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민주당: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2><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f5f5f5,#2d2f34><tablewidth=400><tablealign=right><height=150><bgcolor=#fff,#1f2023> width=300 |...)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2><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f5f5f5,#2d2f34><tablewidth=400><tablealign=right><height=150><bgcolor=#fff,#1f2023>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svg|width=300]]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FBCC1A; text-align: left"
||<-2><bgcolor=#004ea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AC452 0%, #00AA7D 10%, #008CCD 20%, #004EA2 30%, #004EA2);"
|-
'''{{{#fff 더불어민주당}}}'''}}} ||
! colspan="5" style="font-size: 13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small>대한민국의 야당</small><br>'''<big>미래민주당</big>'''<br><small>柳時敏 | Ryu Si-min</small>'''
||<width=125><colcolor=#004ea2,#008ccd> '''영문명''' ||<colbgcolor=#fff,#1f2023>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새정치민주연합]]이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을 바꿀 때 정한 영문 표기는 '(The) Minjoo Party of Korea'였다. 그러다가 2016년 10월 [[민주당(2014년)|원외 민주당]]과 합당하면서 영어 공식 표기를 바꾸었다.]||
|-
|| '''등록 약칭''' ||민주당, 더민주[* 새정치민주연합이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을 바꿀 당시에는 [[민주당(2014년)|원외 민주당]] 때문에 부득이 더민주를 [[선거관리위원회]]에 약칭으로 등록했다. 그러다가 2016년 10월 원외 민주당과 합당하면서 '''민주당'''이라는 약칭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더민주와 민주당을 함께 등록했다. 이후로는 더민주는 선관위에 등록만 돼 있을 뿐 사실상 안 쓰이게 되고 실제로는 민주당만을 약칭으로 쓰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공식 사이트 주소에는 들어간다. 아직도 일부 홍보물에서는 더민주 명칭을 쓰기도 하며 당내 행사 등의 이름을 지을 때도 '민주'보다는 '더'라는 접두사를 많이 쓴다. 예를 들면, 민주당의 정치후원금은 '더치페이'로 불린다.]||
! colspan="5"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유시민.png|400px]]</center>
|| '''슬로건''' ||'''국민과 더불어 새로고침'''||
|-
|| '''고유번호''' ||107-82-12235[* 납세자번호. [[사업자등록번호]]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더불어민주당의 고유번호는 [[민주통합당]]에서 사용하던 것을 계승한 것이다.]||
| row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출생</center>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BigVoicelessJazzyCable, 합의사항1=프로필 표에 '명목상 창당일'을 기재하지 않기)]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1959년 7월 28일 (61세)
|| '''창당일''' ||[[2014년]] [[3월 26일]] ,,([[새정치민주연합]]),,[* 당에서는 1955년에 창당된 [[민주당(1955년)|민주당]]을 뿌리로 보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시절인 2015년에 창당 6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를 조직하고 창당 60주년 기념식을 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인 2020년까지 매해 창당 기념식을 진행하고 있다. 그래서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을 바꿀 때 선거관리위원회에는 재창당으로 신고하였지만, 정당법인 자체는 [[새정치민주연합]]부터 이어져 온다. 법적으로는 새정치민주연합을 새로 창당한 뒤 기존에 있던 [[민주당(2013년)|민주당]]을 흡수[[합당]]했기 때문(이때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가 해산되고 여기에 있던 [[친안철수]]계가 새정치민주연합에 개별 입당한다).]||
|-
|| '''당명 변경''' ||[[2015년]] [[12월 28일]] ,,('''더불어민주당'''),,||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 망성리
||<|2> '''통합한 정당''' ||[[민주당(2014년)|민주당]] ,,(2016년 10월 31일 흡수합당),,||
|-
||[[더불어시민당]] ,,(2020년 5월 18일 흡수합당),,||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거주지</center>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1동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 7)]}}}[[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국회대로68길]] 7[br]([[여의도동]], 더불어민주당 당사) ||
|-
|| '''대표''' ||[[송영길]] ,,/ 5선 (16~18·20·21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학력</center>
|| '''원내대표''' ||[[윤호중]] ,,/ 4선 (17·19~21대),,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서울대학교 법학과 <small>(졸업)</small>
|| '''사무총장''' ||[[윤관석]] ,,/ 3선 (19~21대),,||
|-
|| '''정책위의장''' ||[[박완주]] ,,/ 3선 (19~21대),,||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종교</center>
|| '''대통령''' ||[[문재인]] ,,/ 19대 (2017.5 ~ 현재),,[* 민주당 직책당비의 경우, 당 소속 공직자 중 대통령은 월 200만 원 가량의 당비를 납부한다.]||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불교
|| '''국회의원''' ||<bgcolor=#aaa,#44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56.3%, transparent 57.3%)"
|-
'''{{{#fff 171석[* 지역구 160석, 비례대표 11석] / 300석 (56.9%)}}}'''}}}||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가족</center>
