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프랑스(동음이의어))]
| | {{본문|프랑스공화국(카카오톡)}} |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NeedyStimulatingTruculentCurtain, 합의사항1=이 문서의 리다이렉트를 불국\, 불란서\, 법국\, 프랑스 공화국으로 고정하기)]
| |
| [include(틀:프랑스 관련 문서)]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91><bgcolor=#000091> {{{#FFF '''프랑스 관련 틀'''}}} ||
| |
| ||<^|1><bgcolor=#fff,#1f2023><height=32px> {{{#000,#ddd '''[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top: -17px; margin: -26px -10px -0px; color: #FFF" | |
| {{{#!folding
| |
| {{{#1D1D1D,#DDD
| |
| [include(틀:프랑스의 역사)]
| |
| [include(틀:서유럽의 국가)]
| |
| [include(틀:UN안보리이사국)]
| |
| [include(틀:유엔군사령부)]
| |
| [include(틀:유럽연합)]
| |
| [include(틀:북대서양 조약 기구)]
| |
| [include(틀:국제형사경찰기구 회원국)]
| |
| [include(틀:남극조약 회원국)]
| |
| [include(틀:G7)]
| |
| [include(틀:G20)]
| |
| [include(틀:OECD 회원국)]
| |
| [include(틀:프랑코포니)]
| |
| [include(틀: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회원국)]
| |
| [include(틀: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회원국)]
| |
| [include(틀:IMF 선진국)]
| |
| [include(틀:태평양 공동체)]
| |
| [include(틀:유럽안보협력기구)]
| |
| [include(틀:여행유의 목록)]
| |
| [include(틀:스페이스 클럽)]}}}}}}}}} ||
| |
|
| |
|
| ||<-3><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000091><tablewidth=45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0091> '''{{{#fff {{{+2 프랑스 공화국}}}[br]République française | French Republic}}}''' ||
| | 카카오톡 가상국가, 프랑스공화국의 대한 넘겨주기 문서. |
| ||<-3>{{{#!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tablewidth=100%><width=50%><rowbgcolor=#f0f0f0,#1f2023><height=150> [[프랑스/국기|[[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65%]]]] || [[프랑스/국장|[[파일:프랑스 국장.svg|width=50%]]]] ||
| |
| ||<width=50%><#000091> {{{#fff '''국기'''}}}[* [[1976년]]까지 사용한 국기의 색은 다음과 같다.[br][[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100]][br][br][[1976년]]부터 현재의 국기로 사용하다가, [[2021년]] [[엘리제 궁전]], [[프랑스 국민의회|국민의회]](하원) 의사당인 부르봉 궁전, [[프랑스 내무부|내무부]] 청사 등 '''일부 정부건물에 한정'''하여 [[1976년]]까지 사용하던 색상의 국기로 환원했다.] ||<width=50%><#e1000f> {{{#fff '''국장'''}}} ||}}} ||
| |
| ||<-3> [[자유, 평등, 우애|{{{#000091,#fff '''Liberté, Égalité, Fraternité'''}}}]][br][[자유, 평등, 우애|{{{#e1000f,#fff '''자유, 평등, 우애'''}}}]] ||
| |
| ||<-3><bgcolor=#000091> {{{#fff '''상징'''}}} ||
| |
| ||<width=33%><bgcolor=#e1000f> {{{#fff '''국가'''}}} ||<-2>[[라 마르세예즈]] ||
| |
| ||<bgcolor=#e1000f> {{{#fff '''국화'''}}} ||<-2>[[붓꽃]] ||
| |
| ||<bgcolor=#e1000f> {{{#fff '''국조'''}}} ||<-2>[[수탉]] ||
| |
| ||<-3><bgcolor=#000091> [[프랑스/역사|{{{#fff '''역사'''}}}]] ||
