구 피얼리스급 고속함 개조]||<:>500t||<:>싱가포르||<:>4척||<:>OTL||
ㄴP-8 2기
||<:>이치하드급||<:>260t||<:>독일||<:>4척||<:>OTL||
 
||<:>한달란급||<:>268t||<:>스웨덴||<:>4척||<:>OTL||
*회전익기 86기
||<:>페르다나급||<:>265t||<:>프랑스||<:>4척||<:>OTL||
 
||<:>주롱급||<:>255t||<:>독일||<:>6척||<:>OTL||
ㄴAH-1 8기
||<:>무스테드급||<:>250t||<:>싱가포르||<:>1척||<:>OTL||
 
||<:>케리스급||<:>109t||<:>영국||<:>2척||<:>OTL||
ㄴCH-53 8기
||<bgcolor=#909090><-5><:>{{{#fff '''기뢰/소해함'''}}}||
 
||<:>베독급||<:>380t||<:>싱가포르||<:>4척||<:>OTL||
ㄴUH-1 6기
||<:>마하미루급||<:>635t||<:>이탈리아||<:>4척||<:>OTL||
 
||<bgcolor=#909090><-5><:>{{{#fff '''수송함, 수송지원선'''}}}||
ㄴCH-47SD 15기
||<:>인듀어런스급 상륙수송함||<:>8,500t||<:>싱가포르||<:>4척||<:>OTL||
 
||<:>스리인데라삭티급 수송함||<:>4,300t||<:>독일||<:>2척||<:>OTL||
ㄴ유로콥터 AS332 28기
||<:>스리티가급 수송선||<:>117t||<:>말레이시아||<:>2척||<:>OTL||
 
||<bgcolor=#909090><-5><:>{{{#fff '''해군의 공중 장비'''}}}||
ㄴSH-60 12기
||<:>SH-60 시호크||<:>헬리콥터||<:>미국||<:>10기||<:>OTL +2기||
 
||<:>AW139||<:>헬리콥터||<:>이탈리아||<:>3기||<:>OTL||
ㄴ슈퍼링스 9기
||<:>슈퍼링스||<:>헬리콥터||<:>영국||<:>8기||<:>OTL +2기||
 
||<:>AS332||<:>헬리콥터||<:>프랑스||<:>6기||<:>OTL||
* AAV-7A1 상륙장갑차 40대
||<:>보잉 스캔이글||<:>무인정찰기||<:>미국||<:>30기||<:>OTL 말레이 동일, 싱가포르 정보 없음||
 
||<bgcolor=#909090><-5><:>{{{#fff '''무인선박(USV)'''}}}||
* SSPH 프리머스 자주포 24문
||<:>Protrctor USV||<:>USV||<:>이스라엘||<:>8대||<:>OTL 정보없음||
 
||<:>Venus 16||<:>USV||<:>싱가포르||<:>20대||<:>OTL 정보없음||
* SLWH 페가수스 견인 곡사포 30문
||<:>스파르탄 스카우트||<:>USV||<:>미국||<:>2대||<:>OTL||
 
||<:>Pitanha||<:>USV||<:>미국||<:>2대||<:>OTL||
* 기타 박격포 18문
||<bgcolor=#909090><-5><:>{{{#fff '''OTL에서 제외된 장비'''}}}||
 
||<:>케리스급 초계함||<:>780t||<:>중국||<:>0척||<:>OTL -4척||


=== 해군 편제 ===
=== 해군 편제 ===


□해병 사령부
해군 편제는 규모에 상관없이 이름 붙임.
 
ㄴ 상륙 사단
 
ㄴ 동보르네오 경계부대
 
ㄴ 스프래틀리 군도 경계부대
 
해군 작전 사령부
 
◇1함대
 
ㄴ제1 해상전투단 (말레이 반도 중.북부)
 
ㄴ싱가폴 해역 사령부 (말레이 반도 남부)
 
ㄴ서부 해역 방어 사령부 (CM주)
 
◇2함대
 
ㄴ제2 해상전투단
 
ㄴ브루나이 해역 사령부
 
◇잠수함사령부


ㄴ31 잠수함 전대
※해군 본부 (싱가포르)
ㄴ투아스 기지 방어 사령부


ㄴ32 잠수함 전대
⊙해군 교육 사령부 (쿠안탄)
  ㄴ일선 부대


◇5성분전단
⊙해군 군수 사령부 (쿠안탄)
  ㄴ일선 부대


ㄴ51 기뢰.소해 전대
⊙해군 작전 사령부 (싱가포르)


