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조선 추존 왕비 }} | | {{ 조선 추존 왕비 }} |
|
|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003893; text-align: left"
| | 조선 추존왕비인 의혜왕후는 49일간 왕비로써 재위하였다. [[대조선국]]에 따르면 |
| |-
| |
| ! colspan="5"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893, #003893 20%, #003893 80%, #003893)"| '''{{{조선 환종의 왕비}}} <br> {{{+2 의혜왕후 | 懿惠王后}}}
| |
| |-
| |
| ! colspan="5"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0X|450px]]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시호'''</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의혜 왕후'''
| |
| |-
| |
| | row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dd0000" | <center>'''출생'''</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2022년 8월 11일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대영제국]] [[에든버러(루이스)|에든버러]]
| |
| |-
| |
| | row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dd0000" | <center>'''사망'''</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2022년 12월 20일 (88세)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대조선국 한성부 경복궁 자경전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dd0000" | <center>'''능묘'''</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종묘(루이스)|종묘]] 영녕전
| |
| |-
| |
| | row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dd0000" | <center>'''재위'''</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003893" | {{글씨 색|#fff|[대조선국(루이스)|{{글씨 색|#fff||[[대영제국]]}}}} 왕세자빈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2022년 09월 09일 ~ 2022년 11월 04일 (57일)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003893" | {{글씨 색|#fff{{글씨 색|#fff||[[대영제국]]}}]]}} 왕비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2022년 11월 04일 ~ 2022년 12월 04일 (31일)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003893" | {{글씨 색|#fff{{글씨 색|#fff||[[대영제국]]}}]]}} 왕대비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2022년 12월 04일 ~ 2022년 12월 10일 (7일)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003893" | {{글씨 색|#fff|[[대조선국(루이스)|{{글씨 색|#fff||[[대조선국]]}}]]}} 왕대비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2022년 12월 10일 ~ 2022년 12월 20일 (11일)
| |
| |-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이름'''</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br> Александар Карађорђевић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가문'''</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식혜)|카라조르제비치 왕조]]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배우자'''</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마리야 카라조르제비치(식혜)|마리야 카라조르제비치]]<ref>본명은 '마리야 호엔촐레른 지그마링겐'. 루마니아의 군주 페르디난드 1세의 차녀였다.</ref>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자녀'''</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페타르 2세(식혜)|페타르 2세]], 토미슬라브, 안드레이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아버지'''</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페타르 1세(식혜)|페타르 1세]]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어머니'''</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조르카 카라조르제비치(식혜)|조르카 카라조르제비치]]<ref>본명은 '류비카 페트로비치-네고시(Љубица Петровић-Његош / Ljubica Petrović-Njegoš)'. 몬테네그로의 군주 니콜라 1세의 장녀였다. 페타르 1세와 결혼하면서 이름을 조르카로, 성을 카라조르제비치로 바꿨다.</ref>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형제'''</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옐레나, 밀레나, 조르제, 안드레이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종교'''</center>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세르비아 정교회
| |
| |-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center; min-width:395px; max-width:395px; border:2.6px solid #003893; text-align:left
| |
| |-
| |
| | colspan="5" style="font-size: 11pt; color: #003893; background: #ffffff;"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
| |
| [[파일:Dbcd788fe1209602450ffda36606dc24.jpg|500px]]
| |
| |-
| |
| | colspan="5"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dd0000, #dd0000); color: #fff" align=middle | '''공식 초상화'''
| |
| |}
| |
| | |
| = 개요 =
| |
| [[유고슬라비아 왕국(식혜)|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국왕<sub>(1921~1929)</sub>이자 [[유고슬라비아 왕국(식혜)|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제2대 국왕. 남슬라브 민족을 통합해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세워 '''통일왕 알렉산다르(Александар Ујединитељ)'''라고도 불린다.