| |
| ||<-3> '''[[1792년]] [[9월 22일]]''' [[프랑스 제1공화국]] 성립[br]'''[[1804년]] [[12월 2일]]''' [[프랑스 제1제국]] 성립[br]'''[[1870년]] [[9월 4일]]''' [[프랑스 제3공화국]] 성립[br]'''[[1940년]] [[6월 25일]]''' [[나치 독일]][[프랑스 군정청|의 점]][[비시 프랑스|령]][br]'''[[1958년]] [[10월 4일]]''' [[프랑스 제5공화국]] 성립 ||
| |
| ||<-3><bgcolor=#000091> {{{#fff '''지리'''}}} ||
| |
| ||<-3><^|1><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e1000f><width=30%><-2> '''{{{#fff 수도 | 최대도시}}}''' ||[[파리(프랑스)|파리]] ||
| |
| ||<bgcolor=#e1000f><|2> '''{{{#fff 면적}}}''' ||<bgcolor=#e1000f> '''{{{#fff 유럽 본토}}}''' ||543,940km²[* 해외영토의 면적인 119,396km²까지 전부 합한 영토 면적은 UN 통계국 기준 [[러시아]] 다음으로 유럽에서 2위이다. 본토만 따졌을 시에는 [[우크라이나]]가 더 커서 유럽 3위. 참고로 UN 통계국 기준이 아닌 주권 영토로만 따지게 되면 프랑스가 아닌 [[그린란드]]를 보유한 [[덴마크]]가 2위이다. 그러나 UN 통계국에서는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받고 있는 그린란드를 덴마크 영토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
| |
| ||<bgcolor=#e1000f> '''{{{#fff 총 면적}}}''' ||663,336km²[* 《Comparateur de territoire 》, sur insee.fr, 2015 참조.] ||
| |
| ||<bgcolor=#e1000f><-2> '''{{{#fff 접경국}}}'''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br]• [include(틀:국기, 국명=안도라)][br]• [include(틀:국기, 국명=모나코)][br]•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br]•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br]•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br]•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br]• [include(틀:국기, 국명=룩셈부르크)][br]•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생마르탱]]을 통해 접경.][br]•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A 프랑스의 해외 영토 [[프랑스령 기아나]]와 접경][br]• [include(틀:국기, 국명=수리남)][*A] ||}}}}}}}}} ||
| |
| ||<-3><bgcolor=#000091> {{{#fff '''인문 환경'''}}} ||
| |
| ||<-3><^|1><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50><bgcolor=#e1000f> {{{#fff '''인구'''}}} ||<width=90><bgcolor=#e1000f> {{{#fff '''총인구'''}}} ||68,042,091명^^(2023년)^^ | 세계 20위 ||
| |
| ||<bgcolor=#e1000f> {{{#fff '''민족 구성'''}}} ||프랑스 헌법에 의거하여 추산 불가능[* 단 프랑스에 거주하는 프랑스 국적자와 비국적자의 통계는 내고 있는데 인종과 민족구성을 나타낸 통계는 절대로 아니다. 프랑스 국적자는 92%이고 프랑스에 거주 중인 타국 국적자는 8%로 집계된다.[[https://en.wikipedia.org/wiki/France#cite_ref-5|#]]] ||
| |
| ||<bgcolor=#e1000f> {{{#fff '''인구밀도'''}}} ||116명/㎢^^(2020년)^^ ||
| |
| ||<bgcolor=#e1000f> {{{#fff '''출산율'''}}} ||1.68명(2023년)[* [[https://www.lemonde.fr/en/france/article/2024/01/16/birth-rates-continued-to-fall-in-2023-in-aging-france_6437811_7.html|출처]]] ||
| |
| ||<bgcolor=#e1000f> {{{#fff '''기대 수명'''}}} ||80세^^(2020년)^^ ||
| |
| ||<-2><bgcolor=#e1000f> {{{#fff '''공용어'''}}} ||[[프랑스어]] ||