ㄴ52 상륙 전대
•제1함대 (투아스, 싱가포르)
  ㄴ제1해상전투단 (투아스) -1전대 (창이), 2전대 (탄중펜겔리, 조호르)
  ㄴ제2해상전투단 (랑카위) -3전대 (랑카위), 5전대 (페락, 루무트)
  ㄴ제3해상전투단 (쿠안탄) -6전대 (쿠안탄, 파항), 7전대 (코타바루, 켈란탄)


◇6항공전단
•제2함대 (쿠칭,사라왁)
  ㄴ제5해상전투단 (쿠칭) - 8전대 (쿠칭), 9전대 (빈툴루)
  ㄴ제6해상전투단 (브루나이) - 10전대(무아르, 브루나이), 11전대 (셈포르나), 12전대(산다칸)


ㄴ61 초계 전대
•잠수함 사령부 (투아스, 싱가포르)
  ㄴ제21전대 (투아스)
  ㄴ제22전대 (세팡가르, 코티키나발루)


ㄴ62 헬기 전대
•제5성분전단 (탄중펜겔리, 조호르)
  ㄴ제31기뢰전대 (조호르)
  ㄴ제32 기뢰전대 (브루나이)
  ㄴ제33 기동전대 (창이)
  ㄴ제34 기동건설대 (페락)
  ㄴ제35 기동건설대 (쿠칭)


◇7특수전전단
•제6항공단 (창이)
  ㄴ제61항공단 (창이)
  ㄴ제62항공단 (브루나이)


ㄴ 71 특전대
•제7 특수전전단 (창이)
  ㄴ제70 해난구조전대 (창이)
  ㄴ제71 해난구조전대 (브루나이)
  ㄴ제73 해군 특임단 (쿠안탄)
  ㄴ제75 폭발물 처리대 (창이)


ㄴ 72 구조 전대
•제8 근해기지관리단 (무아라, 브루나이) -근해기지 관리 목적으로 한 관리대 당 10명 이하 교대 근무 (사실상 2함대 하위 부대)
  ㄴ800관리대 - 미들락, 조호르
  ㄴ810관리대 - 스왈로우리프
  ㄴ820관리대 - 아르다시에리프
  ㄴ830관리대 - 마리벨레스 리프
  ㄴ840관리대 - 에리카리프
  ㄴ850관리대 - 인베스터게이터숄

2022년 3월 15일 (화) 00:55 기준 최신판

개요

◇ 주변 위험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중국 (남중국해 관련 충돌)

◇ 말레이시아 연방의 군사 전략 당연히 자국의 방어를 최우선으로 한다. 외교적으로 해결하겠지만, 만약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수립한다. 국방력이 약한 국가와의 충돌의 경우 우리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침략한 상대국 군대에 대한 섬멸을 목표로 한다. 국방력이 강한 국가의 공격이 있을 경우, 최대한 공격에 대한 지연을 시키며 상대국의 주요 지점에 대한 집중타격으로 최대한 큰 피해를 내어 휴전/종전을 이끌어내는 전략이다.

말레이시아 연방은 영국으로부터 독립 이후 중립노선을 유지하긴 하였지만, 어느정도의 친서방 노선으로 협력해 왔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신뢰도 높은 서방 국가의 무기를 주로 수입했다. 최근에는 국방자주화를 이루어내기 위해 자주포, 보병전투차 등을 직접 개발, 운용하고있다. 또한, 무기 현대화와 무인화를 위해 투자하고 있다.

국가 인근에 상당히 많은 수의 배가 통행하며, 말라카 해협 등에는 그만큼 많은 해적들이 존재하여 주변 통항하는 선박을 해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군사력을 끌어올렸으며, 인근에 중국 등 강대국이 위치하며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의 분쟁 관련으루 충돌 가능성이 높은 국가들이 위치하고 있는 만큼 군사력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국방에 비용을 많이 투자한다.

