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제(해리 유니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 색상 = #bf2f7b
| 색상 = #bf2f7b
| 글씨색 = #ece5b6
| 글씨색 = #ece5b6
| 최고직위 = 대제국 제38대 황제
| 최고직위 = 연주 강씨 가문의 초대 백작
| 이름 = <big>강이식</big>
| 이름 = <big>강이식</big>
| 기타이름 = 姜以式ㅣKang Is Ig
| 기타이름 = 姜以式ㅣKang Is Ig
14번째 줄: 14번째 줄:
| 대표사진 크기 = 500px
| 대표사진 크기 = 500px
| 출생일 = 550년 추정
| 출생일 = 550년 추정
| 출생지 = 대제국 평양특별시 안학궁
| 출생지 = 조선제국
| 직위1 = 제38대 황제
| 직위1 = 초대 백작
| 재임기간1 = 573년 ~ ?
| 재임기간1 = 598년 ~ ?
| 직위2 =
| 직위2 =
| 재임기간2 =
| 재임기간2 =
28번째 줄: 28번째 줄:
| 링크 주소 =  
| 링크 주소 =  
| 링크 설명 =
| 링크 설명 =
| 본관 =  
| 본관 = 연주 강씨
| 본적 =  
| 본적 =  
| 원적 =
| 원적 =
| 부모 = 부황 애조 모후 촉황후 고씨
| 부모 = 아버지 강철상 모후 조선제국 공주
| 형제자매 = 남동생 강평식
| 형제자매 = 남동생 강평식
| 배우자 = 충무황후 부씨
| 배우자 = 백작부인 부씨
| 자녀 = 아들 제 무종
| 자녀 = 아들 강운기
| 학력 =  
| 학력 =  
| 병역 =  
| 병역 = 조선제국 병마대원수
| 소속 정당 =  
| 소속 정당 =  
| 약력 =
| 약력 =
59번째 줄: 59번째 줄:
}}
}}


 
==개요==
제나라 왕조 제38대 황제 묘호는 명종(明宗), 시호는 충무(忠武)이며 외가 쪽으로는 제나라의 전왕조인 고조선의 횡성 고씨 황실이다.
연주 강씨 가문의 초대 백작.
 
==생애==
제 명종은 제 애조와 충무황후의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어렸을 때부터 무예에 관심이 많았다. 573년 24살에 황위에 올라 염제 신농국과의 화합을 다지고 돌궐, 거란, 말갈에 사신을 보낸 적도 있었다. 을지문덕 장군을 서부 총관으로 각각 승진시켰다 그의 능묘는 심양현 봉길선 원수림역 앞에 있다.
강철상의 아들로 태어나 15세 때는 90척짜리 철퇴를 마상에서 구사하고 진법을 이루었으며 24세 되던 해(573년)에 동명대회에서 장원했다고 한다. 이후 부친의 뜻을 이어받아 서부 총관부에서 벼슬하며 돌궐, 계단(거란), 말갈 등에 여러 차례 사신으로 갔다. 동명대회에서 장원한 후 아직 보직을 받지 않은 을지문덕이 592년 8월 하순 요동성 서부 총관부의 총관 강이식을 찾아와 총관부에서 같이 일하게 되었고 수 문제가 고구려에게 무례한 국서를 보내자 이때 강이식 장군은 "이러한 오만무례한 국서는 붓으로 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대답해야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수나라의 침략을 물리친 공으로 병마도원수, 을지문덕은 서부 총관으로 각각 승진했다고 한다.
===임유관 전투===
598년 조선제국과 수나라의 사이에서 임유관(산해관)을 중심으로 수륙에서 30만 수나라군을 물리치고 승리한 임유관 대첩(臨渝關大捷)의 주인공이다 그 공으로 백작에 책봉되어 연주 강씨 백작가를 창업했다 조선 태조와 좀 비슷한 부분. 태조와
강이식은 둘 다 공적에 의해 높으신 분 자리에 올랐으니까

2023년 3월 13일 (월) 11:32 판

대제국 국장.png
단웅공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강경희 강지영
연주 강씨 가문의 초대 백작
강이식
姜以式ㅣKang Is Ig
031063A7-D210-4758-BEE6-B945DE3EB4D8.jpeg
출생
550년 추정
조선제국
재임기간
초대 백작
598년 ~ ?
[ 펼치기 · 접기 ]
본관
연주 강씨
부모
아버지 강철상 모후 조선제국 공주
형제자매
남동생 강평식
배우자
백작부인 부씨
자녀
아들 강운기
병역
조선제국 병마대원수

개요

연주 강씨 가문의 초대 백작.

생애

강철상의 아들로 태어나 15세 때는 90척짜리 철퇴를 마상에서 구사하고 진법을 이루었으며 24세 되던 해(573년)에 동명대회에서 장원했다고 한다. 이후 부친의 뜻을 이어받아 서부 총관부에서 벼슬하며 돌궐, 계단(거란), 말갈 등에 여러 차례 사신으로 갔다. 동명대회에서 장원한 후 아직 보직을 받지 않은 을지문덕이 592년 8월 하순 요동성 서부 총관부의 총관 강이식을 찾아와 총관부에서 같이 일하게 되었고 수 문제가 고구려에게 무례한 국서를 보내자 이때 강이식 장군은 "이러한 오만무례한 국서는 붓으로 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대답해야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수나라의 침략을 물리친 공으로 병마도원수, 을지문덕은 서부 총관으로 각각 승진했다고 한다.

임유관 전투

598년 조선제국과 수나라의 사이에서 임유관(산해관)을 중심으로 수륙에서 30만 수나라군을 물리치고 승리한 임유관 대첩(臨渝關大捷)의 주인공이다 그 공으로 백작에 책봉되어 연주 강씨 백작가를 창업했다 조선 태조와 좀 비슷한 부분. 태조와 강이식은 둘 다 공적에 의해 높으신 분 자리에 올랐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