| |
| ||<-2><bgcolor=#e1000f> {{{#fff '''공용 문자'''}}} ||[[로마자]] ||
| |
| ||<|2><bgcolor=#e1000f> {{{#fff '''종교'''}}} ||<bgcolor=#e1000f> [[국교|{{{#fff '''국교'''}}}]] ||없음([[라이시테]]) ||
| |
| ||<bgcolor=#e1000f> {{{#fff '''분포'''}}} ||[[가톨릭]] 41%, [[무종교]] 40%[* [[2019년]] 조사에 의하면 [[무신론]]자가 21%, [[불가지론]]자가 19%라고 한다.], 기타 [[기독교]] 6%[* [[개신교]]·[[정교회]]·기타종파가 각각 2%씩을 차지한다.], [[이슬람]] 5%, [[불교]] 1%, [[유대교]] 1%, 기타 5%[* 이상 2019년 9월 유럽연합의 조사보고서에 의함][* 다만 실제 무슬림의 비율은 10% 정도로 추정된다.] ||
| |
| ||<-2><bgcolor=#e1000f> {{{#fff '''군대'''}}} ||[[프랑스군]] ||}}}}}}}}} ||
| |
| ||<-3><bgcolor=#000091> {{{#fff '''하위 행정구역'''}}} ||
| |
| ||<-3><^|1><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bgcolor=#e1000f> '''[[레지옹|{{{#fff 레지옹}}}]]''' ||13개[* 해외 레지옹 5개, 해외 공동체 5개, 특별 공동체 1개, 해외 영토 2개도 있다.] ||
| |
| ||<bgcolor=#e1000f> '''[[데파르트망|{{{#fff 데파르트망}}}]]''' ||95개 ||
| |
| ||<bgcolor=#e1000f> '''[[아롱디스망|{{{#fff 아롱디스망}}}]]''' ||332개 ||
| |
| ||<bgcolor=#e1000f> '''[[캉통|{{{#fff 캉통}}}]]''' ||2,054개 ||
| |
| ||<bgcolor=#e1000f> '''[[코뮌|{{{#fff 코뮌}}}]]''' ||36,444개 ||}}}}}}}}} ||
| |
| ||<-3><bgcolor=#000091> {{{#fff '''정치'''}}} ||
| |
|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e1000f> {{{#fff '''정치 체제'''}}} ||[[공화제]], [[이원집정부제]], [[양원제]], [[단일국가]] ||
| |
| ||<-2><bgcolor=#e1000f> {{{#fff '''민주주의 지수'''}}} ||8.07점, {{{#green '''완전한 민주주의'''}}} ^^(2023년)^^[br](167개국 중 '''23위''') ||
| |
| ||<|4><width=50><bgcolor=#e1000f> {{{#fff '''정부[br]요인'''}}}||<width=110><bgcolor=#e1000f> [[프랑스 대통령|{{{#fff '''대통령'''}}}]][br]{{{-2 [[국가원수|{{{#fff '''(국가원수)'''}}}]]}}} ||[[에마뉘엘 마크롱]] ||
| |
| ||<bgcolor=#e1000f> [[프랑스 총리|{{{#fff '''총리'''}}}]][br]{{{-2 [[정부수반|{{{#fff '''(정부수반)'''}}}]]}}} ||[[가브리엘 아탈]] ||
| |
| ||<bgcolor=#e1000f> [[프랑스 상원의장|{{{#fff '''상원의장'''}}}]] ||제라르 라르셰 ||
| |
| ||<bgcolor=#e1000f> [[프랑스 국민의회 의장|{{{#fff '''하원의장'''}}}]] ||[[야엘 브론피베]] ||
| |
| ||<-2><bgcolor=#e1000f> [[여당|{{{#fff '''여당'''}}}]] ||[include(틀:르네상스(정당))] ||}}}}}}}}} ||
| |
| ||<-3><bgcolor=#000091> {{{#fff '''경제'''}}} ||
| |
|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e1000f> {{{#fff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
| ||<|2><width=60><bgcolor=#e1000f> [[국내총생산|{{{#fff '''GDP'''}}}]] ||<width=95><bgcolor=#e1000f> {{{#fff '''전체 GDP'''}}} ||$3조 490억 / 세계 7위^^(2023년 [[IMF]] 기준)^^ ||
| |
| ||<bgcolor=#e1000f> {{{#fff '''1인당 GDP'''}}} ||$46,315 / 세계 23위^^(2023년 [[IMF]] 기준)^^ ||
| |
| ||<|2><bgcolor=#e1000f> [[GDP(PPP)|{{{#fff '''GDP[br](PPP)'''}}}]] ||<bgcolor=#e1000f> {{{#fff '''전체 GDP'''}}} ||$3조 8,727억 / 세계 9위^^(2023년 [[IMF]] 기준)^^ ||
