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슬로바키아 연방 공화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4번째 줄: 44번째 줄:
 
|-
 
|-
 
! 국가원수
 
! 국가원수
| 예시 | 슈미트 팔
+
| 예시 | 너지 임레
 
|-
 
|-
 
! 정치 체제
 
! 정치 체제
61번째 줄: 61번째 줄:
 
​중부유럽에 있는 국가이다
 
​중부유럽에 있는 국가이다
 
===== 역사 =====
 
===== 역사 =====
대헝가리의 시초는 헝가리인의 대타협부터 시작된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설립 이후 세계 1차 대전 이후 가장 연방은 헤체된다 이때 헝가리는 헝가리 왕국을 건설하게 되고 슬로바키아인은 체코가 아닌 헝가리와 같이 국가를 세우는데 그것이 헝가리-슬로바키아 왕국이였다 그 이후 헝가리 -슬로바키아 왕국은 추축국에 속해서 전쟁을 이르키지만  패전하고 소련에게 점령당한다 그후 그냥  헝가리 인민공화국으로 독립하게 되고 그 이후 슬로바키아가 병합된다 소련이 점점 붕괴되며 헝가리는 민주화가 되고 그것이 지금에 대헝가리 공화국이 탄생하게 된다 현제도 슬로바키아인과 헝가리인은 협력해서 살아있으며 현제는 미래와 자유당이 정권을 잡고 있다
+
대헝가리의 시초는 헝가리인의 대타협부터 시작된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설립 이후 세계 1차 대전 이후 가장 연방은 헤체된다 이때 헝가리는 헝가리 왕국을 건설하게 되고 슬로바키아인은 체코가 아닌 헝가리와 같이 국가를 세우는데 그것이 헝가리-슬로바키아 왕국이였다 그 이후 헝가리 -슬로바키아 왕국은 추축국에 속해서 전쟁을 이르키지만  패전하고 소련에게 점령당한다 그후 그냥  헝가리 인민공화국으로 독립하게 되고 그 이후 슬로바키아가 병합된다 소련이 점점 붕괴되며 헝가리는 민주화가 되고 그것이 지금에 대헝가리 공화국이 탄생하게 된다 현제도 슬로바키아인과 헝가리인은 협력해서 살아있으며 현제는 헝가리 인민당이 정권을 잡고 있다
 
 
 
 
===== 인문환경 =====
 
  
 
===== 지리 =====
 
===== 지리 =====
   
+
  위쪽 슬로바키아 지방에 산맥이 높이 있고 헝가리 지방은 산이 조금 있고 평지가 대부분이다
 
===== 경제 =====
 
===== 경제 =====
헝가리의 경제 정보
 
 
 
  
 
인구:11.915.000 명
 
인구:11.915.000 명
131번째 줄: 125번째 줄:
  
 
분홍색 부분과 의류는 중부유럽 최대 부다페스트가 중심이기에 자연스럽게 발생하였고 특히 이탈리아와 독일 근처의 영향을 받았을걸로 예측된다
 
분홍색 부분과 의류는 중부유럽 최대 부다페스트가 중심이기에 자연스럽게 발생하였고 특히 이탈리아와 독일 근처의 영향을 받았을걸로 예측된다
 
  
 
헝가리 경제의 미래
 
헝가리 경제의 미래
137번째 줄: 130번째 줄:
 
3차산업과 미래 4차산업 위주의 투자가 필수적이다
 
3차산업과 미래 4차산업 위주의 투자가 필수적이다
  
+
===== 문화 =====
 +
수렵채집, 목축, 유목 및 방목으로 살았던 우랄계 마자르족(헝가리인)은 유럽에 정착한 이후 게르만, 슬라브 등 주변 민족들 문화의 영향을 받았지만 동시에 마자르 고유의 문화를 간직하기도 했고, 훗날 헝가리가 되었다.
 +
때문이다.
 +
예술
 +
미술, 건축, 음악
 +
헝가리의 미술품과 건축물은 로마네스크, 고딕, 바로크, 아르누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음악에 있어서는 프란츠 리스트, 버르토크 벨러, 리게티 죄르지, 치프라 죄르지, 에르뇌 도흐나니, 페렌츠 에르켈 등의 세계적인 음악가가 있다.
 +
 
