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목차]
| |
|
| |
|
| ==개요==
| |
|
| |
| 육군
| |
|
| |
| 30만
| |
|
| |
| 해군
| |
|
| |
| 4만(연안방위대 4만)
| |
|
| |
| 공군
| |
|
| |
| 1만
| |
|
| |
| 주방위군
| |
|
| |
| 45만
| |
|
| |
| 예비군
| |
|
| |
| 215만
| |
|
| |
| 해병
| |
|
| |
| 27,500
| |
|
| |
| 공수
| |
|
| |
| 17,500
| |
|
| |
| ==바이에른 제국국방군==
| |
|
| |
| 국방군 최고사령부
| |
| ㄴ육군 최고사령부
| |
| ㄴ해군 최고사령부
| |
| ㄴ공군 최고사령부
| |
|
| |
| 후방통수본부
| |
| ㄴ사열국
| |
| ㄴ병무국
| |
| ㄴ병참국
| |
| ㄴ교도대지휘부
| |
| ㄴ주방위군지휘부
| |
| ㄴ예비군지휘부
| |
|
| |
| 참모본부
| |
| ㄴ정보국
| |
| ㄴ철도국
| |
| ㄴ작전국
| |
|
| |
| 육군최고사령부
| |
| ㄴ기갑사령부
| |
|
| |
| 해군최고사령부
| |
| ㄴ해병사령부
| |
| ㄴ해군항공대지휘부
| |
| ㄴ연안방위대
| |
|
| |
| 공군최고사령부
| |
| ㄴ공수사령부
| |
|
|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
| |
| 육군
| |
|
| |
| 30만
| |
|
| |
| 해군
| |
|
| |
| 4만(연안방위대 4만)
| |
|
| |
| 공군
| |
|
| |
| 1만
| |
|
| |
| 주방위군
| |
|
| |
| 45만
| |
|
| |
| 예비군
| |
|
| |
| 215만
| |
|
| |
| 해병
| |
|
| |
| 27,500
| |
|
| |
| 공수
| |
|
| |
| 17,500
| |
|
|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
| |
| 집단군-군집단 2개
| |
| 군집단-군단 2개
| |
| 군단-30,000명
| |
| 사단-15,000명
| |
| 여단-6,000명
| |
| 연대-3,000명
| |
| 대대-1,000명
| |
|
|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
| |
| 개인화기:HK416(25만정)
| |
| 분대지원화기:MG3D(7만정)
| |
| 견인곡사포:M109D155(1000문)
| |
| 자주곡사포:PzH-1000A2, PzH-EV(각 500문)
| |
| 주력전차:Gro-1, 레오파트르 2A7, EV-22A(500, 250, 500)
| |
| 기계화:Marder-1A5, Marder-2
| |
| 전투기:F16BD, F15BD, F35BD(200, 150, 50)
| |
| 공격기:A-10DS
| |
| DDG:바이에른급(10,009t)4척
| |
| DDH:도이칠란드급(8,012t)8척
| |
| FFG:뮌헨급(5,679t)12척
| |
| 코르벳:슐레비히홀스타인급(2,284t)20척
| |
| LHD:비스마르크급(24,568t)4척
| |
| SS:함부르크급(1,502t)8척
| |
|
|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
| |
| 육군
| |
|
| |
| 제101 보병사단
| |
| 제102 보병사단
| |
| 제103 보병사단
| |
| 제104 보병사단
| |
| 제105 보병사단
| |
| 제106 보병사단
| |
| 제107 보병사단
| |
| 제108 보병사단
| |
| 제109 보병사단
| |
| 제110 보병사단
| |
| 제111 보병사단
| |
| 제112 보병사단
| |
| 제201 기갑사단
| |
| 제202 기갑사단
| |
| 제203 기갑사단
| |
| 제204 기갑사단
| |
| 제301 포병사단
| |
| 제302 포병사단
| |
| 제303 포병사단
| |
| 제304 포병사단
| |
| 제401 자주포병사단
| |
| 제402 자주포병사단
| |
| 제501 기계화사단
| |
| 제502 기계화사단
| |
| 제601 전투단
| |
| 제602 전투단
| |
| 제603 전투단
| |
| 제604 전투단
| |
|
|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
| |
| 해군
| |
|
| |
| 제1함대
| |
| ㄴ제1전대
| |
| ㄴ제2전대
| |
| 제2함대
| |
| ㄴ제3전대
| |
| ㄴ제4전대
| |
| 제3함대
| |
| ㄴ제5전대
| |
| ㄴ제6전대
| |
| 제4함대
| |
| ㄴ제7전대
| |
| ㄴ제8전대
| |
|
| |
| (각 함대 당 15척 총 60척)
| |
|
|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
| |
| 제1공중전투단
| |
|
| |
| 제2공중전투단
| |
|
| |
| 제3공중전투단
| |
|
| |
| 제4공중전투단
| |
|
| |
| 제5폭격전투단
| |
|
| |
| 제6공격전투단
| |
|
| |
| (각 전투단 당 50대의 기체가 배속.)
