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한자는 [[松]](소나무 송)을 쓰는데, 뜻 '木(나무)'와 소리 '公(공)'을 합친 [[형성자]]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나무 중에서도 최고의 작위(公: [[공작(작위)|공작]])을 가진 나무(木)라는 뜻으로 만든 [[회의자]]로 해석하기도 한다. | 한자는 [[松]](소나무 송)을 쓰는데, 뜻 '木(나무)'와 소리 '公(공)'을 합친 [[형성자]]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나무 중에서도 최고의 작위(公: [[공작(작위)|공작]])을 가진 나무(木)라는 뜻으로 만든 [[회의자]]로 해석하기도 한다. | ||
==상세== | |||
보통 침엽상록수의 경우에 중심 줄기가 곧게 일자로 높게 뻗는 것이 특징이나, 소나무는 중심 줄기가 휘어져서 구불구불하게 자라므로 각자의 환경에 따라 나무마다 구부러지는 모양이 다르다. 즉, 각 개체는 저마다 특유의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험한 환경일수록 이러한 구부러짐을 더 관찰할 수 있으므로 그 줄기에서 자연을 이겨내는 나무의 강한 생명력과 역동성을 느낄 수 있다. | |||
나무껍질은 적갈색이며 나이를 먹을수록 표면이 거북이 등껍질과 같은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이 모양이 마치 철갑을 두른 듯 보인다고도 하여 이를 [[애국가]]에서도 언급하고 있다. 게다가 상록수이기도 하니 냉해도 잘 견뎌서, 어떠한 엄혹한 추위에도 이를 견뎌내고 힘을 뿜어내는 그런 기상을 보여준다고 하여 조선시대 선비들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은 나무이다. | |||
율곡 [[이이(조선)|이이]]는 세한삼우(歲寒三友)[* 세월의 추위를 함께 할 세 명의 벗을 말한다.]로서 송(松) · [[대나무|죽(竹)]] · [[매화나무|매(梅)]]를 꼽았고, [[윤선도]]는 [[시조(문학)|시조]] 오우가에서 소나무를 벗으로 여겼으며, 추사 [[김정희]]는 [[세한도]]에서 어려울 때 도와준 친구를 위해 그 고결함을 기리는 마음에서 겨울철 소나무를 그려주기도 했다. 또한 전해내려오는 얘기에 의하면 꿈에서 소나무를 보면 벼슬을 할 징조이고 솔이 무성함을 보면 집안이 번창하며 꿈에서 송죽 그림을 그리면 만사가 형통한다고 하며, 반대로 꿈에 소나무가 마르면 병이 날 징조로 해몽하기도 한다. 이렇듯 가장 흔히 접하는 대표적인 상록수인데다가 비바람과 눈보라의 역경 속에서도 꿋꿋하게 푸르니 '''절개와 의지'''의 상징으로 여겨져 충정, 지조와 같은 [[유교]]적 덕목과 엮어서 많은 사랑받았던 것이다. | |||
심지어는 왕이 지나가는데 가지를 들어 길을 비켜주었다고 높은 벼슬을 받았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보은 속리 정이품송]]도 있다. [[애국가]]에도 바람과 서리에 굴하지 않는 절의와 기개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군가]]나 [[민중가요]]에도 이와 맥을 같이 하는 가사가 나온다.[* 소나무가 메인 소재인 [[https://m.youtube.com/watch?v=5aZ54f_LlBA&feature=youtu.be|푸른 소나무]]나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라든지…] 또한 오래 사는 나무로 알려져서 [[장수]]를 나타내는 [[십장생]]이기도 하다. | |||
