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개요)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고생물학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을 때는 [[공룡]]은 외형이 유사한 이 도마뱀류와 가까운 분류라고 인식했었다. 공룡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다이너소어(Dinosaur)도 [[그리스어]]로 '무섭다(δεινό)'는 뜻의 데이노와 '도마뱀(σαυρος)'을 뜻하는 사브로스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공룡을 연구하고 고생물학이 발전하면서, 공룡은 오히려 도마뱀보다 조류나 악어류에 더 가까운 분류임이 밝혀졌다. | 고생물학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을 때는 [[공룡]]은 외형이 유사한 이 도마뱀류와 가까운 분류라고 인식했었다. 공룡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다이너소어(Dinosaur)도 [[그리스어]]로 '무섭다(δεινό)'는 뜻의 데이노와 '도마뱀(σαυρος)'을 뜻하는 사브로스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공룡을 연구하고 고생물학이 발전하면서, 공룡은 오히려 도마뱀보다 조류나 악어류에 더 가까운 분류임이 밝혀졌다. | ||
==특징== | |||
대부분 시력이 발달되어 있다. 대부분의 [[도마뱀붙이]]와 장님도마뱀류는 눈꺼풀이 존재하지 않는다.[* 단 보편적으로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표범도마뱀붙이|레오파드게코]]의 경우에는 눈꺼풀이 있다.] | |||
[[홍채]] 또한 둥그렇고 평범한 주행성은 대부분 눈꺼풀을 가지고 있지만, 눈꺼풀이 없거나, 혹은 야행성인 경우에는 고양잇과 눈처럼 홍채가 세로로 길다. | |||
도마뱀 계통에서 시각적으로 가장 발달된 종류인 카멜레온은 독특한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눈은 안구가 머리 양 옆으로 튀어나와 있고, 안구 전체가 두꺼운 눈꺼풀에 덮여 있으며, 360º로 돌아가고, 두 안구가 따로 놀 수 있다. | |||
후각은 시각과 더불어 사냥 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감각 기관이다.[* 하지만 [[카멜레온]]은 시각이 매우 잘 발달되어있기 때문에 거의 시각에 의존하고 있다고 봐도 된다.] 많은 도마뱀이 후각을 사용하고,[* 뱀과 비슷하게 입천장 부위에 야콥슨기관(제이콥슨기관)이 존재한다.] 후각을 통해 먹이나, 짝짓기, 영역 등을 확인한다고 한다. '''[[코모도왕도마뱀]]은 최대 10km까지 떨어져 있는 고기 냄새를 맡는다고 한다.''' | |||
후각은 뛰어난 반면 [[미각]]은 크게 발달하지 않는다고 한다. [[파충류]]하면 가장 떠오르는 것이 바로 특이하게 생긴 혀이다. 이 혀는 여러가지 형태로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카멜레온]]의 길게 발사할 수 있는 혀가 있고, [[뱀]]처럼 끝부분이 두 갈래로 나뉜 긴 형태 등이 있다. | |||
도마뱀은 대부분 발성 기관이 발달되지 않아 청각이 크게 발달되지 않았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발성 기관이 발달한 도마뱀붙이류의 여러 종들은 청각이 발달되어 있다. | |||
---- | ---- | ||
[[분류:도마뱀아목]] | [[분류:도마뱀아목]] |
2023년 12월 24일 (일) 18:31 판
도마뱀 Lizard | ||
---|---|---|
학명 | Lacertilia (Günther, 1867) |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파충강Reptilia | |
목 | 뱀목Squamata | |
아목 | 도마뱀아목Lacertilia |
개요
도마뱀은 파충강 뱀목 도마뱀아목에 속하는 생명체를 일컫는 말이다. 현존하는 파충류 중 종류가 가장 많고 특히 최근 분기도를 따르자면 뱀도 도마뱀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 중 한국에는 도마뱀붙이과, 장지뱀과, 도마뱀과의 총 3과가 서식한다.
고생물학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을 때는 공룡은 외형이 유사한 이 도마뱀류와 가까운 분류라고 인식했었다. 공룡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다이너소어(Dinosaur)도 그리스어로 '무섭다(δεινό)'는 뜻의 데이노와 '도마뱀(σαυρος)'을 뜻하는 사브로스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공룡을 연구하고 고생물학이 발전하면서, 공룡은 오히려 도마뱀보다 조류나 악어류에 더 가까운 분류임이 밝혀졌다.
특징
대부분 시력이 발달되어 있다. 대부분의 도마뱀붙이와 장님도마뱀류는 눈꺼풀이 존재하지 않는다. 단 보편적으로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레오파드게코의 경우에는 눈꺼풀이 있다.
홍채 또한 둥그렇고 평범한 주행성은 대부분 눈꺼풀을 가지고 있지만, 눈꺼풀이 없거나, 혹은 야행성인 경우에는 고양잇과 눈처럼 홍채가 세로로 길다.
도마뱀 계통에서 시각적으로 가장 발달된 종류인 카멜레온은 독특한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눈은 안구가 머리 양 옆으로 튀어나와 있고, 안구 전체가 두꺼운 눈꺼풀에 덮여 있으며, 360º로 돌아가고, 두 안구가 따로 놀 수 있다.
후각은 시각과 더불어 사냥 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감각 기관이다. 하지만 카멜레온은 시각이 매우 잘 발달되어있기 때문에 거의 시각에 의존하고 있다고 봐도 된다. 많은 도마뱀이 후각을 사용하고, 뱀과 비슷하게 입천장 부위에 야콥슨기관(제이콥슨기관)이 존재한다. 후각을 통해 먹이나, 짝짓기, 영역 등을 확인한다고 한다. 코모도왕도마뱀은 최대 10km까지 떨어져 있는 고기 냄새를 맡는다고 한다.
후각은 뛰어난 반면 미각은 크게 발달하지 않는다고 한다. 파충류하면 가장 떠오르는 것이 바로 특이하게 생긴 혀이다. 이 혀는 여러가지 형태로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카멜레온의 길게 발사할 수 있는 혀가 있고, 뱀처럼 끝부분이 두 갈래로 나뉜 긴 형태 등이 있다.
도마뱀은 대부분 발성 기관이 발달되지 않아 청각이 크게 발달되지 않았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발성 기관이 발달한 도마뱀붙이류의 여러 종들은 청각이 발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