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분류: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НСССР)]] | |||
{{{#!wiki style="border-width:5px 1px 1px;border-style:solid;border-color:#0039A6;padding:12px" | {{{#!wiki style="border-width:5px 1px 1px;border-style:solid;border-color:#0039A6;padding:12px" | ||
{{{'''카카오톡 가상군대 카자흐 인민 수호군을 다루는 공식 문서입니다.'''}}}}}} | {{{'''카카오톡 가상군대 카자흐 인민 수호군을 다루는 공식 문서입니다.'''}}}}}} |
2024년 11월 26일 (화) 15:07 기준 최신판
#!wiki style="border-width:5px 1px 1px;border-style:solid;border-color:#0039A6;padding:12px" {{{카카오톡 가상군대 카자흐 인민 수호군을 다루는 공식 문서입니다.}}}
Kazakh People's Guard Army |
---|
카자흐 인민수호군 |
깃발 | |
창설일 | 1945년 4월 15일 |
국가 | 카자흐 |
소속 | 카자흐 인민 사령부 |
상비군 | 40,000여명 |
예비군 | 75,000여명 |
병역제도 | 모병제 |
참전 | 한국전쟁 |
개요
카자흐SSR의 군대
상세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다.(러시아 제외) 최초의 여성 장교를 탄생시켰으며, 이를 계기로 군사력 증강을 계속하여 소련 내에서 군사력 2위에 버금가는 군사력을 지니게 되었다.
육군에 비해 해군이 더 강한 편인데, 왜냐하면 아래쪽에 투르크, 우즈벡, 키르기스 같은 소련 구성국들이 지키고 있어 실질적으로 카자흐는 중국과의 국경을 지키는 국경 수비대만 있으면 되기에 육군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카자흐는 기본적으로 모병제를 하고 있다. 하지만 군대를 가게 되면 기본 연봉 400만 텡게에(천만원) 휴가도 두달마다 한번 챙겨주기에(최대 5박 6일) 할일 없는 사람들이나 대학 떨어진 사람들이 주로 군에 입대한다. 군대에서 폐급이나 선임이 갈구는 짓은 없다고 한다.
수뇌부
통수권자 | 라자흐 안드르스 |
총참모총장 | 리아노 바르니코프 |
해군 참모총장 | 아이 하이바스 |
육군 국경사령관 | 하이 카이저 |
공군 관리대장 | 리오 네이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