이런 까닭에 옛부터 소나무를 귀하게 여겨 숲을 가꾸고 함부로 벨 수 없게 만들었으며 국가의 허락을 맡고 나서야 벌목이 가능했다.[* [[삼국시대]] 때에는 마을 주변에 소나무 숲을 가꾸었고 [[고려시대]]부터는 함부로 벨 수 없었으며 국가의 허락을 맡고 나서야 벌목이 가능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 관아에서 봉산, 금산이라고 나무를 베지 못하는 구역을 정하기도 했다. 단순한 규제 외에도 비변사와 각 지방 군관을 동원한 대규모 나무 심기를 [[http://egloos.zum.com/sldn84/v/2697424|시행]]하였다. 1788년에는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산림법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8248&cid=46631&categoryId=46631|송금사목]]을 제정했다.] 또, 주민들끼리 스스로 송계(松契)를 조직해 함부로 나무를 베거나, 입산하는 사람을 견제하기도 했기 때문에, 금산구역이 아니라고 해도 소나무를 함부로 벨 수 없었다.[* 그래서 관청에서 관리하는 소나무 목재는 값이 어마어마했다. 이 문제를 지적한 사람이 [[정약용]]의 형 [[정약전]]이다. 정약전은 저서 《송정사의》에서 소나무 베기를 금지하기보다는, 사유든 국유든 소나무를 심고 가꾸면 세금혜택을 주며 식목을 장려하고, 산허리 위로 화전을 금지함이 차라리 좋지 않겠느냐는 요지로 비판했다. 그러나 동생 [[정약용]]은 형의 주장을 두고 [[목민심서]]에서 평하기를 "바람이 불면 솔씨가 떨어져 자연히 송림을 이루니 가꾸기만 하며 되지 뭐하러 심는가?" 하였다. 대규모 나무심기에도 불구하고 목재로 자라는 데 장시간이 걸려 공급이 수요를 쫒아가지 못했다.] | |||
마을을 수호하는 [[신목]] 중에서도 [[느티나무]] 다음 가는 비중을 차지한다. 소나무 가지는 부정을 물리치고 제의공간을 정화하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출산 때나 장을 담을 때에 치는 금줄에 [[숯]]·[[고추]]·[[종이|백지]]와 함께 소나무 가지를 거는 것도 잡귀와 부정을 막기 위한 것. | |||
생태학적으로는 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뜻한 기후와 적당한 햇빛을 좋아한다. 나무 높이는 25~35 m이고 뿌리, 잎에서 [[타감작용]]을 일으키는 갈로탄닌이라는 천연 제초제를 분비하는 특성 때문에 [[진달래]][* [[진달래]]는 소나무와 마찬가지로 'Alleopathy'에 의한 강력한 화학반응을 일으켜 타 식물의 생장을 억제한다.]와 [[철쭉]] 정도 외에는 소나무숲에서 함께 자랄 수 있는 식물이 거의 없다.[* 그래서 '''소나무를 심으면 주변에 [[잡초]]가 잘 안 자란다.''' 대신 입혀놓은 [[잔디]] 떼도 죽기 때문에 [[무덤]]가에는 웬만하면 소나무를 심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무덤가에 자주 심는 나무가 [[측백나무]]이다.] [* 심지어 자신의 동족도 타감작용에 의하여 소나무 숲에서는 소나무 묘목조차 잘 자라지 않는 지경이다. 이것은 소나무가 양수인 점도 한몫한다. 성목의 그림자에 가려 유목이 충분한 햇빛을 받지 못하면 죽기 때문에 캐노피가 완성된 소나무 숲에서는 소나무 유목이 자라기 힘들다. 그래서 산림과학에서는 송림을 동령림, 즉 수령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숲으로 본다 동령림은 대부분 인공림임에도 불구하고 극양수인 소나무는 예외라는 것. 그런데 무덤가에 소나무 대신 측백나무를 심는 데는 다른 이유가 있다. 주나라에서는 무덤가에 심는 나무도 신분에 따라 정해졌다. 백성들의 무덤에는 [[버드나무]]를 심었고, 이후에도 신분에 따라서 나무가 갈리다가 제후의 무덤에 심는 나무가 바로 측백나무였다. 그리고 소나무는 황제를 위한 나무였다. 위에도 언급되었지만 소나무는 가장 고귀한 나무였기 때문에, 황제에게 걸맞는 손재라고 해서 황제릉 주위를 송림으로 둘렀다. 이 영향인지 왕릉은 기본적으로 송림을 기본으로 하였다. [[경주시]]에 있는 [[신라왕릉]]들은 대부분 송림으로 둘러싸여 사진가들의 단골 출사장소가 되었고, [[고려왕릉]]도 북한의 열악한 관리상태 때문에 찾아보기 어렵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송림을 조성했다. [[조선왕릉]]도 송림을 원형으로 해서 다른 상록수들이 섞였다.