◇ 말레이시아 연방 GDP : 8300억 9791만 1766 달러 ◇ 말레이시아 연방 인구 : 4082만 3149명 ◇ 국방비 232억 4274만 1529 달러 (GDP대비 2.8%) ◇ 남성 징병제, 여성 모병제 ◇ 육.해.공군 2년 군복무 ◇ 8년 예비군 ◇ 상비군 : 총 25만 5천명 (육군 20만명, 해군 2만5천명, 공군 3만명) ◇ 예비군 : 약 110만명

육군

육군의 경우 국토 전체(스프래틀리 제외)에 대한 수비를 맡는다. 대륙 방향으로는 태국과 국경을 접하고, 보르네오 섬에서는 인도네시아와 국경을 접한다. 양 국경 모두 사이가 좋지만은 않은 국가들과 접경중이므로 상당히 신경써서 방어를 한다. 국토 전체적으로 밀림이 우거져 있으며, 일부 높은 산간지역들이 위치하고 있어 대부분의 육군 병력들은 정글 전투오ㅡ 산악 전투에 대한 훈련을 먾이 받는다. 또한, 게릴라전에 대한 준비 역시 상당히 하고 있다. 육군에는 구르카 용병부대가 존재하며, 이들의 밀림과 산악지대 익숙도를 고려하여 보르네오섬 동부에 주로 투입한다.

육군 장비 목록

이름종류개발.생산국보유수량OTL 비교
전차
레오파르트 2SG 레볼루션3.5세대독일96대OTL과 동일
레오파르트 2A43세대독일120대OTL수량 +46대
FV101 스콜피온경전차영국16대OTL 동일
다연장로켓
M142 Himars다연장미국24대OTL 동일
Astro II다연장브라질54대OTL과 동일
장갑차
바이오닉스IIIFV싱가포르300대OTL 동일
헌터 기갑전투차AFV싱가포르250대M113 대체중
M113A2APC미국,싱가포르460대헌터로 대체
테렉스 AV-81ACV싱가포르435대OTL -15대
캐딜락 게이지 V-100/150/200APC미국520대OTL
K200KIFVACV한국110대OTL
Bandvagn 206전지형 만능 장갑차스웨덴360대OTL -20대
Bronco All Terrain Carrier수륙 양용 장갑싱가포르400대OTL
Uro Vamtac다목적스페인96대OTL -7대
웨스트스타 GK M1다목적말레이시아100대OTL
콘도르APC독일316대OTL
SIBMAS화력지원벨기에140대OTL -46대
ACV 300 아드난ACV터키, 말레이267대OTL
AV-8 GempitaACV터키, 말레이257대OTL
VAB APCAPC프랑스45대OTL
AV-VBL포병지휘브라질10대OTL
인터네셔널 맥스프로APC미국15대OTL
벨렉스전투지원120대남아공. 싱가포르OTL
피스키퍼 PRVAPC110대프랑스. 싱가포르OTL
AV4 LipanbaraAPC태국, 말레이20대OTL
GuardianAPCUAE9대OTL
경공격 차량
경공격차량 총합light strike vehicle500~600대OTL 정보없음
자주포
SSPH 프리머스자주곡사포싱가포르110대OTL + 60대
Bronco MTC Bronco ATTC 개조형자주박격포싱가포르80대OTL 정보없음 OTL 정보없음은 보유중인것은 확인되나, 정확한 수량이 파악되지 않음을 뜻함
기타 포 종류
곡사포 총합곡사포800문OTL 정보없음
박격포 총합박격포400문OTL 정보없음
무인기
ST Aerospace Skyblade II소형 무인정찰기싱가포르80기OTL 동일
CTRM 알루드라소형 무인정찰기말레이시아6기OTL 정보없음
Schiebel 캠콥터 s100무인정찰기오스트리아20기OTL 정보없음
스카이레인저 R60소형 무인정찰기캐나다40기OTL 정보없음
메기 트 반시다목적 무인기영국10기OTL 정보없음
헬리콥터(육군)
MD530헬리콥터미국6대OTL 동일
AW109헬리콥터이탈리아,영국10대OTL 동일
SH-3 시킹헬리콥터미국14대OTL 동일
OTL에서 제외된 장비
PT 91M Pendekar3세대 주력전차폴란드0대OTL -48대

육군 편제

※육군본부 ⊙군수사령부 (싱가포르)ㄴ 하위 부대


⊙교육사령부 (쿠알라룸푸르)ㄴ하위 부대


⊙인사사령부 (싱가포르)ㄴ행정, 기록 등 하위 부대 및 군악대, 군의장대


⊙미사일 사령부 (비공개)

