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동아프리카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4><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400><bgcolor=#030><tablebordercolor=#030> {{{#fff {{{+1 '''2020년 동아프리카 전쟁''' }}}[br]2021 East Africa War...)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4><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400><bgcolor=#030><tablebordercolor=#030> {{{#fff {{{+1 '''2020년 동아프리카 전쟁''' }}}[br]2021 East Africa War}}} ||
||<-4><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400><bgcolor=#030><tablebordercolor=#030> {{{#fff {{{+1 '''2020년 동아프리카 전쟁''' }}}[br]2021 East Africa War}}} ||
||<bgcolor=#030> '''{{{#fff 원인}}}''' ||<-3>[[에티오피아 내전의 장기화||
||<bgcolor=#030> '''{{{#fff 원인}}}''' ||<-3>에티오피아 내전의 장기화||
||<width=20%><bgcolor=#030> '''{{{#fff 날짜}}}''' ||<-3><width=80%>[[2020년]] [[10월]] ~ ||
||<width=20%><bgcolor=#030> '''{{{#fff 날짜}}}''' ||<-3><width=80%>[[2020년]] [[10월]] ~||
||<bgcolor=#030> '''{{{#fff 장소}}}''' ||<-3>동아프리카 전역 ||
||<bgcolor=#030> '''{{{#fff 장소}}}''' ||<-3>동아프리카 전역 ||
||<bgcolor=#030> '''{{{#fff 영향}}}''' ||<-3>신종바이러스의 확산[br]동아프리카 공산정권의 붕괴||
||<bgcolor=#030> '''{{{#fff 영향}}}''' ||<-3>신종바이러스의 확산[br]동아프리카 공산정권의 붕괴||

2021년 9월 8일 (수) 14:05 판

2020년 동아프리카 전쟁
2021 East Africa War
원인에티오피아 내전의 장기화
날짜2020년 10월 ~
장소동아프리카 전역
영향신종바이러스의 확산
동아프리카 공산정권의 붕괴
참전국
교전국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에리트리아 국기.svg 에리트리아
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미국 국기.svg 미합중국

교전지원국
width=23 수단

파병국
니제르 국기.svg 서아프리카 사회주의 공화국
교전국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E
케냐 국기.svg 케냐
width=23 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 이슬람 토후국

전력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연합군
최대 250,000명

교전지원국
파일:수단 국기.svg 수단군
2,000명

파병국
니제르 국기.svg 서사공군
7,000명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동맹군
최대 210,000명피해 상황
교전국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연합군
전사자 최소 40,000명
부상자 최소 13,000명
항복자 최소 3,000명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동맹군
전사자 최소 29,000명
부상자 최소 11,000명
민간인 피해자

부상 최소 350,000명 난민 최대 2,500,00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