이렇다보니 양반 이후의 집안 무덤에서는 원래 있던 소나무 곁에 조성하는 경우는 별 수 없기야 했지만 없던 소나무를 일부러 심어서 묘원을 조성하는 것은 부담스러운 행위였고, 자연스럽게 소나무보다는 측백나무를 선호했다. 사실 소나무가 근처에 있는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한다고 하지만, 묘지목은 기본적으로 무덤에 대놓고 심는 것이 아니라, 무덤 주위를 빙 둘러서 경계를 삼는 것이기 때문에 묘역이 지나치게 좁지 않다면 소나무의 영향력이 봉분이나 그 인근까지 미칠 일이 없다.] | |||
한국에서야 어디를 가든 쉽게 볼 수 있는 나무지만, 우리가 적송이라고 부르는 ''Pinus densiflora'' 한정으로는 국제적으로 분포가 한정적이다. 한국을 포함해서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동부에서만 자생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희귀식물로 취급받아서 보호종이 되었다. [[http://ecotopia.hani.co.kr/?document_srl=222951&_ns=r2&mid=media|#]] | |||
---- | ---- | ||
[[분류:나무]][[분류:구과목]] | [[분류:나무]][[분류:구과목]] |
2024년 1월 16일 (화) 21:02 판
소나무 Korean red pine | ||
---|---|---|
학명 |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
분류 | ||
계 | 식물계Plantae | |
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
겉씨식물군Gymnospermae | ||
문 | 구과식물문Pinophyta | |
강 | 구과식물강Pinopsida | |
목 | 구과목Pinales | |
과 | 소나무과Pinaceae | |
속 | 소나무속Pinus | |
종 | 소나무P. densiflora |
개요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 좁은 의미로 쓰일 때는 동아시아와 러시아 동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적송(학명: Pinus densiflora pinus는 라틴어로 '산에서 나는 나무'라는 뜻이며, 종소명 densiflora는 '빽빽하게 돋아나는 꽃'을 의미한다.)만을 가리킨다. 넓은 의미로 쓰일 때는 아시아 뿐만이 아니라 북미, 유럽 등 북반구 온대~아한대 지역에 걸쳐 자생하는 소나무속(Pinus)의 여러 종들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침엽수이다.
명칭
솔방울, 솔잎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순수 한국어로 소나무는 원래 '솔'로 불리었다. 이 밖에 솔나무·소오리나무라고도 한다. 소나무란 말은 '솔', '나무'가 합성될 때 따님, 부삽같이 'ㄹ'이 탈락되어 생긴 말이다. '솔'의 뜻은 명확하지 않으나, 삼국시대 때의 고대 한국어 관련 기록에서는 초성에 ㅂ이 첨가된 어형으로 풀이할 수 있는 사례들이 존재하며, 따라서 'ᄡᆞᆯ'로 시작되는 단어였을 가능성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나무 중에 우두머리란 뜻인 수리(독수리할 때의 그 '수리')에서 시작되어, 이후 →술→솔로 변형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한자는 松(소나무 송)을 쓰는데, 뜻 '木(나무)'와 소리 '公(공)'을 합친 형성자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나무 중에서도 최고의 작위(公: 공작)을 가진 나무(木)라는 뜻으로 만든 회의자로 해석하기도 한다.
