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토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table align=right><:> {{{+2 '''Sesotho'''}}} || ||||<:> {{{+1 '''소토어'''}}} || ||<:> 주요사용국 ||<#ffffff> '''레소토, 남아공''' || ||<:> 원어민 ||<#ffffff> '''약 560만 명''' || ||<:> 어족 ||<#ffffff> '''니제르콩고어족<br>애틀랜틱콩고어파<br>베누에콩고어<br>반투제어군<br>반투어군<br>남부 반투어군<br>소토어'''|| ||<:> 문자 ||<#ffffff> 로마자 || ||||<:> '''언어 코드''...)
 
 
13번째 줄: 13번째 줄:


==개요==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레소토]]의 공용어. [[소토족]]들의 모국어이며 [[반투어족]]에 속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자유주(Free State)를 중심으로 많이 쓰이는 언어이며, 근처 [[보츠와나]]에서 쓰이는 [[츠와나어]]와는 가까운 관계이다. 자유 주 지역에서 많이 쓰이는 소토어와 달리 구 트란스발 지역에서 많이 쓰이는 북소토어(Sesotho sa Leboa)라는 언어도 있다. 북소토어 역시 남아공의 공용어로 지정된 언어이며 화자 수는 소토어보다 훨씬 많다. 북소토어는 츠와나어보다 더 가까운 관계의 언어이지만 북소토어와 소토어는 엄연히 다른 언어이다. 때문에 소토어는 북소토어와 구분하기 위해 '''남소토어'''라고도 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레소토]]의 공용어. [[소토족]]들의 모국어이며 [[반투어족]]에 속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자유주(Free State)를 중심으로 많이 쓰이는 언어이며, 근처 [[보츠와나]]에서 쓰이는 [[츠와나어]]와는 가까운 관계이다. 자유 주 지역에서 많이 쓰이는 소토어와 달리 구 트란스발 지역에서 많이 쓰이는 북소토어(Sesotho sa Leboa)라는 언어도 있다. 북소토어 역시 남아공의 공용어로 지정된 언어이며 화자 수는 소토어보다 훨씬 많다. 북소토어는 츠와나어보다 더 가까운 관계의 언어이지만 북소토어와 소토어는 엄연히 다른 언어이다. 때문에 소토어는 북소토어와 구분하기 위해 '''남소토어'''라고도 한다.


==각주==
==각주==

2025년 1월 17일 (금) 14:35 기준 최신판

Sesotho
소토어
주요사용국레소토, 남아공
원어민약 560만 명
어족니제르콩고어족
애틀랜틱콩고어파
베누에콩고어
반투제어군
반투어군
남부 반투어군
소토어
문자로마자
언어 코드
ISO-639-1ST
주요 사용 지역
남아프리카(레소토)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레소토의 공용어. 소토족들의 모국어이며 반투어족에 속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자유주(Free State)를 중심으로 많이 쓰이는 언어이며, 근처 보츠와나에서 쓰이는 츠와나어와는 가까운 관계이다. 자유 주 지역에서 많이 쓰이는 소토어와 달리 구 트란스발 지역에서 많이 쓰이는 북소토어(Sesotho sa Leboa)라는 언어도 있다. 북소토어 역시 남아공의 공용어로 지정된 언어이며 화자 수는 소토어보다 훨씬 많다. 북소토어는 츠와나어보다 더 가까운 관계의 언어이지만 북소토어와 소토어는 엄연히 다른 언어이다. 때문에 소토어는 북소토어와 구분하기 위해 남소토어라고도 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