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
(→품사론)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품사론=== | ===품사론=== | ||
사사어의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총 아홉 가지다. | 사사어의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총 아홉 가지다. | ||
===문장 구조=== | |||
주어 + 서술어(S + V) | |||
주어에는 주격조사 ɘ/ʁ̞æ가 사용되며, 서술어에는 완전자동사 또는 완전형용사가 사용된다. | |||
예시: 새가 난다, 하늘이 파랗다 |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S + O + V) | |||
목적어에는 목적격조사 əɮ̪/ɮ̪əɮ̪이 사용되며, 서술어에는 완전타동사가 사용된다. | |||
예시: 토끼가 당근을 먹는다, 선생님이 교과서를 읽는다. | |||
주어 + 보어 + 되다/아니다(S + O + V) | |||
보어에서는 보격조사인 ɘ/ʁ̞æ가 사용되며, 보어의 서술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되다(불완전자동사), 아니다(불완전형용사)뿐이다. | |||
예시: 영희는 선생님이 되었다, 철수는 학생이 아니다. | |||
주어 + 필수 부사어 + 서술어(S + O.C + V) | |||
필수 부사어에는 에, 와/과, (으)로, 보다 등 부사격조사가 사용되며, 서술어에는 싸우다, 만들다 등의 불완전자동사 또는 다르다, 낫다 등의 불완전형용사가 사용된다. | |||
예시: 철수는 동생과 싸웠다, 영희는 학교에 간다, 이 책상은 나무로 만들어졌다, 나는 너와 다르다, 내가 너보다 낫다. | |||
주어 + 여격 부사어(간접목적어) + 목적어 + 서술어(S + I.O + D.O + V) | |||
여격 부사어에는 에게, 에게서, 한테, 한테서, 께 등의 여격조사(부사격조사)가 사용되며, 서술어에는 주다, 받다 등의 불완전타동사가 사용된다. | |||
예시: 철수는 선생님께 숙제를 제출했다. |
2023년 1월 25일 (수) 17:39 판
사용 국가 | 없음 |
---|---|
사용 지역 | 없음 |
언어 인구 | 0명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형용사-명사 후치사 사용 |
언어 계통 | 한국어족 사사어 사사어 |
공용어 및 표준 | |
표준 | 없음 |
언어 부호 | |
ISO 639-1 | sa |
ISO 639-2 | sa |
ISO 639-3 | ssa |
발음
자음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비음 | m | n̪ | n | |||||||||||||
파열음 | p | b | t̪ | d̪ | t | d | ɢ | |||||||||
탄음 | ɾ̪ | ɾ | ||||||||||||||
치찰음 | s̟ | s̺ s̻ | ||||||||||||||
비 치찰 마찰음 | θ | θ̱ | χ | ʕ | ||||||||||||
접근음 | ʋ̟ | j | ʁ̞ | |||||||||||||
설측 마찰음 | ɮ̪ | ɮ | ||||||||||||||
양순 경구개음 | 양순 연구개음 | |||||||||||||||
무 | 유 | 무 | 유 | |||||||||||||
접근음 | ɥ | w |
빨간색으로 표시된건 변이음이다.
모음
문법
품사론
사사어의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총 아홉 가지다.
문장 구조
주어 + 서술어(S + V) 주어에는 주격조사 ɘ/ʁ̞æ가 사용되며, 서술어에는 완전자동사 또는 완전형용사가 사용된다. 예시: 새가 난다, 하늘이 파랗다 주어 + 목적어 + 서술어(S + O + V) 목적어에는 목적격조사 əɮ̪/ɮ̪əɮ̪이 사용되며, 서술어에는 완전타동사가 사용된다. 예시: 토끼가 당근을 먹는다, 선생님이 교과서를 읽는다. 주어 + 보어 + 되다/아니다(S + O + V) 보어에서는 보격조사인 ɘ/ʁ̞æ가 사용되며, 보어의 서술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되다(불완전자동사), 아니다(불완전형용사)뿐이다. 예시: 영희는 선생님이 되었다, 철수는 학생이 아니다. 주어 + 필수 부사어 + 서술어(S + O.C + V) 필수 부사어에는 에, 와/과, (으)로, 보다 등 부사격조사가 사용되며, 서술어에는 싸우다, 만들다 등의 불완전자동사 또는 다르다, 낫다 등의 불완전형용사가 사용된다. 예시: 철수는 동생과 싸웠다, 영희는 학교에 간다, 이 책상은 나무로 만들어졌다, 나는 너와 다르다, 내가 너보다 낫다. 주어 + 여격 부사어(간접목적어) + 목적어 + 서술어(S + I.O + D.O + V) 여격 부사어에는 에게, 에게서, 한테, 한테서, 께 등의 여격조사(부사격조사)가 사용되며, 서술어에는 주다, 받다 등의 불완전타동사가 사용된다. 예시: 철수는 선생님께 숙제를 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