|| '''광역단체장''' ||<bgcolor=#aaa,#44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70.6%, transparent 70.6%)"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배우자, 슬하 1남
'''{{{#fff 11석[* [[경기도지사]], [[인천광역시장]], [[강원도지사]], [[대전광역시장]], [[세종특별자치시장]], [[충청남도지사]], [[충청북도지사]], [[광주광역시장]], [[전라북도지사]], [[전라남도지사]], [[울산광역시장]]] / 17석 (64.7%)}}}'''}}}||
|-
|| '''기초단체장''' ||<bgcolor=#aaa,#44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68.14%, transparent 68.14%)"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소속 정당</center>
'''{{{#fff 154석 / 226석 (68.1%)}}}'''}}}||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열린미래당}}
|| '''광역의원''' ||<bgcolor=#aaa,#44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77.43%, transparent 77.43%)"
|-
'''{{{#fff 638석[* 지역구 591석, 비례대표 47석] / 824석 (77.4%)}}}'''}}}||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지역구</center>
|| '''기초의원''' ||<bgcolor=#aaa,#44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53.47%, transparent 53.47%)"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fff 1,565석[* 지역구 1,336석, 비례대표 229석] / 2,927석 (53.5%)}}}'''}}}||
|-
||<|2>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4EA2;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의원 선수</center>
{{{#fff 파란색 {{{-2 (#004EA2)}}}}}}}}}||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3'''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8CCD;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
{{{#fff 파란색 {{{-2 (#008CCD)}}}}}}}}}||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의원 대수</center>
|| '''정책 연구소''' ||[[민주연구원|[[파일:민주연구원 로고.svg|width=90]]]]||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119, 120, 121
|| '''후원회''' ||[[https://theminjoo.kr/give|[[파일:더치페이.jpg|width=50]]]] ,,(2017년 10월),,||
|-
|| '''재외국민조직''' ||[[http://www.okminjoo.com/|[[파일:민통.jpg|width=50]]]] ,,(2010년 10월 4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소속 위원회</center>
|| '''[[정당/청년조직|{{{#004ea2,#008ccd 청년조직}}}]]''' ||[include(틀:전국청년당)] ,,(2020년 1월 19일),,||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보건복지위원회
|| '''정당원 수''' ||4,065,408명[br],,(2019년 12월 31일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0), [[https://www.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129&bcIdx=15062|2019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0년 12월 27일 확인), p12. ]||
|| '''권리당원 수''' ||694,559명[br],,([[더불어민주당/2021년 전당대회|임시전국대의원대회]] 기준),,||
|| '''정당보조금''' ||17,966,114,000원[br],,(2020년, 천원 단위 반올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https://www.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090&bcIdx=136820|중앙선관위, 4분기 경상보조금 115억여 원 8개 정당에 지급(20.11.13)]], 2020년 11월 18일 확인.]||
||<color=#004ea2,#008ccd> '''당비 수입''' ||26,256,821,174원[br],,(2020년 1월 1일~2020년 12월 31일),,[*a 더불어민주당, [[https://theminjoo.kr/board/view/cnotice/419411|더불어민주당 2020년도 4분기 수입지출총괄표 등 공개]](21.02.05), 2020년 11월 18일 확인.]||
|| '''재산총액''' ||23,849,288,267원[br] ,,(2020년 12월 31일 기준),,[*a]||
|| '''당가''' |||{{{#004ea2,#008ccd '''더더더 송'''}}}[* 당초에는 로고송으로 발표되었으나, 공식적인 당가가 없는 상황에서 사실상의 당가로 사용되고 있다.]]]||
|| '''공식 사이트''' ||[[https://theminjoo.kr/|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svg|width=20]]]]||


[목차]
|-
[clearfix]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현직</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대한국 제121대 국회의원<br>열린미래당 제122대 국회의원 후보 (영등포구 갑)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BCC1A;" | <center>약력</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대한국 제119-121대 국회의원<br>경상남도지사
|-
|}
{{목차}}

2021년 7월 30일 (금) 07:14 판

대한민국의 야당
미래민주당
柳時敏 | Ryu Si-min
유시민.png
출생
1959년 7월 28일 (61세)
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 망성리
거주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1동
학력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종교
불교
가족
배우자, 슬하 1남
소속 정당
열린미래당 로고.png
지역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의원 선수
3
의원 대수
119, 120, 121
소속 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현직
대한국 제121대 국회의원
열린미래당 제122대 국회의원 후보 (영등포구 갑)
약력
대한국 제119-121대 국회의원
경상남도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