 +
소련의 위성국가였던 시절, 일련의 록 밴드들이 영미권의 펑크 운동에 자극받아 공산당 정부의 검열과 압박을 버텨가며 나름대로의 펑크 음악을 발전시킨 적이 있다. 대표적인 밴드로는 Atilla Grandpierre의 Vágtázó Halottkémek이 있으며, 샤머니즘적인 요소를 펑크 음악에 결합해 독특한 공연을 펼쳐 헝가리 청년들의 인기를 끌었다.
 +
문학
 +
문학은 허세 부리는 송가, 자유를 갈망하는 시, 대담한 리얼리즘 이야기, 귀에 거슬리는 논쟁 등이 알려져 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임레 케르테스와 현대의 고전으로 불리는 <방문객>의 콘라드 죄르지 등의 작가가 유명하다.
 +
 
 +
독특한 농촌 문화 때문에, 농촌 문학이 유달리 발달한 곳으로 유명하다.
 +
대표적.
 +
4. 의복[편집]
 +
헝가리의 전통의상은 지역마다 조금씩 무늬와 특징이 다르다. 하지만 전체적인 면에서 헝가리의 전통의상은 화려한 색체로 옷에 수놓아져 있는 꽃문양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 의상은 크게 백성층과 왕족 및 귀족층의 의상으로 나뉘는데, 흔하게 볼 수 있는 전통의상의 대부분은 백성층의 의상이라고 보면 된다. 한복이나 치파오처럼 전통의상 자체를 칭하는 단어는 없고 특정 지역 명칭 다음에 헝가리어로 전통 의상을 뜻하는 NÉPVISELET(네프비셸레트)를 붙인다.
 +
요리
 +
와인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으로 화이트 디저트 와인인 토카이 아수(Tokaji Aszú) 와인이 있는데, 당도에 따라 별 3개에서 6개(정확히는 사용된 Putton의 양)로 등급을 나눈다. 별이 많을수록 달고 비싸다. 별 6개보다 높은 등급은 Aszú-Eszencia와 Eszencia가 있으며, Eszencia가 최상급이다.
 +
 
 +
레드 와인으로는 에그리 비커베르(Egri Bikavér)가 유명하다. 뜻을 직역하면 Bull's Blood.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1세가 헝가리를 정복하기 위해 침공했을 당시, Eger 성에서 공성전을 벌일 때 오스만 제국 병사들 사이에 헝가리 병사들이 마시는 와인에 황소의 피가 섞여있어서 지치지 않고 저항한다는 소문이 퍼졌고, 헝가리 장병들은 이 와인을 얼굴에 바르고 싸웠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Eger 성이 함락되었고, 헝가리는 정복당했지만, 당시 대 제국에 저항해 맞서 싸웠던 조상들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와인에 이러한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
 
 +
그 밖에 팔린커(Pálinka) 라는 술 또한 유명하다. 알콜도수는 40도에서 70도까지 다양하며, 과실주를 증류해서 만든 브랜디의 일종이다. 살구, 사과, 자두, 체리 등의 과일향이 첨가되어 있으며, 특징은 고량주와 같이 독하면서 금방 술이 오르지만, 금방 깬다. 고량주와 차이점은 뒷맛이 고량주와 같은 독특한 향이 없고 깔끔하다. 유럽의 알아주는 주당 헝가리 사람들이 매우 인기있는 술이며, 토커이 어수는 한국에 수입이 되지만 팔린커는 수입해서 파는 것을 보지 못했으므로, 헝가리를 갈 일이 있으면 꼭 마셔볼 것을 추천한다.
 +
 
 +
헝가리의 전통 수프인 굴라쉬[1]는 유럽 전역에서 유명한 요리다. 어째선지 한국에서는 육개장과 비슷한 맛이 나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굴라쉬 외에 파프리카가 잔뜩 들어간 수프로는 헐라슬레(halászlé)가 있으며 특히 버여(Baja)란 마을에서 즐겨먹는다고 한다. 재료나 조리법에서 매운탕이 연상되지만 당연히 덜 맵다.
 +
 
 +
또한 윈터 살라미를 비롯한 돼지고기도 알음알음 알려져 있다. 헝가리에서는 멍걸리처라는 품종의 돼지를 기르는데, 일반적인 돼지와 다르게 털이 북실북실한 것이 특징이다.
 +
 
 +
헝가리는 질 좋은 식재료가 풍부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기 때문에 단순한 고기나 감자 요리도 재료맛으로만 먹을 수 있을 정도이며, 실제 과일 맛이 나는 과일 주스나 셔벗도 굉장히 다양하다. 헝가리에 가면 꼭 치즈나 유제품으로 만든 디저트, 고기를 먹어보도록 하자. 그런데 헝가리 음식들은 어째서인지 엄청난 소금간
 +
때문에 조금 먹기가 괴롭다. 현지인들이 가는 레스토랑 중에서는 1인분에 징그럽게 많은 양을 주는 곳도 꽤 있다. 헝가리인들은 그 정도 먹는듯.
 +
스포츠
 +
축구를 좋아한다
  
