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개요) |
||
82번째 줄: | 82번째 줄: | ||
{{인용문1|'''Ein Krieg ist nicht verloren, bis Sie ihn für Verlorenes halten.<ref>halten A¹ für A² 구문이다. Für 뒤에는 과거분사가 아니라 4격 목적어가 위치해야 한다. 다만 halten A 형용사의 형태로 쓸 수는 있다.</ref><br>전쟁은 졌다고 생각할 때까지 지는 것이 아니다.'''}} | {{인용문1|'''Ein Krieg ist nicht verloren, bis Sie ihn für Verlorenes halten.<ref>halten A¹ für A² 구문이다. Für 뒤에는 과거분사가 아니라 4격 목적어가 위치해야 한다. 다만 halten A 형용사의 형태로 쓸 수는 있다.</ref><br>전쟁은 졌다고 생각할 때까지 지는 것이 아니다.'''}} | ||
{{인용문1|'''Preußische Feldmarschälle meutern nicht.<br>프로이센 원수는 반역하지 않는다.'''<ref>[[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당시 참여할 것을 권유받자 했던 말.</ref>}} | {{인용문1|'''Preußische Feldmarschälle meutern nicht.<br>프로이센 원수는 반역하지 않는다.'''<ref>[[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당시 참여할 것을 권유받자 했던 말.</ref>}} |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독일 국방군]] [[육군]] 지휘관. 최종 계급은 [[원수(계급)|원수]]. [[마지노선]]을 무너뜨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초 독일군의 승리를 이끈 [[프랑스 침공]]의 주역이며, [[독소전쟁]]에서도 대활약한 [[장성]]이자 [[명장]]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독일 국방군]] [[육군]] 지휘관. 최종 계급은 [[원수(계급)|원수]]. [[마지노선]]을 무너뜨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초 독일군의 승리를 이끈 [[프랑스 침공]]의 주역이며, [[독소전쟁]]에서도 대활약한 [[장성]]이자 [[명장]]이다. |
2025년 1월 28일 (화) 20:42 기준 최신판
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에리히 폰 만슈타인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
독일 국방군 육군 원수 에리히 폰 만슈타인 FM Erich von Manstein | |||||||||||||||||||||||||||||
---|---|---|---|---|---|---|---|---|---|---|---|---|---|---|---|---|---|---|---|---|---|---|---|---|---|---|---|---|---|
본명 | 프리츠 에리히 게오르크 에두아르트 폰 레빈스키만슈타인 Fritz Erich Georg Eduard von Lewinski-Manstein | ||||||||||||||||||||||||||||
출생 | 1887년 11월 24일 | ||||||||||||||||||||||||||||
프로이센 왕국 베를린 | |||||||||||||||||||||||||||||
사망 | 1973년 6월 10일 (향년 85세) | ||||||||||||||||||||||||||||
서독 바이에른 주 이르센하우젠 | |||||||||||||||||||||||||||||
묘소 | 독일 니더작센 주 도르프마르크 | ||||||||||||||||||||||||||||
서명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Ein Krieg ist nicht verloren, bis Sie ihn für Verlorenes halten.[1] 전쟁은 졌다고 생각할 때까지 지는 것이 아니다. |
Preußische Feldmarschälle meutern nicht. 프로이센 원수는 반역하지 않는다.[2]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독일 국방군 육군 지휘관. 최종 계급은 원수. 마지노선을 무너뜨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초 독일군의 승리를 이끈 프랑스 침공의 주역이며, 독소전쟁에서도 대활약한 장성이자 명장이다.
- ↑ halten A¹ für A² 구문이다. Für 뒤에는 과거분사가 아니라 4격 목적어가 위치해야 한다. 다만 halten A 형용사의 형태로 쓸 수는 있다.
-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당시 참여할 것을 권유받자 했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