| |
| | |
| = 작위 =
| |
| ||<width=250px> [[파일:Kingdom of Yugoslavia coat of arms.png]] ||<width=250px> [[파일:Royal Monogram of King Alexander I Yugoslavia.png]] ||
| |
| ||<width=250px><tablebordercolor=#003893><#dd0000><:> {{{#ffffff '''국왕 문장'''}}} ||<width=250px><tablebordercolor=#003893><#dd0000><:> {{{#ffffff '''모노그램'''}}} ||
| |
| | |
| * 세르비아의 알렉산드르 2세 카라조르제비치 전하 Његово Светло Височанство кнез Александар II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Србије (1888년 12월 16일 ~ 1903년 6월 15일)
| |
| * 세르비아의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자 전하 Његово Краљевско Височанство Принц Александар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Србије (1903년 6월 15일 ~ 1909년 3월 27일)
| |
| * 세르비아의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세자 전하 Његово Краљевско Височанство Принц Престолонаследник Александар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Србије (1909년 3월 27일 ~ 1918년 12월 1일)
| |
| *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세자 전하 Његово Краљевско Височанство Принц Престолонаследник Александар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СХС (1918년 12월 1일 ~ 1921년 8월 16일)
| |
| *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알렉산다르 1세 카라조르제비치 국왕 폐하 Његово Величанство краљ Александар I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СХС (1921년 8월 16일 ~ 1929년 1월 6일)
| |
| *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알렉산다르 1세 카라조르제비치 국왕 폐하 Његово Величанство витешки краљ Александар I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Југославије (1929년 1월 6일 ~ 1934년 10월 9일)
| |
| | |
| | |
| = 생애 =
| |
| == 출생과 성장과정 ==
| |
| 알렉산다르 1세는 1888년 [[몬테네그로(식혜)|몬테네그로]]의 당시 수도였던 [[체티네(식혜)|체티네]]에서 [[페타르 1세(식혜)|페타르 1세]]와 [[조르카 카라조르제비치(식혜)|조르카]]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페타르 1세는 당시 망명 생활을 하고 있었으며 어머니는 몬테네그로의 공주였다.<ref>당시 몬테네그로의 통치자였던 니콜라 1세의 장녀</ref>
| |
| | |
| 알렉산다르는 어머니 조르카가 산후 부작용으로 사망한 1890년까지 체티네에서 살다가 아버지와 함께 스위스 제네바로 건너 갔으며, 열 살이 되던 1898년 러시아로 건너가 학업을 계속했다. 1903년 페타르 1세가 세르비아의 왕으로 귀국했을 때 알렉산다르도 귀국하여 [[베오그라드(식혜)|베오그라드]]로 돌아와 학교를 다녔다. 당시 알렉산다르의 나이는 15세였다.
| |
| | |
| 알렉산다르는 자신의 형 조르제와는 달리 아버지의 뜻에 따르려고 노력하는 타입이었다. 그의 형 조르제는 공격적인 성격에 자주 폭력을 휘둘렀으며 스캔들도 일으켰다. 이러한 이유로 페타르 1세는 조르제에게 왕위계승권을 포기할 것을 종용했으며, 조르제가 왕위계승권을 포기하자 1909년 4월 알렉산다르를 왕위계승자로 지명했다.
| |
| | |
| == 왕세자와 섭정으로서의 알렉산다르 ==
| |
| 라쉬카 지방과 마케도니아를 놓고 오스만 튀르크와 발칸 연합군이 싸운 제1차 발칸 전쟁, 그리고 뒤이어 불가리아와 세르비아가 마케도니아를 놓고 싸운 제2차 발칸 전쟁에서 왕세자 알렉산다르는 세르비아 제1군의 명목상의 사령관이었다.