 
===== 군사 =====
 
===== 군사 =====
 
===== 문화 =====
 

2021년 1월 3일 (일) 18:16 판

국기 Flag of Hungary (1867-1918) svg.png
대 헝가리 공화국 헝가리어:Nagy-Magyar Köztársaság

슬로바키어:Veľká maďarská republika
영어:Republic of Hungary

국가 Himnusz
국화 튤립
국조 까마귀
수도 부다페스트
인구 11.915.000
언어 공식언어:헝가리/소수언어:슬로바키아어
종교 재정분리 기독교90%
국가 면적 157.926km2
총 gdp 3500억 3000만$
1인당 gdp 5.502$
국가원수 너지 임레
정치 체제 공화정 의원내각제
경제 체제 자유경제
표어 하느님 대헝가리를 축복하소서
개요

​중부유럽에 있는 국가이다

역사

대헝가리의 시초는 헝가리인의 대타협부터 시작된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설립 이후 세계 1차 대전 이후 가장 연방은 헤체된다 이때 헝가리는 헝가리 왕국을 건설하게 되고 슬로바키아인은 체코가 아닌 헝가리와 같이 국가를 세우는데 그것이 헝가리-슬로바키아 왕국이였다 그 이후 헝가리 -슬로바키아 왕국은 추축국에 속해서 전쟁을 이르키지만 패전하고 소련에게 점령당한다 그후 그냥 헝가리 인민공화국으로 독립하게 되고 그 이후 슬로바키아가 병합된다 소련이 점점 붕괴되며 헝가리는 민주화가 되고 그것이 지금에 대헝가리 공화국이 탄생하게 된다 현제도 슬로바키아인과 헝가리인은 협력해서 살아있으며 현제는 헝가리 인민당이 정권을 잡고 있다

지리
위쪽 슬로바키아 지방에 산맥이 높이 있고 헝가리 지방은 산이 조금 있고 평지가 대부분이다
경제

인구:11.915.000 명

경제 규모(명목 GDP) 3000억 달러(약 325조 원)

경제 규모(PPP) 5229억 달러(약 600조 원)

1인당 명목 GDP 18.718 달러

1인당 PPP 40.000 달러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90%

경제성장률 1%

고용률 67%

중앙은행 기준급리:3%

화폐 포린트

미국 1달러당 294.31포린트

영국 1파운드당 395.80 포린트

중국 1위안당 45.14 포린트

대헝가리 경제.jpeg

헝가리의 산업 구조,

파란색이 제조

붉은색이 건설자재,

분홍색이 의료-약학-화학-플라스틱산업,

진한 갈색이 철강 등의 제철업,

노랑색이 농업,

초록색이 의류업,

연갈색은 식품업,

흑색에 가까운 고동색은 석유 관련 산업,

갈색은 광산업,

회색은 기타 미분류이다

여기서 광산업과 임업은 슬로바키아 산맥지방에서 주로 일어나고 헝가리 산맥은 비중이 적고 농업은 헝가리쪽 평지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추축국과 공산당 체제를 지나서 철강 제조업이 예전부터 강했으며 현제도 명맥을 유지중이다

분홍색 부분과 의류는 중부유럽 최대 부다페스트가 중심이기에 자연스럽게 발생하였고 특히 이탈리아와 독일 근처의 영향을 받았을걸로 예측된다

헝가리 경제의 미래

3차산업과 미래 4차산업 위주의 투자가 필수적이다

문화

수렵채집, 목축, 유목 및 방목으로 살았던 우랄계 마자르족(헝가리인)은 유럽에 정착한 이후 게르만, 슬라브 등 주변 민족들 문화의 영향을 받았지만 동시에 마자르 고유의 문화를 간직하기도 했고, 훗날 헝가리가 되었다.
때문이다.
예술
미술, 건축, 음악
헝가리의 미술품과 건축물은 로마네스크, 고딕, 바로크, 아르누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음악에 있어서는 프란츠 리스트, 버르토크 벨러, 리게티 죄르지, 치프라 죄르지, 에르뇌 도흐나니, 페렌츠 에르켈 등의 세계적인 음악가가 있다.

