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제국 황제(해리 유니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bf2f7b> [[파일:대제국의 국장.jpeg|35px]]<br>'''{{{+1 {{{#ece5b6 대제국 황제}}}}}}'''<br>'''{{{#ece5b6 大齊國 皇帝}}}'''||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bf2f7b> [[파일:대제국 국장.png|35px]]<br>'''{{{+1 {{{#ece5b6 대제국 황제}}}}}}'''<br>'''{{{#ece5b6 大齊國 皇帝}}}'''||
||||<:><bgcolor=#white>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해리관 강지영.jpeg| width=100%]]</div><div style="margin: -5px -9px"></center> ||
||||<:><bgcolor=#white>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해리관 강지영.jpeg| width=100%]]</div><div style="margin: -5px -9px"></center> ||
||<width=30%><bgcolor=#bf2f7b> {{{#ece5b6 '''현직'''}}} || 강지영/제78대 ||
||<width=30%><bgcolor=#bf2f7b> {{{#ece5b6 '''현직'''}}} || 강지영/제78대 ||

2023년 3월 8일 (수) 16:22 판

대제국 국장.png
대제국 황제
大齊國 皇帝
width=100%
현직강지영/제78대
즉위일2010년 9월 2일
경칭황제 폐하(皇帝 陛下)
관저상경도성
연호천화

개요

황제는 대제국의 상징이고 대제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이 지위는 주권이 있는 대제 국민의 총의에 기초한다. by대제국 헌법 제1장 황제 제1조

황제는 제나라의 군주로 대제국 헌법상 상징적 국가원수이다. 현재 제나라의 황제는 제78대 황제로 즉위한 강지영이며 연호는 천화이다

역사

상 왕조를 무너뜨린 주 왕조는 왕을 칭하였다. 왕의 칭호는 오직 주나라의 군주만 칭할 수 있다. 설령 희씨 제후국이라 할지라도 왕을 칭하지못한다. 제후국 군주들에게는 오등작만 사용 가능했는데 제나라 경우에는 후작으로 책봉했다. 전국시대에 들어와서 주나라 왕실의 권위가 떨어져 전국시대 국가들은 왕을 칭했다. 제나라는 위왕 때 왕을 칭했고 중국을 통일한 제나라의 국왕 전건이 황제를 칭하니 지금까지 제나라의 군주 칭호로 사용하고있다.

그 외 국가

반제 감정이 있는 국가들은 일부러 깎아내리기 위해 齊侯,齊王으로 불린다 하지만 친제감정을 가지고있거나 친제도 아니고 반제도 아닌 국가들은 똑바로 부른다

국정에 대한 권한

대제국 헌법 제3조
황제의 국사에 관한 모든 행위는 내각의 조언과 승인을 요하며 내각이 그 책임을 진다.
제4조
① 황제는 이 헌법이 정한 국사에 관한 행위만을 행하며 국정에 관한 권능은 갖지 않는다.
② 황제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국사에 관한 행위를 위임할 수 있다.
제5조
황실전범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섭정을 두는 때에는 섭정은 황제의 이름으로 그 국사에 관한 행위를 한다. 이 경우에는 전조 제1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8조
황실에 재산을 양도하거나 또는 황실이 재산을 양수 또는 사여(賜與/賜与)하는 것은 국회의 의결에 기초하여야 한다.

명목상으로도 국정에 대한 권한이 없다. 제나라의 황제는 다른 입헌군주제 국가들의 군주에 비해서도 독보적일 정도로 실권이 없으며, “오로지 내각의 조언과 승인하에” 국사행위를 행할 수 있다. 황제는 상징이니까 국가 행사에는 무조건 참가해서 상징답게 참석해야 하고 권력은 없으니 내각이 정하는 것에 군소리 말고 도장만 찍으면 된다는 것이다

역대 군주

대제국 국장.png
단웅공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강경희 강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