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국가) |
||
145번째 줄: | 145번째 줄: | ||
[[파일:청나라 국기.png|23px]] [[대청제국(루미네시아 유니버스)|대청제국]] | [[파일:청나라 국기.png|23px]] [[대청제국(루미네시아 유니버스)|대청제국]] | ||
[[파일:필리핀 공화국 국기.png|23px]] [[필리핀(루미네시아 유니버스)|필리핀]] | [[파일:필리핀 공화국 국기.png|23px]] [[필리핀(루미네시아 유니버스)|필리핀]]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8000;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008000; color: #fff" | [[파일:UVN logo white.png|60px]]<br>'''UVN 디폴리틱 세계관 국가목록'''<br>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 #008000;" | | |||
<div class="mw-customtoggle-uvn3list"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fff;"><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uvn3list"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 |||
| width="15%"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귄메아.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귄메아 연방 공화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영국 국기.sv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그리스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그리스 왕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DPRNstateflag.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나루|나루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난방공화국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난방공화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남아프리카.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남아프리카 연방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대부여국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대부여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태극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대한제국(김가온)|대한제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동녕.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동녕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러소사1.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무굴.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무굴 제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미국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미합중국(중앙관)|미합중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발트연방 국기.jp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발트 코뮌 공화국 연방]]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백악.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백악민주공화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보스니아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보스니아 공화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불가리아 왕국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불가리아 왕국 (채희)|불가리아 왕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브라티나국기.jp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브라티나 사회주의 인민 연방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브렌토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브렌토 공화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서아프리카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서아프리카 연방]]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샤모야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샤모야 황실제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File:Flag of Serbia (1882–1918).sv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세르비아 왕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아오키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아오키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아이슬란드]]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아프간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아프가니스탄 왕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은하국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은하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이베리아 연합왕국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이베리아 연합왕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일본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대일본제국 (채희)|일본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스위스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스위스 연방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중화민국 국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중화민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카르타고.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카르타고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카자이.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카자흐 이집트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타이란터우.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타이란터우 공화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프랑스코뮌국기3.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프랑스 코뮌 공화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하시미.pn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하시미아라비아 왕국 | |||
|- | |||
| style="background: #f5f5f5" | [[파일:타이왕국 국기.svg]] | |||
| style="font-size: 9.5pt; color: #000; background: #fff" align="left" | [[타이왕국]]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 #eeeeee; color:#E7CD54; color: #000; font-size: 8.5pt" align=left | * 국제기구 및 단체는 제외합니다.<br>* ㄱ,ㄴ,ㄷ 순으로 작성합니다. | |||
|- | |||
|}</div></div> | |||
|} | |||
== GDP == | == GDP == | ||
=== 2024년 === | === 2024년 === | ||
{{2024년 국가별 명목 GDP 순위 (루미네시아)}} | {{2024년 국가별 명목 GDP 순위 (루미네시아)}} |
2025년 2월 5일 (수) 16:45 판
![]() 쵸단의 창작 세계관 | |||||||||||||||
[ 펼치기 · 접기 ]
|
루미네시아 유니버스 Arecion Universe | |
---|---|
![]()
| |
시작일 | 2025년 2월 4일 |
개편일 | 2025년 2월 4일 |
작가 | 쵸단,산삼,파벨 |
장르 | 대체역사, 판타지, 정치, 외교, 전쟁 |
저작권 | × |
개요
루미네시아 유니버스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관이다.
세계의 역사
대체역사 시나리오: "아시아 5국 시대"
1.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대청제국의 개혁과 생존
1860년대 양무운동(洋務運動)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군사·산업 개혁이 본격화됨.
1894~1895년 청일전쟁에서 청나라는 일본에 패했지만, 러시아·독일과 협력하여 손실을 최소화함.
1898년 무술변법 이후 광서제가 황권을 강화하고, 서태후 사후 개혁파가 실권을 장악하여 입헌군주제로 전환.
1911년 신해혁명이 발생했으나 청 황실은 개혁을 수용하면서 혁명세력과 타협, 제국 체제를 유지.
독일이 청나라의 개혁을 지원하며 독일령 동아시아를 확보, 청과 협력 관계를 구축.