⊙동원전력 사령부 (싱가포르)ㄴ제1 동원전력군 (쿠알라룸푸르) - 말레이반도 서부 담당ㄴ제2 동원전력군 (파항) - 말레이반도 동부 담당ㄴ제3 동원전력군 (쿠칭) - 보르네오 서부 담당ㄴ제4 동원전력군 (브루나이) - 보르네오 동부 담당


⊙특전 사령부 (싱가포르) (약 1만명)ㄴ 사단 특임대 (총10개)ㄴ 공수 특전 여단 (1공수, 2공수, 3공수)ㄴ 제5 특임여단ㄴ 제6 특임단ㄴ 구르카 용병여단


⊙지상작전 사령부 (싱가포르) - (사단은 1만2천명, 사령부, 군단 직할 여단은 3천명 규모)•제1군단 - 말레이 반도 서부(말라카, 네그리셈비란,슬랑고르,페락,페낭,페를리스,케다) 담당ㄴ제1 기계화보병 사단ㄴ제2 기계화보병 사단ㄴ제3 보병 사단ㄴ제1 기갑여단ㄴ제1 포병여단ㄴ제1 공병여단ㄴ제1 군수•지원여단


•제2군단 - 말레이 반도 동부(켈란탄, 트렝가누, 파항, 조호르)ㄴ제5 기계화 보병 사단ㄴ제6 보병 사단ㄴ제3 보병 여단ㄴ제4 보병 여단ㄴ제3 기계화 보병 여단ㄴ제4 혼성 여단(기계화,기갑)ㄴ제2 기갑여단ㄴ제2 포병여단ㄴ제2 공병여단ㄴ제2 군수•지원여단


•제5군단 - 보르네오 서부 (사라왁)ㄴ제8 기계화 보병 사단ㄴ제9 보병 사단ㄴ제5 기갑여단ㄴ제5 포병여단ㄴ제5 공병여단ㄴ제5 군수•지원여단


•제6군단 - 보르네오 동부 (사바, 브루나이)ㄴ제10 보병 사단ㄴ제7 보병 여단ㄴ제8 기계화 보병 여단ㄴ제8 보병 여단ㄴ제9 혼성 여단 (기계화, 기갑)ㄴ제6 기갑여단ㄴ제6 포병여단ㄴ제6 공병여단ㄴ제6 군수•지원여단


•제50 기계화 보병여단 (쿠알라룸푸르 주둔, 말레이반도 지원) •제51 혼성 여단(기계화, 포병) (파항 주둔, 말레이반도 지원) •제60 기계화 보병여단 (빈툴루 주둔, 보르네오 지원) •제61 혼성 여단 (기계화, 포병) (라부안 주둔, 보르네오 지원)

공군

<공군>

공군은 전시에는 적국의 주요 시설에 대한 타격을 책임지며 제공권 확보를 노린다. 가능할 경우 지상및 함선에 대한 지원도 진행한다. 평시에는 영공 방위와 남중국해 등에 대한 국지적 도발에 대한 방어에 주력한다. 전시에 강대국을 상대로 휴전을 유도해 내기위해 주요도시를 공습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고 그에 따라 스텔스기를 소유한다.

공군 장비 목록

이름종류개발.생산국보유수량OTL 비교
전투기
F35-B5세대미국10기OTL 도입 진행중 OTL F35 B형 12기 판매 승인 완료
F15E SG4.5세대미국40기OTL
F16C/D4.5세대미국70기OTL +14기
F16V4.5세대미국14기OTL +14기
공중 급유, 수송기
A330MRTT공중급유, 수송프랑스6기OTL 동일
KC130H공중급유, 수송미국9기OTL 동일
A400M공중급유, 수송스페인4기OTL 동일
조기경보기
걸프스트림 G550 AEW조기경보기미국4기OTL 동일
E737 피스아이조기경보기미국3기OTL 미도입 장비
초계기
포커 50초계네덜란드4기OTL -1기
P-3 오라이언초계미국3기OTL 미도입 장비
전자전기
EA18G전자전미국6기OTL 미도입 장비
수송기
B737VIP미국1기OTL
A319VIP독일1기OTL
봉바르디아 글로벌 익스프레스VIP캐나다1기OTL
C130H수송미국15기OTL
CN235수송스페인, 인도네시아8기OTL
포커50수송네덜란드4기OTL - 2기
헬리콥터
EC725헬리콥터프랑스12기OTL
MBB BO 105독일6기
AS332프랑스32기
H225프랑스16기
AH-64D미국17기
CH-47S D/F미국15기
S-70B미국8기
S-70I미국16기
무인기
CTRM 알루드라 MK1소형 무인정찰기말레이시아3기OTL
CTRM 이글150ARV경비행 무인정찰기말레이시아3기OTL
IAI Eitan UAV중고도 장거리 무인정찰기이스라엘6기OTL 미도입 장비
제너럴아토믹스 MQ-1 프리데터 UAV무인 전투미국4기OTL 미도입 장비
TAI Anka UAV무인 전투 및 정찰터키4기OTL 미도입 장비
BAY TAKER TB2무인 전투 및 정찰터키2기OTL 미도입 장비
CTRM 알루드라 카마르무인기말레이시아10기OTL
OTL에서 제외된 장비
슈퍼킹에아초계기미국0기OTL -3기
Bell 214헬리콥터미국0기OTL -1기
F/A184세대 전투기미국0기OTL -8기
SU-30MKM4세대 전투기러시아0기OTL -18기
BAE Hawk 2084세대 전투기영국0기OTL -13기