| |
| | |
| 발칸 전쟁에서 승리한 세르비아 내부에서는 고령의 페타르 1세의 퇴위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져만 갔다. 알렉산다르 역시 아버지 페타르 1세의 퇴위를 요구하는 사람 중의 한 명이었다. 이에 페타르 1세는 처음에는 퇴위를 거절했지만 결국 1914년 6월 고령과 질환을 이유로 세르비아 국왕의 자리에서 임시 퇴위, 그의 아들 알렉산다르를 섭정으로 지명했다. 이후 알렉산다르가 세르비아 정치에서 실질적 권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 |
| | |
| 191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 전쟁을 선포하면서 시작된 제1차 세계대전에서 알렉산다르는 세르비아군의 총사령관이 되어 전투를 지휘했고 체르산 전투와 콜루바르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 |
| | |
| 알렉산다르는 세르비아군이 오스트리아군에 밀려 그리스의 크르프 섬에 머무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 아피스를 중심으로 한 ‘검은 손’ 조직의 영향력을 제거하기 위해 니콜라 파쉬치와 ‘솔룬 재판(1917년)’을 꾸몄다. 아피스 대령은 세르비아 왕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를 살해하고 정권을 무너뜨린 1903년 5월 반란의 주도자로 당시 대위였다.
| |
| | |
| 말하자면 카라조르제비치 왕가의 복원에 있어서 일등 공신이었다. 하지만 알렉산다르는 아피스 대령과 9명의 장교들이 자신의 암살을 모의했다고 꾸며 체포했다. 그 중 아피스 대령과 두 명의 장교에게는 총살형을, 그리고 나머지 사람들은 투옥한 후 전역시켰다. 비록 1차 대전에서 승리했지만 알렉산다르는 이 조작 사건으로 인해 위신이 추락하는 것을 감내해야 했다.
| |
| | |
| ==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성립과 왕위 등극 ==
| |
|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알렉산다르는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몬테네그로 등이 포함된 남슬라브 민족 통일 국가를 수립할 수 있었다. 크로아티아 의회는 1918년 11월 24일 세르비아와의 통일을 선포하고 통일을 어떠한 형식으로 이룰 것인가를 논의하기 위해 베오그라드에 세 명의 협상단을 파견, 스토얀 프로티치 등의 세르비아 협상단과 그 방법을 논의했다.
| |
| | |
| 그 결과 크로아티아인들이 알렉산다르에게 통일을 청하고 알렉산다르가 그 요청을 수락하는 형태로 결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알렉산다르는 1918년 12월 1일 ‘[[유고슬라비아 왕국(식혜)|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Kraljevina SHS)]]’의 수립을 선포했다(12월 1일 통일). 당시 알렉산다르는 왕을 대신한 섭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통일왕'이라는 수식어를 얻게 되었다. 임시 퇴위하였던 페타르 1세가 1921년 8월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하자 섭정자 알렉산다르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왕으로 등극하였다.
| |
| | |
| == 결혼 ==
| |
|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왕이 된 알렉산다르는 1922년 2월 루마니아에 가서 루마니아의 군주 페르디난드의 차녀 [[마리야 카라조르제비치(식혜)|마리야 호엔촐레른]]과 약혼하고 같은 해 5월 베오그라드 성 아르한겔 미하일로 교회에서 결혼하였다. 마리야는 영국 에드워드 7세의 조카딸이자 빅토리아 여왕의 손녀였다.
| |
| ||<width=250px> [[파일:Hf47 ser45 i2.jpg]] ||<width=250px> [[파일:Queen_mignon01.jpg]] ||
| |
| ||<width=250px><tablebordercolor=#003893><#dd0000><:> {{{#ffffff '''마리야 왕비'''}}} ||<width=250px><tablebordercolor=#003893><#dd0000><:> {{{#ffffff '''말년의 마리야 왕비'''}}} ||
| |
| 알렉산다르는 마리야와의 사이에 세 명의 아들([[페타르 2세(식혜)|페타르]], 토미슬라브, 안드레이)을 두었으나, 그들의 결혼 생활은 서로에게 행복하지 않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