| |
|
|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 ==군설==
| |
|
| |
|
| |
| ===전략론===
| |
|
| |
| 여기서 얘기하는 기동 전략론이란, 방위상 및 공세상의 기동 전략론이다.
| |
|
| |
| 본인의 지식이 미흡하니, 지적은 환영이고, 과다하게 신봉하지 마시길.
| |
|
| |
| 우선, [[기동]](起動)이란, 군사적 정의 상 움직임의 상위적인, 또는 부수적인 항목이라 보면 되겠다.
| |
|
| |
| [[기동전]] 문서를 필독하라!
| |
|
| |
| ==== 방어기동 ====
| |
|
| |
| 우선, 방위상의 기동일 경우에는, 보병의 [[지연전]](遲延)을 기반으로 한다.
| |
|
| |
| 적은 숫자의 기동군으로, 보병 부대의 지연 지역을, 필요 할때 지원, 타격한다,
| |
|
| |
| 이때는 기갑, 기계화 병과를 기본으로 하고,[[전선타격군]](前線打擊部隊) 이라고 불러도 무방하겠다.
| |
|
| |
| 방어기동은, 보병의 지연을 전제로, 그 전선을 기동, 유동적이게 운용해서 타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겠다.
| |
|
| |
| 이상적인 타격 부대로는, 기갑대대, 기계화대대 등 속도가 높고, 타격력, 돌파력이 높은 부대여야 한다.
| |
|
| |
| 다만, 모두 보병의 지원, 엄호, 지연을 전제로 한다.
| |
|
| |
| ==== 공세기동 ====
| |
|
| |
| 공세 기동이란, 2차 대전기의 독-소 전 양상을 봐도 무방하겠으며, 프랑스 전격전 역시 참고 대상이다.
| |
|
| |
| 폴란드 전격전 등, 독일은 참고 대상이다.
| |
|
| |
| 공세 시의 기동은, 마찬가지로 보병에 기반되지만, 대체로 장대한 전선(독-소전)의 경우에는, 보병 역시 지연전을 수행하기 어렵다.
| |
|
| |
| 고로, 기갑 부대의 대 기갑 전투로, 적 기동타격 부대를 제압하는게 좋다고 본다.
| |
|
| |
| 보병만 있는 군대는 [[기갑]]에게 취약하고, 기갑만 있는 군대는 보병에 취약하다, 이를 기억하라!
| |
|
| |
| [[전차 무용론]]은 좋다고 보지 않는다.
| |
|
| |
| 전차는 확실한 돌파력을 제공해 준다!
| |
|
| |
| === 지연전 ===
| |
|
| |
| [[지연전]]이란, 보병의 [[참호전]], 등을 전제로 하는 전투 행위를 일컬는다.
| |
|
| |
| 보통 1차 세계대전의 [[서부전선]]에서 진행되기 쉬웠으나, [[동부전선]]에서는 1, 2차 대전기 전부 통하지 않았다.
| |
|
| |
| '''전선이 너무 넓었기 때문이다'''
| |
|
| |
| 그렇다.
| |
|
| |
| 서부 전선과 다르게 전선이 매우 넓었다.
| |
|
| |
| 단적 비교만 하자면, (해안선 제외)
| |
|
| |
| 20배. 20배 정도의 차이이다.
| |
|
| |
| 그런 만큼, 자재가 딸리는 전시에 참호를 만들기는 무리였다!
| |
|
| |
| [[분류:군사]] [[분류:바이에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