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MS Grosswolk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JMS Grosswolk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목차] | |||
== 개요 == | |||
월본의 철도 차량 목록이다. | |||
== WR 도기타 == | == [[WR 도기타]] == | ||
=== 디젤동차 === | === 디젤동차 === | ||
||<#dcdcdc>계열명||<#dcdcdc>운행년도||<#dcdcdc>주력 운행 노선||<#dcdcdc>비고|| | |||
||[[D5계 동차]]||1965 - 1991||[[도기타선]][* 10번대], [[신나카야선]][* 20번대]||도기타 최초의 고상통근형 동차|| | |||
||[[D6계 동차]]||1966 - 1979||[[도기타선]][* 260번대], [[신나카야선]][* 270번대], [[신오야선]][* 290번대]||도기타 최초의 특별급행형 동차|| | |||
||[[D7계 동차]]||1966 - 1968||[[지모리선]][* 시운전기간 소실]||도기타 사상 가장 단명한 차량, 도기타 최초의 근교형 동차[* [[지모리·도기타 정비창 참사]]로 전량 소실]|| | |||
||[[D8계 동차]]||1967 - 1985||[[지모리선]][* 260번대], [[경신설선]][* 280번대], [[코쿠죠센선]][* 1000번대]||D7계 동차를 위해 긴급 투입, 후신 [[D35계 동차]], [[D835계 동차]], 도기타 최초의 저상통근-근교 복합형 동차|| | |||
== [[WR 중부월본]] == | |||
=== 디젤동차 === | |||
||<#dcdcdc>계열명||<#dcdcdc>운행년도||<#dcdcdc>주력 운행 노선||<#dcdcdc>비고|| | |||
||[[D5계 동차]]||1965 - 1976||[[나카세선]][* 당시 나카세 연락선][* 30번대]||중부월본 최초의 고상통근형 동차, 지형조건으로 조기 퇴역|| | |||
| | |||
| | |||
| | |||
| [[ | |||
| |
2018년 9월 23일 (일) 00:30 판
개요
월본의 철도 차량 목록이다.
WR 도기타
디젤동차
계열명 | 운행년도 | 주력 운행 노선 | 비고 |
D5계 동차 | 1965 - 1991 | 도기타선 10번대, 신나카야선 20번대 | 도기타 최초의 고상통근형 동차 |
D6계 동차 | 1966 - 1979 | 도기타선 260번대, 신나카야선 270번대, 신오야선 290번대 | 도기타 최초의 특별급행형 동차 |
D7계 동차 | 1966 - 1968 | 지모리선 시운전기간 소실 | 도기타 사상 가장 단명한 차량, 도기타 최초의 근교형 동차 지모리·도기타 정비창 참사로 전량 소실 |
D8계 동차 | 1967 - 1985 | 지모리선 260번대, 경신설선 280번대, 코쿠죠센선 1000번대 | D7계 동차를 위해 긴급 투입, 후신 D35계 동차, D835계 동차, 도기타 최초의 저상통근-근교 복합형 동차 |
WR 중부월본
디젤동차
계열명 | 운행년도 | 주력 운행 노선 | 비고 |
D5계 동차 | 1965 - 1976 | 나카세선 당시 나카세 연락선 30번대 | 중부월본 최초의 고상통근형 동차, 지형조건으로 조기 퇴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