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군(3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4번째 줄: 44번째 줄:
||<bgcolor=#CE1124> '''{{{#white 영국 육군기}}}''' ||
||<bgcolor=#CE1124> '''{{{#white 영국 육군기}}}''' ||


영국의 영토방위를 책임지고 9만명의 상비군과 2만 7천명의 예비군을 두고있다. 테러와의 전쟁, 해외영토 이권 수호 등의 임무를 수행 중이다. 나폴레옹 전쟁과 제1, 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한 바 있다. 현재 강습헬기 추가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영국 육군'''<small>(British Army)</small>은 영국의 영토방위를 책임지고 9만명의 상비군과 2만 7천명의 예비군을 두고있다. 테러와의 전쟁, 해외영토 이권 수호 등의 임무를 수행 중이다. 나폴레옹 전쟁과 제1, 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한 바 있다. 현재 강습헬기 추가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편제===
===편제===
130번째 줄: 130번째 줄:


==해군==
==해군==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bordercolor=#C8102E> <center><div style="margin: -4px -9px">[[파일:Britishnavyflag.png|100%]]
</div><div style="margin: -3px -9px"></center> ||
||<bgcolor=#C8102E> '''{{{#white 영국 왕립해군기}}}''' ||
'''영국 왕립해군'''<small>(Royal Navy)</small>은 영국 해상방위를 책임지며, 16세기부터 활동했기 때문에 영국에서 가장 역사가 긴 군사조직이다. 1980년까지는 100만톤에 달하는 군함들을 보유할 정도로 해상강국이었으나 이후 경제침체로 인한 군축으로 규모가 전체적으로 줄어들었다. 다만 전세계를 기준으로는 여전히 강력한 해군전력이라 평가받고있다.


===편제===
===편제===

2021년 2월 20일 (토) 19:35 판


BAF1.jpg
BAF2.jpg
BAF3.jpg
BAF5-1.jpg
영국군
British Armed Forces
100%
창립
1707년
지휘체계
명목상 통수권자엘리자베스 2세 여왕
실질적 통수권자테레사 메이 총리
국방장관마이클 팔론 하원의원
편제
Britisharmyflag.png 영국 육군 (British Army)
Britishnavyflag.png 영국 해군 (Royal Navy)
Britishairforceflag.png 영국 공군 (Royal Air Force)
Britishmarineflag.png 영국 해병대 (Royal Marines)
병력
충원방식모병제
징집 연령15세 ~ 49세
상비군205,850명
예비군181,720명
전력
전차227대
장갑차2,318대
자주포89문
MLRS35문
수송 차량12,611대
헬리콥터312기
전투기164기 (+118기)
항공모함2척
구축함6척
호위함13척 (+18척)
초계함25척 (+4척)
잠수함10척 (+8척)

개요

여왕 폐하의 군대(Her Majesty's Armed Forces) 또는 영국군(British Armed Forces)영국 본토와 해외영토의 방어를 담당하는 군대이다. 나폴레옹 전쟁과 7년 전쟁, 크림 전쟁, 제1, 2차 세계대전 등 여럿 참전한 경력이 있다. 포클랜드 제도, 지브롤터에 영국군이 주둔하고 있기도 하다.

육군

100%
영국 육군기

영국 육군(British Army)은 영국의 영토방위를 책임지고 9만명의 상비군과 2만 7천명의 예비군을 두고있다. 테러와의 전쟁, 해외영토 이권 수호 등의 임무를 수행 중이다. 나폴레옹 전쟁과 제1, 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한 바 있다. 현재 강습헬기 추가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편제

사단급 전투부대

  • 제1사단 (본토대응군)
  • 제3사단 (신속대응군)

예비사단

  • 국왕사단 (유사시 본토방위)
  • 여왕사단 (유사시 본토방위)
  • 근위사단 (유사시 런던방위)
  • 스코틀랜드 사단 (유사시 스코틀랜드 방위)
  • 웨일스 왕자사단 (유사시 스코틀랜드 방위)

여단급 전투부대

  • 제1기갑보병여단 (기계화)
  • 제12기갑보병여단 (기계화)
  • 제20기갑보병여단 (기계화)
  • 제4보병여단 (보병여단, 차량화)
  • 제7보병여단 (보병여단, 차량화)
  • 제11보병여단 (보병여단)
  • 제38보병여단 (보병여단, 북아일랜드 주둔)
  • 제42보병여단 (보병여단, 차량화)
  • 제51보병여단 (보병여단, 스코틀랜드 주둔)
  • 제160보병여단 (보병여단)
  • 제16공중강습보병여단 (강습보병여단, 공수보병, 육군항공대)

여단급 전투부대

  • 제101군수지원여단 (병참여단, 의료연대)
  • 제102군수지원여단 (병참여단, 의료연대)
  • 제104군수지원여단 (병참여단, 의료연대)
  • 제1포병여단 (포병여단)
  • 제11연락선유지여단 (연락선 보호, 군내 연락담당)
  • 제2의료여단 (의료여단)
  • 제1사령부 및 정보부여단 (군내 사령부, 정보부)
  • 헌병여단 (헌병여단, 군내 군무국 소속)

해외주둔부대

  • 포클랜드 제도 주둔군 (2개 대대급)
  • 지브롤터 주둔군 (1개 현지군 대대)

중기갑

  • 왕립전차연대
  • 국왕의 후사르연대
  • 여왕의 후사르연대
  • 웨식스 예비전차연대

경기갑

  • 왕립근위기병대
  • 왕립창기병연대
  • 왕립근위용기병연대
  • 제1여왕근위용기병연대
  • 왕립스코틀랜드용기병연대
  • 왕립의용기병연대
  • 왕립경기병연대
  • 북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의용기병연대
  • 여왕의 의용기병연대

보병

  • 근위척탄병연대
  • 콜드스트림 근위경보병연대
  • 스코틀랜드 근위연대
  • 아일랜드 근위연대
  • 웨일스 근위연대
  • 런던 근위연대
  • 왕립스코틀랜드연대
  • 왕립웨일스왕자연대
  • 앵글리안연대
  • 랭커스터 공작연대
  • 왕립퓨질리어연대
  • 요크셔연대
  • 왕립웨일스연대
  • 왕립메르시안연대
  • 왕립아일랜드연대
  • 소총연대
  • 공수연대
  • 왕립구르카 소총연대
  • 발라클라바대대
  • 근위척탄병연대 독립중대
  • 스코틀랜드 근위연대 7중대
  • 콜드스트림 근위연대 F중대

기타 육군전투부대

  • 육군공수특전단연대 (SAS)
  • 특수정찰연대
  • 육군항공대

전투부대 지원부대

  • 왕립포병대
  • 왕립공병대
  • 명예근위포병연대
  • 육군정보부
  • 연락선보호부대

해군

100%
영국 왕립해군기

영국 왕립해군(Royal Navy)은 영국 해상방위를 책임지며, 16세기부터 활동했기 때문에 영국에서 가장 역사가 긴 군사조직이다. 1980년까지는 100만톤에 달하는 군함들을 보유할 정도로 해상강국이었으나 이후 경제침체로 인한 군축으로 규모가 전체적으로 줄어들었다. 다만 전세계를 기준으로는 여전히 강력한 해군전력이라 평가받고있다.

편제

공군

편제

해병대

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