상세
보통 침엽상록수의 경우에 중심 줄기가 곧게 일자로 높게 뻗는 것이 특징이나, 소나무는 중심 줄기가 휘어져서 구불구불하게 자라므로 각자의 환경에 따라 나무마다 구부러지는 모양이 다르다. 즉, 각 개체는 저마다 특유의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험한 환경일수록 이러한 구부러짐을 더 관찰할 수 있으므로 그 줄기에서 자연을 이겨내는 나무의 강한 생명력과 역동성을 느낄 수 있다.
나무껍질은 적갈색이며 나이를 먹을수록 표면이 거북이 등껍질과 같은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이 모양이 마치 철갑을 두른 듯 보인다고도 하여 이를 애국가에서도 언급하고 있다. 게다가 상록수이기도 하니 냉해도 잘 견뎌서, 어떠한 엄혹한 추위에도 이를 견뎌내고 힘을 뿜어내는 그런 기상을 보여준다고 하여 조선시대 선비들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은 나무이다.
율곡 이이는 세한삼우(歲寒三友) 세월의 추위를 함께 할 세 명의 벗을 말한다.로서 송(松) · 죽(竹) · 매(梅)를 꼽았고, 윤선도는 시조 오우가에서 소나무를 벗으로 여겼으며, 추사 김정희는 세한도에서 어려울 때 도와준 친구를 위해 그 고결함을 기리는 마음에서 겨울철 소나무를 그려주기도 했다. 또한 전해내려오는 얘기에 의하면 꿈에서 소나무를 보면 벼슬을 할 징조이고 솔이 무성함을 보면 집안이 번창하며 꿈에서 송죽 그림을 그리면 만사가 형통한다고 하며, 반대로 꿈에 소나무가 마르면 병이 날 징조로 해몽하기도 한다. 이렇듯 가장 흔히 접하는 대표적인 상록수인데다가 비바람과 눈보라의 역경 속에서도 꿋꿋하게 푸르니 절개와 의지의 상징으로 여겨져 충정, 지조와 같은 유교적 덕목과 엮어서 많은 사랑받았던 것이다.
심지어는 왕이 지나가는데 가지를 들어 길을 비켜주었다고 높은 벼슬을 받았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보은 속리 정이품송도 있다. 애국가에도 바람과 서리에 굴하지 않는 절의와 기개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군가나 민중가요에도 이와 맥을 같이 하는 가사가 나온다. 소나무가 메인 소재인 푸른나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라든지… 또한 오래 사는 나무로 알려져서 장수를 나타내는 십장생이기도 하다.
이런 까닭에 옛부터 소나무를 귀하게 여겨 숲을 가꾸고 함부로 벨 수 없게 만들었으며 국가의 허락을 맡고 나서야 벌목이 가능했다. 삼국시대 때에는 마을 주변에 소나무 숲을 가꾸었고 고려시대부터는 함부로 벨 수 없었으며 국가의 허락을 맡고 나서야 벌목이 가능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 관아에서 봉산, 금산이라고 나무를 베지 못하는 구역을 정하기도 했다. 단순한 규제 외에도 비변사와 각 지방 군관을 동원한 대규모 나무 심기를 시행하였다. 1788년에는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산림법인 송금사목을 제정했다. 또, 주민들끼리 스스로 송계(松契)를 조직해 함부로 나무를 베거나, 입산하는 사람을 견제하기도 했기 때문에, 금산구역이 아니라고 해도 소나무를 함부로 벨 수 없었다. 그래서 관청에서 관리하는 소나무 목재는 값이 어마어마했다. 이 문제를 지적한 사람이 정약용의 형 정약전이다. 정약전은 저서 《송정사의》에서 소나무 베기를 금지하기보다는, 사유든 국유든 소나무를 심고 가꾸면 세금혜택을 주며 식목을 장려하고, 산허리 위로 화전을 금지함이 차라리 좋지 않겠느냐는 요지로 비판했다. 그러나 동생 정약용은 형의 주장을 두고 목민심서에서 평하기를 "바람이 불면 솔씨가 떨어져 자연히 송림을 이루니 가꾸기만 하며 되지 뭐하러 심는가?" 하였다. 대규모 나무심기에도 불구하고 목재로 자라는 데 장시간이 걸려 공급이 수요를 쫒아가지 못했다.