2. 일본국: 확장 대신 균형 외교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경제 성장을 이룩했지만, 서구 열강과의 충돌을 피하며 신중한 외교 전략을 유지.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지만, 대한제국을 완전 병합하지 않고 대신 보호국으로 유지하며 점진적 영향력을 확대.
1930년대 서구와의 대결 대신 동아시아 내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경제 발전에 집중.
태평양 전쟁을 피하고, 1940년대 이후 대청제국 및 대한제국과 동아시아 삼국 동맹 체제 구축.
3. 대한제국: 자주 개혁과 근대화
1897년 대한제국 수립 이후 고종은 러시아·청나라·일본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펼치며 독립 유지.
1905년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영향력이 확대되었지만, 완전한 병합을 피하고 일본과의 협력 아래 자치권을 점진적으로 확대.
광무개혁(光武改革)을 통해 산업화와 군제 개혁을 추진하여 1920년대에는 동아시아에서 독립적인 경제·군사 강국으로 성장.
1940년대 이후 일본과의 조약을 통해 완전한 독립을 확립하며 입헌군주제 국가로 발전.
4. 만주국: 다민족 독립국으로 성장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본의 보호 아래 만주국이 수립되었으나, 푸이(溥儀) 황제와 중국계·만주계 엘리트들이 독자적인 정치 체제를 강화.
대청제국과 일본국 사이에서 자율적인 정책을 펼치면서 독립적인 경제 성장 모델을 구축.
1950년대 이후 일본·대한제국과 협력하여 동아시아 경제 공동체를 형성하는 핵심 국가로 성장.
5. 독일령 동아시아: 유럽 세력의 아시아 거점
독일은 1898년 교주만(膠州灣) 조차지를 확보하고 칭다오(青島)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식민지 정책을 추진.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이 패했지만, 대청제국과 협력하여 독일령 동아시아를 유지.
1920~30년대 독일은 청나라의 근대화에 기술·군사적 지원을 제공하며 독일-청 제국 동맹 형성.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독일령 동아시아는 유지되었으며, 유럽과 아시아 간 무역 및 군사 거점으로 기능.
6. 현대: 동아시아 5국 체제와 세계 질서
대청제국:
대륙을 통치하며 강대국으로 군림. 입헌군주제 아래 강력한 중앙정부와 경제 개혁이 진행됨.
일본 및 대한제국과 경제적으로 협력하면서도, 정치적으로는 경쟁 관계 유지.
일본국:
강력한 해군력과 경제력으로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아시아의 중심 국가.
대청제국 및 대한제국과의 균형 외교를 유지하며 경제 공동체를 주도.
대한제국:
입헌군주제 아래 정치적 안정과 산업화 성공.
일본 및 만주국과 협력하며, 대청제국과는 경쟁과 협력을 병행.
만주국:
대청제국과 일본 사이에서 독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는 동북아의 전략적 요충지.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는 다민족 국가로, 동아시아 경제 협력의 중심축 역할 수행.
독일령 동아시아:
유럽 세력의 동아시아 거점으로 기능하며, 독일과 아시아 국가 간 무역 및 군사적 협력을 주도.
중국, 일본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서구적 색채를 유지하는 독자적인 지역으로 발전.
판도
세계지도
국가
![]() UVN 디폴리틱 세계관 국가목록 | |||||||||||||||||||||||||||||||||||||||||||||||||||||||||||||||||||||||||
[ 펼치기 · 접기 ]
|
GDP
2024년
명목GDP
2024년
순위 | 국가 | 국내총생산 | 경제성장률 |
1 | 미합중국 | 2.6% | |
2 | 중화민국 | 22조 5236억$ | 7.8% |
3 | 러시아 제국 | 6.3% | |
4 | 일본국 | 6조 2447억 4387만$ | 5.7% |
5 | 대한제국 | 1.9% | |
6 | 독일제국 | 3.5% | |
7 | 11.9% | ||
8 | 0.4% | ||
9 | -0.8% | ||
10 | 2조1753억6357만$ | 2.7% | |
11 | -17.5% | ||
12 | 3.4% | ||
13 | 2.2% | ||
14 | 5.0% | ||
15 | 3.6% | ||
16 | 0.9% | ||
17 | -34.3% | ||
18 | 8.6% | ||
19 | 2.9% | ||
20 | 4.5% |
PPP
2024년
순위 | 국가 | PPP | 경제성장률 |
1 | 중화민국 | 47조 9132억$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