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왕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대조선국 왕비}}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bf1400;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4.4px;"
{{분류:대조선국 왕세자빈과 왕세손빈}}
|-
||<width=100><#972000><-999> {{{+2 {{{#ffffff '''조선 명종의 왕비''' }}}}}} ||
! colspan="2"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f1400 0%, #bf1400 20%, #bf1400 80%, #bf1400); color: #ffd400;" | 조선 명종의 왕비<br>{{글씨 크기 (px)|18.56|의성왕후ㅣ懿聖王后 }}
||<width=100><#972000><-999> {{{+1 {{{#ffffff '''의정왕후 | 懿貞王后''' }}}}}} ||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어기.png]] ||
! colspan="2" style="background: #;" | <div style="margin: -6px -9px;">[[파일:의정2]]</div>
||<-3><#972000> {{{#ffffff 출생}}} || 2023년 2월 21일 [br] {{{-1 대조선국 여산 사저}}} ||
|-
||<-3><#972000> {{{#ffffff 사망}}} || 2023년 8월 6일 (향년 92세) [br] {{{-1 대조선국 한양 경희궁}}}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ffd400;" | 출생
||<-3><#972000> {{{#ffffff 능}}} || '''양릉(陽陵)''' ||
| 2023년 2월 21일
||<-3><#972000> {{{#ffffff 재위기간}}} || 2023년 7월 1일 ~ 2023년 8월 6일 (37일) ||
|-
||<-3><#972000> {{{#ffffff 본관}}} || 여산 송씨 ||
| 한성부 사저
||<-3><#972000> {{{#ffffff 부모}}} || 없음 ||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없음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ffd400;" | 사망
||<-3><#972000> {{{#ffffff 배우자}}} || [[대조선국 명종|명종]] ||
| 2023년 8월 6일 (향년 92세)
||<-3><#972000> {{{#ffffff 자녀}}} || [[정순 공주]], [[효문 세자]](양자), 경원 대군(양자) ||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 한성부 경복궁 교태전
||<-3><#972000> {{{#ffffff 시호}}} || '''의정왕후(懿貞王后)'''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ffd400;" | 능묘
| 양릉 (陽陵)
|-
! rowspan="6"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ffd400;" | 재위기간
| style="background: #00582D;" | '''{{글씨 색|#ffd400||조선 승은상궁}}'''
|-
| 2023년 8월 25일 ~ 2023년 8월 26일
|-
| style="background: #bf1400;" | '''{{글씨 색|#ffd400||조선 왕비}}'''
|-
| 2023년 8월 26일 ~ 2023년 8월 28일
|-
| style="background: #94153e;" | '''{{글씨 색|#ffd400||조선 왕대비}}'''
|-
| 2023년 8월 28일 ~ 2023년 11월 10일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LeeSooHyen_02"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eeSooHyen_02"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5px 0px;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 style="text-align: left; font-size: 14.4px; margin: 0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ffd400;" | 본관
| 수원 백씨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ffd400;" | 배우자
| 문종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ffd400;" | 자녀
| 1남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ffd400;" | 종교
| 유교 (성리학)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ffd400;" | 존호
| 인혜명의 (仁惠明懿)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ffd400;" | 시호
| 의성왕후 (懿聖王后)
|-
|}</div></div>
|}


==[[파일:현재2.png|width=30]] '''개요'''==
{{목차}}


조선 제4대 국왕 [[대조선국 명종|명종]]의 왕비이며 본관은 여산 송씨.
==개요==


==[[파일:현재2.png|width=30]] '''조용한 왕비의 삶'''==
'''조선 제5대 국왕 문종의 왕비이자, 조선 제6대 국왕 영조의 모후'''이며 헌종의 친할머니이자, 예종의 증조할머니가 된다. 또한 조선의 역대 왕비 중 후궁 봉작을 받지 못한 승은상궁 출신으로 중전에 올라 왕대비가 유일한 사람이다. 왕권이 약했던 초반 영조를 지탱하고 그의 가장 큰 뒷 배경이 됐다.
 
2023년 2월 21일, 여산에서 태어나 어느정도 부유하게 자란 의정왕후는 여러 국가들을 다니며 학문을 쌓았다. 그렇게 학문을 쌓던 도중 2023년 4월 2일, 왕세자던 [[대조선국 명종|명종]]의 청혼을 받아 조선의 왕세자빈이 되었고, 혼례를 치루게 된다. 4월 8일에는 장녀 [[정순 공주]]를 얻었으며 5월 19일에는 손자 [[효문 세자]]와 경원 대군을 얻었다.
 
왕세자빈으로 무려 '''90일'''간 재위한 끝에 2023년 7월 1일 [[대조선국 성종|성종]]이 훙서하고 남편 [[대조선국 명종|명종]]이 왕위에 오르며 조선의 왕비가 되었다. 왕비가 이후에 백성들을 향해 늘 관심을 보이며 봉사 단체에도 후원하며 늘 모범적인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그러다 7월 말부터 몸이 안좋아진 의정왕후는 경희궁으로 온양행을 갔다가 8월 5일 [[효문 세자]]의 훙서 소식을 듣고 몸이 더 안 좋아져 8월 6일 오전 1시에 경희궁에서 훙서하였다.
 
==[[파일:현재2.png|width=30]] '''가족 관계'''==
----
||<tablebordercolor=#972000; width=600px; table align=center><#972000><:> {{{#ffffff '''자녀'''}}} ||<#972000><:> {{{#ffffff '''이름'''}}} ||<#972000><:> {{{#ffffff '''출생'''}}} ||<#972000><:> {{{#ffffff '''배우자/자녀'''}}} ||
||<#E6FFFF> 1녀 ||<#E6FFFF> [[정순 공주]] ||<#E6FFFF> 2023년 4월 8일 ||<#E6FFFF> 덕흥군 <br> [[효문 세자]], 경원 대군 ||
 
==[[파일:현재2.png|width=30]] '''평가'''==
 
・의정왕후는 역대 왕비중 성품이 가장 좋아 백성들의 사랑을 꾸준히 받았다.

2025년 4월 10일 (목) 18:29 판

조선 명종의 왕비
의성왕후ㅣ懿聖王后
출생 2023년 2월 21일
한성부 사저
사망 2023년 8월 6일 (향년 92세)
한성부 경복궁 교태전
능묘 양릉 (陽陵)
재위기간 조선 승은상궁
2023년 8월 25일 ~ 2023년 8월 26일
조선 왕비
2023년 8월 26일 ~ 2023년 8월 28일
조선 왕대비
2023년 8월 28일 ~ 2023년 11월 10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 수원 백씨
배우자 문종
자녀 1남
종교 유교 (성리학)
존호 인혜명의 (仁惠明懿)
시호 의성왕후 (懿聖王后)

개요

조선 제5대 국왕 문종의 왕비이자, 조선 제6대 국왕 영조의 모후이며 헌종의 친할머니이자, 예종의 증조할머니가 된다. 또한 조선의 역대 왕비 중 후궁 봉작을 받지 못한 승은상궁 출신으로 중전에 올라 왕대비가 된 유일한 사람이다. 왕권이 약했던 초반 영조를 지탱하고 그의 가장 큰 뒷 배경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