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
(→기갑전력)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include(틀:현대전/중화민국 보병장비)] | [include(틀:현대전/중화민국 보병장비)] | ||
== 기갑전력 == | == 기갑전력 == | ||
[include(틀:현대전/중화민국 기갑차량)] | [include(틀:현대전/중화민국 기갑차량)] |
2021년 3월 26일 (금) 11:09 판
風雲起 山河動
바람과 구름이 일고 강산이 움직인다. 黃埔建軍聲勢雄 황포건군의 기세가 드높다. 革命壯士矢精忠 혁명장사들은 충성을 맹세하였다. 金戈鐵馬 정예한 군대 百戰沙場 수많은 전장에서 싸웠다. 安內攘外作先鋒 내부를 안정시키고 외적 토벌의 선봉이 되다. 縱橫掃蕩 종횡으로 적을 휩쓸고 復興中華 중화를 다시 일으키다. 所向無敵 가는 곳에 적이 없다. 立大功 큰 공을 세우다
개요
"忠誠精實"
충성정실
중화민국군(4세계관 머만군)의 육군으로 1925년에 창설된 국민혁명군의 후신이다. 중일전쟁, 국공내전 등 굵직한 전쟁을 겪었다. 한때 대륙시절 수백만명의 병력으로 이루어져있으면서 국공내전과 중일전쟁을치루었고 하지만 제대로된 중앙군의 편재는 규모가 적고 대부분 군벌집합의 군대 였기 때문에 제각각 놀았고 심지어 보급체계도 개판이었다. 미국이 지원하던 시점에는 미국제 장비 위주로 편성되기도 했으나 결국 국공내전에서 패배하며 타이완으로 오게 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그 동안 전차 전력이 부실했는대 대륙의 압박으로 제대로 된 무기체계 도입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로 인하여 2000년대 중반까지 대만군의 주력 전차는 M48을 바탕으로 계량한 CM11전차였다. M68 105mm 주포와 M1전차에 들어가는 사통을 조합한 이 전차는 대상륙전에선 어느정도 억지력을 가졌으나 실질적 전차전에서는 우위를 점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만육군은 2000년대 중반부터 200여대의 M60A3 전차를 도입해 급한불을 껐으나 여전히 중국군의 기갑전력을 상대하기엔 무리가 있었으며 이 문제는 2019년에 와서야 미국에서 M1A2T 전차 108대의 판매가 결정되므로써 어느정도 해결의 기미가 보이게 되었다.
국부천대 이후
20세기 초반에 중국은 가난한 국가였기 때문애 돈이 많이드는 해군,공군과는 다르게 육군중심으로 돌아가던 군대였다. 그러나 국부천대 이후 섬나라가 된 이후에는 본토 수복이라는 군사교리로 대규모 지상군을 운영했고 사실상 이목표가 포기되었던 1970년대 말까지도 60만명이 넘는 군대였으나 하지만 차츰 본토수복이 목표가 아니라 타아완 방어로 군사교리가 바뀌자 군대가 축소되기 시작했고 2018년부터 반모병제가 실시되어 약10만명규모로 슬림화된 육군이 되었다.
조직
전력
보병전력
{{틀:현대전/중화민국 보병장비}}
기갑전력
{{틀:현대전/중화민국 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