| |
| ||<bgcolor=#e1000f> {{{#fff '''1인당 GDP'''}}} ||$58,828 / 세계 27위^^(2023년 [[IMF]] 기준)^^ ||
| |
| ||<-2><bgcolor=#e1000f> '''[[국부#s-3|{{{#fff 국부}}}]]''' ||[[https://www.credit-suisse.com/about-us/en/reports-research/e1000f-wealth-report.html|$14조 9,580억]] / 세계 6위^^(2020년)^^ ||
| |
| ||<|2><bgcolor=#e1000f> {{{#fff '''무역'''}}} ||<bgcolor=#e1000f> {{{#fff '''수출'''}}} ||$5,349억 7,700만^^(2017년)^^ ||
| |
| ||<bgcolor=#e1000f> {{{#fff '''수입'''}}} ||$6,239억 3,200만^^(2017년)^^ ||
| |
| ||<|2><bgcolor=#e1000f> {{{#fff '''국가[br]예산'''}}} ||<bgcolor=#e1000f> {{{#fff '''세입'''}}} ||$9,963억^^(2017년)^^ ||
| |
| ||<bgcolor=#e1000f> {{{#fff '''세출'''}}} ||$1조 970억^^(2017년)^^ ||
| |
| ||<-2><bgcolor=#e1000f> '''[[외환보유고|{{{#fff 외환보유고}}}]]''' ||$1,538억 9,100만^^(2016년)^^ ||
| |
| ||<-2><bgcolor=#e1000f> {{{#fff '''신용 등급'''}}} ||'''[[무디스]]''' Aa2[br]'''[[S&P]]''' AA[br]'''[[Fitch]]''' AA- ||
| |
| ||<-2><bgcolor=#e1000f> {{{#fff '''통화'''}}} ||[[유로]](€)[*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누벨칼레도니]], [[왈리스 푸투나]]는 [[CFP 프랑/폴리네시아|CFP 프랑]] 사용] ||}}}}}}}}} ||
| |
| ||<-3><bgcolor=#000091> {{{#fff '''단위'''}}} ||
| |
|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90><bgcolor=#e1000f> {{{#fff '''법정연호'''}}} ||<-3>[[서력기원]] ||
| |
| ||<bgcolor=#e1000f> {{{#fff '''시간대'''}}} ||UTC+01:00([[서머타임]] 적용)[* [[마요트]]는 UTC+03:00, [[레위니옹]]은 UTC+04:00,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은 UTC+04:00, UTC+05:00, UTC+10:00, [[누벨칼레도니]]는 UTC+11:00, [[왈리스 퓌튀나]]는 UTC+12:00,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는 UTC-10:00, UTC-09:30, UTC-09:00, [[클리퍼턴 섬]]은 UTC-08:00,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생마르탱]], [[생바르텔레미]]는 UTC-04:00, [[프랑스령 기아나]], [[생피에르 미클롱]]은 UTC-03:00이다.] ||
| |
| ||<bgcolor=#e1000f> {{{#fff '''도량형'''}}} ||[[국제단위계|SI 단위]] ||}}}}}}}}} ||
| |
| ||<-3><bgcolor=#000091> {{{#fff '''외교'''}}} ||
| |
|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20><bgcolor=#e1000f> {{{#fff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단독 수교)[br]1886년 6월 4일 ([[조선]])[* 음력 5월 3일. [[조불수호통상조약]]. 한국과 프랑스 양국은 이 때를 양국 외교관계의 수립 시점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때부터 [[조선의 천주교 박해]]가 끝나고, 100여년의 박해 끝에 마침내 조선에서도 [[천주교]]를 자유롭게 믿을 수 있게 되었다.][br]1949년 2월 15일 ([[대한민국]])[* 대한민국 정부는 단순히 외교 관계 회복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외교부 홈페이지의 [[https://www.mofa.go.kr/www/wpge/m_4181/contents.do|연도별 수교현황 상세]]에서는 1949년을 수교 기점으로 기재하고 있다. 당시에는 공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했으며, 대사급으로 격상된 것은 1958년 10월 10일이다.][br][br][[북한]][br]미수교[* 프랑스는 북한을 국가로 승인하지 않고 있다. 1980년대 사회당 정부 시기 국가승인을 검토했으나, [[대한민국 정부]]의 강력한 항의를 받고 포기한 바 있다. 다만 1991년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당시 상임이사국으로서 반대표를 행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묵시적으로는 국가임을 인지하고 있다.] ||