공군 편제

공군 편제는 규모에 상관없이 이름을 붙였음.

※공군본부 (싱가포르 파야레바) ㄴ제90 비행전대 (VIP 고정익기)ㄴ제95 비행전대 (VIP 회전익기)⊙ 공군 교육 사령부 (쿠알라룸푸르)ㄴ하위 일선 부대


⊙ 공군 군수 사령부 (쿠안탄)ㄴ 하위 일선 부대


⊙ 방공 관제 사령부 (싱가포르)ㄴ제1 방공관제 전대 (쿠알라룸푸르 주둔, 말레이 반도 관할)ㄴ제2 방공관제 전대 (라부안 주둔, 보르네오 섬 관할)ㄴ제3 방공관제 대대 (싱가포르 주둔, 싱가포르 및 인근 공역 관할)


⊙ 방공 유도탄 사령부 (싱가포르)ㄴ제1 방공 유도탄 전대 (싱가포르) ㄴ제2 방공 유도탄 전대 (쿠알라룸푸르)ㄴ제3 방공 유도탄 전대 (쿠칭)


⊙ 공중 기동 정찰 사령부 (싱가포르 파야 레바)ㄴ제30 비행단 (싱가포르 파야레바)ㄴ제31 비행단 (라부안)ㄴ제32 전대 (쿠안탄)ㄴ제33 전대 (버터워스)


⊙ 공군 작전 사령부

•제1공중전투사령부 (파야레바)ㄴ제1 전투비행단 (창이)ㄴ제2 전투비행단 (조호르, 부킷룬추)ㄴ제3 전투비행단 (파항, 쿠안탄)ㄴ제11 전투비행전대 (싱가포르, Tengah)


•제2공중전투사령부 (쿠알라룸푸르)ㄴ제5 전투비행단 (쿠알라룸푸르)ㄴ제6 전투비행단 (페낭, 버터워스)ㄴ제7 전투비행단 (켈란탄, 공케닥)ㄴ제12 전투비행전대 (슬랑고르, 수방)ㄴ제14 전투비행전대 (페락, 에포)


•제3공중전투사령부 (쿠칭)ㄴ제9 전투비행단 (사라왁, 쿠칭)ㄴ제10 전투비행단 (라부안)ㄴ제15 전투비행전대 (스왈로우리프, 스프래틀리) -> 제10 전투비행단에서 교대 근무


해군

<해군>

평시에는 해상 경계와 국지적 도발에 대한 방어를 진행한다. 세계 해상 교역로의 중심인 말레이시아의 위치적 특성으로 해적들이 다수 존재하며, 평사 임무의 대부분은 해적 경계와 진압 작전이다. 반도와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요 분쟁 지역이 바다라는 점에서 말레이시아는 해군에 큰 투자를 하였다. 전시에는 전면적인 해상 전투를 벌이고, 상륙을 전담하는 부대가 존재한다. 섬으로의 이동을 위해 대형 수송함이 필요로 한다.

