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35번째 줄: 35번째 줄:
==개요==
==개요==
[[연체동물]] [[복족류]](腹足類: 배가 발인 무리) 가운데 나선형 패각이 있는 종류를 통칭하는 말. 패각이 없는 종류는 [[민달팽이]]라고 칭한다. 또는 달팽잇과 중에서 ''Fruticiola sieboldiana''를 그냥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세계에 '''약 2만 종'''이 분포한다.
[[연체동물]] [[복족류]](腹足類: 배가 발인 무리) 가운데 나선형 패각이 있는 종류를 통칭하는 말. 패각이 없는 종류는 [[민달팽이]]라고 칭한다. 또는 달팽잇과 중에서 ''Fruticiola sieboldiana''를 그냥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세계에 '''약 2만 종'''이 분포한다.
==상세==
야생에서 달팽이는 주로 다양한 [[식물]], [[이끼]], [[곰팡이]], [[버섯]]에서 드물게는 [[벌레]] 등 [[동물]]의 사체까지 먹고 사는데, 심하면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이러한 [[기생물|기생 생물류]]를 먹고 잘게 분해해 배설물을 배출하며, 비료 역할을 하는 달팽이의 배설물을 먹고 자라는 자연계의 다른 동식물들의 성장을 돕는 생태계의 순환자, 즉 '환경미화원' 노릇을 한다.[* 반면 달팽이의 부식성 습성은 기생충의 매개가 되는 [[영 좋지 않은]] 부작용도 존재한다.]
습도가 높거나 비가 자주 내리는 곳을 좋아하는 특성상 [[한국]]에는 100여 종밖에 되지 않지만 [[일본]]에는 600여 종이 서식한다고 한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달팽이 100여 종 중에 우리나라 고유종이 50여 종이나 된다는 사실이다.
토종달팽이 종으로는 깨알우렁이, 산우렁이, 둥근산우렁이, 제주애기산 우렁이, 좀산우렁이, 거문도좀혹달팽이, 나사산우렁이, 둥근혹달팽이, 주름혹달팽이, 제주혹달팽이, 번데기우렁이, 아리니아깨알달팽이, 제주깨알달팽이, 거문도깨알달팽이, 깨알달팽이, 큰깨알달팽이, 참깨알달팽이, 왼돌이깨알달팽이, 목주림고둥, 분홍목주림고둥, 둥근동굴우렁이, 줄양귀비고둥, 양귀비고둥, 반디고둥, 쇠평지달팽이, 번데기고둥, 민이빨번데기고둥, 모래고둥, 울릉도모래고둥, 금강입술대고둥, 대고둥가시대고둥, 주름번데기, 납작평달팽이, 울릉도납작평달팽이, 평탑달팽이 등이 있다.
외국 달팽이 종으로는 빨강달팽이, 물레달팽이, 자이언트달팽이, 아프리카왕달팽이(백와/금와/흑와/흑금와/흑백와) 등이 있다.[* 아프리카왕달팽이는 빠른 성장과 뛰어난 적응력 덕분에 애완용으로 많이 키워지기도 한다. 물론 달팽이는 달팽이라 번식력이 왕성하기 때문에 신경써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분류:진유폐목]]
[[분류:진유폐목]]

2024년 1월 1일 (월) 18:57 판

달팽이
蝸牛 | Snail
달팽이.webp
학명 Helicoidei
(Rafinesque, 1815)
분류
동물계Animalia
연체동물문Mollusca
복족강Gastropoda
아강 유폐아강Pulmonata
병안목Stylommatophora
아목 달팽이아목Helicidae
하목 달팽이하목Helicoidei

개요

연체동물 복족류(腹足類: 배가 발인 무리) 가운데 나선형 패각이 있는 종류를 통칭하는 말. 패각이 없는 종류는 민달팽이라고 칭한다. 또는 달팽잇과 중에서 Fruticiola sieboldiana를 그냥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세계에 약 2만 종이 분포한다.

상세

야생에서 달팽이는 주로 다양한 식물, 이끼, 곰팡이, 버섯에서 드물게는 벌레동물의 사체까지 먹고 사는데, 심하면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이러한 기생 생물류를 먹고 잘게 분해해 배설물을 배출하며, 비료 역할을 하는 달팽이의 배설물을 먹고 자라는 자연계의 다른 동식물들의 성장을 돕는 생태계의 순환자, 즉 '환경미화원' 노릇을 한다. 반면 달팽이의 부식성 습성은 기생충의 매개가 되는 영 좋지 않은 부작용도 존재한다.

습도가 높거나 비가 자주 내리는 곳을 좋아하는 특성상 한국에는 100여 종밖에 되지 않지만 일본에는 600여 종이 서식한다고 한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달팽이 100여 종 중에 우리나라 고유종이 50여 종이나 된다는 사실이다.

토종달팽이 종으로는 깨알우렁이, 산우렁이, 둥근산우렁이, 제주애기산 우렁이, 좀산우렁이, 거문도좀혹달팽이, 나사산우렁이, 둥근혹달팽이, 주름혹달팽이, 제주혹달팽이, 번데기우렁이, 아리니아깨알달팽이, 제주깨알달팽이, 거문도깨알달팽이, 깨알달팽이, 큰깨알달팽이, 참깨알달팽이, 왼돌이깨알달팽이, 목주림고둥, 분홍목주림고둥, 둥근동굴우렁이, 줄양귀비고둥, 양귀비고둥, 반디고둥, 쇠평지달팽이, 번데기고둥, 민이빨번데기고둥, 모래고둥, 울릉도모래고둥, 금강입술대고둥, 대고둥가시대고둥, 주름번데기, 납작평달팽이, 울릉도납작평달팽이, 평탑달팽이 등이 있다.

외국 달팽이 종으로는 빨강달팽이, 물레달팽이, 자이언트달팽이, 아프리카왕달팽이(백와/금와/흑와/흑금와/흑백와) 등이 있다. 아프리카왕달팽이는 빠른 성장과 뛰어난 적응력 덕분에 애완용으로 많이 키워지기도 한다. 물론 달팽이는 달팽이라 번식력이 왕성하기 때문에 신경써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