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제국 황립해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편제        = 해군: 60,246명<br/> 해병대: 10,240명
|편제        = 해군: 60,246명<br/> 해병대: 10,240명
|충원방식    = 모병제
|충원방식    = 모병제
|명령체계 = [[대경제국 국방부]]<br/> [[대경제국 황립총참모본부]]<br/> 대경제국 황립해군본부
|명령체계 = [[대경제국 국방부]]<br/> [[대경제국 황립총참모본부]]<br/> [[대경제국 황립해군본부]]
|본부        = [[청경특별자유시]]
|본부        = [[청경특별자유시]]
|징집 연령    =  
|징집 연령    =  
27번째 줄: 27번째 줄:
}}
}}
==개요==
==개요==
(제작중)
==전력==
{{본문|대경제국 황립해군/전력}}
대경제국 황립해군은 [[대경민국 해군]] 시절, 미국의 대() 중국or소련 공산주의 전선에서 미국이 육군을, [[대경민국]]이 해군을 담당하는 전략이 구상되었고 이것이 실행에 옮겨져, 대대적으로 대경민국 해군 확충에 미국은 막대한 재정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 덕분에 현재 대경제국 해군은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항모전단을 3~4개 정도 굴릴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한다.
==역사==
{{본문|대경제국 황립해군/역사}}
제정 복고가 되고 나서 대경제국은 [[미국(킹덤 오브 킹덤)|미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중간에서 중립 외교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미국이 [[1997년 대경제국 경제 위기]]때 대경제국은 나름의 재정 지원을 기대했지만 미국이 국내 사정[* 의회 통과 절차도 필요했고 절차가 복잡하였으며 구지 전략 구상에서 역할이 축소되는 대경제국을 도와줄 이유가 없었다는 의견이 많았다.]으로 지원을 안하자 대경제국은 사실상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외교 중점을 선회했고 오-헝 제국의 범 군사 행동 및 전략 구상에 합류한다. 이후 오-헝 제국의 군수업 회사가 대경제국 황립해군에 함선 수주를 맡기도 했다.
==각주==
{{주석}}

2019년 11월 13일 (수) 22:47 판

군기.png
대경제국 황립군
大敬帝國 皇立軍
대경제국군
대경제국 황립육군대경제국 황립해군대경제국 황립공군
황립해군
皇立海君
Korea Empire Navy Forces
대경제국 해군 로고.png
창립일 1987년 10월 1일
국적 대경제국
편제 해군: 60,246명
해병대: 10,240명
충원방식 모병제
상비군 70,486명
예비군 570,000명
지휘체계
명령체계 대경제국 국방부
대경제국 황립총참모본부
대경제국 황립해군본부
본부 청경특별자유시
통수권자 대경제국 황제 전황제 이원(명목상)
대경제국 총리대신 문재인(사실상)
군사비
예산 37조 607억 원
310억 6512만 달러
방위산업
국내 공급 STX 대련 조선
제국 군수업 공사
해외 공급 달마티아 베르센드
콘스탄차 킹덤
오스트로다임러
함께 읽기

개요

전력

대경제국 황립해군은 대경민국 해군 시절, 미국의 대(対) 중국or소련 공산주의 전선에서 미국이 육군을, 대경민국이 해군을 담당하는 전략이 구상되었고 이것이 실행에 옮겨져, 대대적으로 대경민국 해군 확충에 미국은 막대한 재정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 덕분에 현재 대경제국 해군은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항모전단을 3~4개 정도 굴릴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한다.

역사

제정 복고가 되고 나서 대경제국은 미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중간에서 중립 외교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미국이 1997년 대경제국 경제 위기때 대경제국은 나름의 재정 지원을 기대했지만 미국이 국내 사정 의회 통과 절차도 필요했고 절차가 복잡하였으며 구지 전략 구상에서 역할이 축소되는 대경제국을 도와줄 이유가 없었다는 의견이 많았다.으로 지원을 안하자 대경제국은 사실상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외교 중점을 선회했고 오-헝 제국의 범 군사 행동 및 전략 구상에 합류한다. 이후 오-헝 제국의 군수업 회사가 대경제국 황립해군에 함선 수주를 맡기도 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