소련의 위성국가였던 시절, 일련의 록 밴드들이 영미권의 펑크 운동에 자극받아 공산당 정부의 검열과 압박을 버텨가며 나름대로의 펑크 음악을 발전시킨 적이 있다. 대표적인 밴드로는 Atilla Grandpierre의 Vágtázó Halottkémek이 있으며, 샤머니즘적인 요소를 펑크 음악에 결합해 독특한 공연을 펼쳐 헝가리 청년들의 인기를 끌었다.
문학
문학은 허세 부리는 송가, 자유를 갈망하는 시, 대담한 리얼리즘 이야기, 귀에 거슬리는 논쟁 등이 알려져 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임레 케르테스와 현대의 고전으로 불리는 <방문객>의 콘라드 죄르지 등의 작가가 유명하다.

독특한 농촌 문화 때문에, 농촌 문학이 유달리 발달한 곳으로 유명하다.
대표적.
4. 의복[편집]
헝가리의 전통의상은 지역마다 조금씩 무늬와 특징이 다르다. 하지만 전체적인 면에서 헝가리의 전통의상은 화려한 색체로 옷에 수놓아져 있는 꽃문양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 의상은 크게 백성층과 왕족 및 귀족층의 의상으로 나뉘는데, 흔하게 볼 수 있는 전통의상의 대부분은 백성층의 의상이라고 보면 된다. 한복이나 치파오처럼 전통의상 자체를 칭하는 단어는 없고 특정 지역 명칭 다음에 헝가리어로 전통 의상을 뜻하는 NÉPVISELET(네프비셸레트)를 붙인다.
요리
와인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으로 화이트 디저트 와인인 토카이 아수(Tokaji Aszú) 와인이 있는데, 당도에 따라 별 3개에서 6개(정확히는 사용된 Putton의 양)로 등급을 나눈다. 별이 많을수록 달고 비싸다. 별 6개보다 높은 등급은 Aszú-Eszencia와 Eszencia가 있으며, Eszencia가 최상급이다.

레드 와인으로는 에그리 비커베르(Egri Bikavér)가 유명하다. 뜻을 직역하면 Bull's Blood.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1세가 헝가리를 정복하기 위해 침공했을 당시, Eger 성에서 공성전을 벌일 때 오스만 제국 병사들 사이에 헝가리 병사들이 마시는 와인에 황소의 피가 섞여있어서 지치지 않고 저항한다는 소문이 퍼졌고, 헝가리 장병들은 이 와인을 얼굴에 바르고 싸웠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Eger 성이 함락되었고, 헝가리는 정복당했지만, 당시 대 제국에 저항해 맞서 싸웠던 조상들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와인에 이러한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그 밖에 팔린커(Pálinka) 라는 술 또한 유명하다. 알콜도수는 40도에서 70도까지 다양하며, 과실주를 증류해서 만든 브랜디의 일종이다. 살구, 사과, 자두, 체리 등의 과일향이 첨가되어 있으며, 특징은 고량주와 같이 독하면서 금방 술이 오르지만, 금방 깬다. 고량주와 차이점은 뒷맛이 고량주와 같은 독특한 향이 없고 깔끔하다. 유럽의 알아주는 주당 헝가리 사람들이 매우 인기있는 술이며, 토커이 어수는 한국에 수입이 되지만 팔린커는 수입해서 파는 것을 보지 못했으므로, 헝가리를 갈 일이 있으면 꼭 마셔볼 것을 추천한다.

헝가리의 전통 수프인 굴라쉬[1]는 유럽 전역에서 유명한 요리다. 어째선지 한국에서는 육개장과 비슷한 맛이 나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굴라쉬 외에 파프리카가 잔뜩 들어간 수프로는 헐라슬레(halászlé)가 있으며 특히 버여(Baja)란 마을에서 즐겨먹는다고 한다. 재료나 조리법에서 매운탕이 연상되지만 당연히 덜 맵다.

또한 윈터 살라미를 비롯한 돼지고기도 알음알음 알려져 있다. 헝가리에서는 멍걸리처라는 품종의 돼지를 기르는데, 일반적인 돼지와 다르게 털이 북실북실한 것이 특징이다.

헝가리는 질 좋은 식재료가 풍부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기 때문에 단순한 고기나 감자 요리도 재료맛으로만 먹을 수 있을 정도이며, 실제 과일 맛이 나는 과일 주스나 셔벗도 굉장히 다양하다. 헝가리에 가면 꼭 치즈나 유제품으로 만든 디저트, 고기를 먹어보도록 하자. 그런데 헝가리 음식들은 어째서인지 엄청난 소금간
때문에 조금 먹기가 괴롭다. 현지인들이 가는 레스토랑 중에서는 1인분에 징그럽게 많은 양을 주는 곳도 꽤 있다. 헝가리인들은 그 정도 먹는듯.
스포츠
축구를 좋아한다

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