마을을 수호하는 신목 중에서도 느티나무 다음 가는 비중을 차지한다. 소나무 가지는 부정을 물리치고 제의공간을 정화하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출산 때나 장을 담을 때에 치는 금줄에 숯·고추·백지와 함께 소나무 가지를 거는 것도 잡귀와 부정을 막기 위한 것.
생태학적으로는 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뜻한 기후와 적당한 햇빛을 좋아한다. 나무 높이는 25~35 m이고 뿌리, 잎에서 타감작용을 일으키는 갈로탄닌이라는 천연 제초제를 분비하는 특성 때문에 진달래 진달래는 소나무와 마찬가지로 'Alleopathy'에 의한 강력한 화학반응을 일으켜 타 식물의 생장을 억제한다.와 철쭉 정도 외에는 소나무숲에서 함께 자랄 수 있는 식물이 거의 없다. 그래서 소나무를 심으면 주변에 잡초가 잘 안 자란다. 대신 입혀놓은 잔디 떼도 죽기 때문에 무덤가에는 웬만하면 소나무를 심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무덤가에 자주 심는 나무가 측백나무이다. 심지어 자신의 동족도 타감작용에 의하여 소나무 숲에서는 소나무 묘목조차 잘 자라지 않는 지경이다. 이것은 소나무가 양수인 점도 한몫한다. 성목의 그림자에 가려 유목이 충분한 햇빛을 받지 못하면 죽기 때문에 캐노피가 완성된 소나무 숲에서는 소나무 유목이 자라기 힘들다. 그래서 산림과학에서는 송림을 동령림, 즉 수령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숲으로 본다 동령림은 대부분 인공림임에도 불구하고 극양수인 소나무는 예외라는 것. 그런데 무덤가에 소나무 대신 측백나무를 심는 데는 다른 이유가 있다. 주나라에서는 무덤가에 심는 나무도 신분에 따라 정해졌다. 백성들의 무덤에는 버드나무를 심었고, 이후에도 신분에 따라서 나무가 갈리다가 제후의 무덤에 심는 나무가 바로 측백나무였다. 그리고 소나무는 황제를 위한 나무였다. 위에도 언급되었지만 소나무는 가장 고귀한 나무였기 때문에, 황제에게 걸맞는 손재라고 해서 황제릉 주위를 송림으로 둘렀다. 이 영향인지 왕릉은 기본적으로 송림을 기본으로 하였다. 경주시에 있는 신라왕릉들은 대부분 송림으로 둘러싸여 사진가들의 단골 출사장소가 되었고, 고려왕릉도 북한의 열악한 관리상태 때문에 찾아보기 어렵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송림을 조성했다. 조선왕릉도 송림을 원형으로 해서 다른 상록수들이 섞였다.이렇다보니 양반 이후의 집안 무덤에서는 원래 있던 소나무 곁에 조성하는 경우는 별 수 없기야 했지만 없던 소나무를 일부러 심어서 묘원을 조성하는 것은 부담스러운 행위였고, 자연스럽게 소나무보다는 측백나무를 선호했다. 사실 소나무가 근처에 있는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한다고 하지만, 묘지목은 기본적으로 무덤에 대놓고 심는 것이 아니라, 무덤 주위를 빙 둘러서 경계를 삼는 것이기 때문에 묘역이 지나치게 좁지 않다면 소나무의 영향력이 봉분이나 그 인근까지 미칠 일이 없다.
한국에서야 어디를 가든 쉽게 볼 수 있는 나무지만, 우리가 적송이라고 부르는 Pinus densiflora 한정으로는 국제적으로 분포가 한정적이다. 한국을 포함해서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동부에서만 자생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희귀식물로 취급받아서 보호종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