해군 장비목록

이름배수량개발.생산국보유수량OTL 비교
잠수함
Invincible급2,200t독일4척OTL
스콜페네급1,600t프랑스2척OTL
아처급1,400t스웨덴2척OTL
챌린저급1,400t스웨덴2척(-2)OTL
구축함
MRCV(가칭)5,300t싱가포르4척OTL 도입 사업
호위함
포미더블급3,200t프랑스, 싱가포르8척OTL
마하라자레라급3,100t프랑스, 말레이시아6척OTL
레키우급2,300t영국2척OTL
초계함
카스투리급1,900t독일1척OTL
케다급1,850t독일, 말레이6척OTL
다루살람급1,625t독일4척OTL
인디펜던스급1,200t싱가포르10척OTL +2척
락사마나급675t이탈리아4척OTL
빅토리급595t독일, 싱가포르2척OTL
고속함, 고속정, 미사일 보트, 해상보안함
센티넬급 구 피얼리스급 고속함 개조500t싱가포르4척OTL
이치하드급260t독일4척OTL
한달란급268t스웨덴4척OTL
페르다나급265t프랑스4척OTL
주롱급255t독일6척OTL
무스테드급250t싱가포르1척OTL
케리스급109t영국2척OTL
기뢰/소해함
베독급380t싱가포르4척OTL
마하미루급635t이탈리아4척OTL
수송함, 수송지원선
인듀어런스급 상륙수송함8,500t싱가포르4척OTL
스리인데라삭티급 수송함4,300t독일2척OTL
스리티가급 수송선117t말레이시아2척OTL
해군의 공중 장비
SH-60 시호크헬리콥터미국10기OTL +2기
AW139헬리콥터이탈리아3기OTL
슈퍼링스헬리콥터영국8기OTL +2기
AS332헬리콥터프랑스6기OTL
보잉 스캔이글무인정찰기미국30기OTL 말레이 동일, 싱가포르 정보 없음
무인선박(USV)
Protrctor USVUSV이스라엘8대OTL 정보없음
Venus 16USV싱가포르20대OTL 정보없음
스파르탄 스카우트USV미국2대OTL
PitanhaUSV미국2대OTL
OTL에서 제외된 장비
케리스급 초계함780t중국0척OTL -4척

해군 편제

해군 편제는 규모에 상관없이 이름 붙임.

※해군 본부 (싱가포르) ㄴ투아스 기지 방어 사령부

⊙해군 교육 사령부 (쿠안탄)ㄴ일선 부대


⊙해군 군수 사령부 (쿠안탄)ㄴ일선 부대


⊙해군 작전 사령부 (싱가포르)

•제1함대 (투아스, 싱가포르)ㄴ제1해상전투단 (투아스) -1전대 (창이), 2전대 (탄중펜겔리, 조호르)ㄴ제2해상전투단 (랑카위) -3전대 (랑카위), 5전대 (페락, 루무트)ㄴ제3해상전투단 (쿠안탄) -6전대 (쿠안탄, 파항), 7전대 (코타바루, 켈란탄)


•제2함대 (쿠칭,사라왁)ㄴ제5해상전투단 (쿠칭) - 8전대 (쿠칭), 9전대 (빈툴루)ㄴ제6해상전투단 (브루나이) - 10전대(무아르, 브루나이), 11전대 (셈포르나), 12전대(산다칸)


•잠수함 사령부 (투아스, 싱가포르)ㄴ제21전대 (투아스)ㄴ제22전대 (세팡가르, 코티키나발루)


•제5성분전단 (탄중펜겔리, 조호르)ㄴ제31기뢰전대 (조호르)ㄴ제32 기뢰전대 (브루나이)ㄴ제33 기동전대 (창이)ㄴ제34 기동건설대 (페락)ㄴ제35 기동건설대 (쿠칭)


•제6항공단 (창이)ㄴ제61항공단 (창이)ㄴ제62항공단 (브루나이)


•제7 특수전전단 (창이)ㄴ제70 해난구조전대 (창이)ㄴ제71 해난구조전대 (브루나이)ㄴ제73 해군 특임단 (쿠안탄)ㄴ제75 폭발물 처리대 (창이)


•제8 근해기지관리단 (무아라, 브루나이) -근해기지 관리 목적으로 한 관리대 당 10명 이하 교대 근무 (사실상 2함대 하위 부대)ㄴ800관리대 - 미들락, 조호르ㄴ810관리대 - 스왈로우리프ㄴ820관리대 - 아르다시에리프ㄴ830관리대 - 마리벨레스 리프ㄴ840관리대 - 에리카리프ㄴ850관리대 - 인베스터게이터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