| |
| ||<bgcolor=#e1000f> {{{#fff '''유엔 가입'''}}} ||1945년 ||
| |
| ||<bgcolor=#e1000f> {{{#fff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
| |
| ||<bgcolor=#e1000f> {{{#fff '''주한대사관 / 총영사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43-12 ||}}}}}}}}} ||
| |
| ||<-3><bgcolor=#000091>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fff '''ccTLD'''}}}]] ||
| |
| ||<-3> '''.fr''' ||
| |
| ||<-3><bgcolor=#000091> {{{#fff '''국가 코드'''}}} ||
| |
| ||<-3> '''250, FRA, FR''' ||
| |
| ||<-3><bgcolor=#000091> {{{#fff '''국제 전화 코드'''}}} ||
| |
| ||<-3> '''+33''' ||
| |
| ||<-3><bgcolor=#000091> {{{#fff '''여행경보'''}}} ||
| |
| ||<bgcolor=#026ABF> '''{{{#fff 여행유의}}}''' ||<-2>'''전 지역''' ||
| |
| ||<-3><bgcolor=#000091> {{{#fff '''홈페이지'''}}} ||
| |
| ||<-3> [[https://www.gouvernement.fr|[[파일:프랑스 정부상징.svg|width=25]]]], [[http://ee.france.fr/|관광청]]([[https://www.youtube.com/c/FranceF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 ||<bgcolor=#000091><width=33.3%> ||<bgcolor=#FFFFFF> ||<bgcolor=#e1000f><width=33.3%> ||
| |
| | |
| ||<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00091><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0091> {{{#fff '''위치'''}}} ||
| |
| || [[파일:프랑스 위치.svg|width=100%]]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margin-bottom: -11px"
| |
| [include(틀:지도, 장소=France, 너비=100%, 높이=230)]}}} ||
| |
| ||<bgcolor=#000091> ||
| |
| | |
| ||<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00091><height=30><bgcolor=#000091>{{{#!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 |
| [youtube(zTjnQ0XlAc4)]}}}||
| |
| ||<bgcolor=#e1000f> '''{{{#fff 10 Best Places to Visit in France - Travel Video}}}''' ||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6px"
| |
| [[파일:external/static-v3e.raileurope-world.com/france-paris_arc_de_triomphe-_c_im_photo-shutterstock_124132732-ce028.jpg|width=100%]]}}}||
| |
| ||<bgcolor=#e1000f> [[에투알 개선문|{{{#fff '''개선문'''}}}]][* 개선문의 원래 이름은 '''[[에투알 개선문]]'''이다. 개선문 아래에는 [[제1차 세계대전|1차 세계 대전]]에서 산화한 무명용사들의 무덤이 있다. 그래서 무덤 위 석판에는 '''"이곳에 조국을 위해 싸우다 죽은 프랑스 병사들이 잠들다"'''라는 문구가 써져있다. 그리고 제 2차 세계대전때 독일군이 프랑스를 침공 당시 저 개선문을 바로 통과하지 않고 약간 돌아서 통과한 일화도 있다. 즉 아무리 적이라지만 한 국가의 무명용사들 만큼은 건들지 않고 예를 갖춘 것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