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카카오톡 가상국가인 대한제국의 세계관 공식 문서입니다. 문서편집,반달등을 전부 금합니다.'''||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202060; float: right; max-width: 400px; width: 100%; font-size: 14.4px;"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202060; float: right; max-width: 400px; width: 100%; font-size: 14.4px;" | ||
! colspan="3" style="background: #202060; color: #FFF;" | <br>{{글씨 크기 (px)|18.56|최규하 내각}}<br>崔圭夏 內閣 | ! colspan="3" style="background: #202060; color: #FFF;" | <br>{{글씨 크기 (px)|18.56|최규하 내각}}<br>崔圭夏 內閣 |
2025년 2월 13일 (목) 00:49 판
카카오톡 가상국가인 대한제국의 세계관 공식 문서입니다. 문서편집,반달등을 전부 금합니다. |
최규하 내각 崔圭夏 內閣 | ||
---|---|---|
1972년 5월 12일 ~1973년 12월 12일 [1] | ||
출범 이전 | ||
이범석 내각 | ||
출범 이후 | ||
박정희 내각 | ||
내각총리대신 | 최규하 / 제7대 | |
여당 | 대한민족청년단 |
개요
![]() |
▲ 최규하 내각의 출범 |
1972년 5월 11일 내각총리대신 이범석이 급사함에 따라 1972년 5월 12일 ~1973년 12월 8일 동안 당시 부총리였던 최규하가 총리 권한대행을 맡은 체제.
이후 중추원에서 12월 8일, 공식 내각총리대신으로 최규하를 선출했다. 하지만 이후 박정희가 쿠데타를 일으켜.. 4일만에 정권이 무너졌다
정책
각주
- ↑ 권한대행 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