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사) |
(→고객사) |
||
53번째 줄: | 53번째 줄: | ||
==고객사== | ==고객사== | ||
|| [[파일:PF SHIPPING.png|150px]] || || || | || [[파일:PF SHIPPING.png|150px]] || [[파일:MAERSK LOGO.jpg|150px]] || [[파일:HMM LOGO.jpg|150px]] || | ||
|| [[PF SHIPPING|PF해운]] || - || - || | || [[PF SHIPPING|PF해운]] || [[MAERSK LINE]] || [[HMM]] || | ||
|| || || || | |||
|| - || - || - || |
2023년 5월 29일 (월) 02:15 판
PFBT PF부산신항컨테이너터미널 | |
![]() | |
영문명칭 | PF BUSAN NEWPORT CONTAINER TERMINAL |
한글명칭 | 피에프 부산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
모회사 | PF SHIPPING |
대표자 | 김민종 |
업종 | 항만 해상터미널 운영업 |
운영시간 | 24시간 |
개요
PF SHIPPING의 자회사인 PFBT에서 운영하는 부산신항 터미널.
부산신항 북측 1부두와 2부두에 자리잡고 있으며 가장 짧은 이동동선으로 선박의 입출항이 가능하여 많은 해운사가 이용중인 부두이다. 컨테이너 전용부두로써 연간 800만 TEU 이상을 처리할수 있다. 초대형선박인 25,000TEU[1]급의 선박을 처리할 수 있는 하역서비스를 제공한다.
선석
![]() | |
선석 수 | 8개[2] |
안벽길이 | 약 3.1km |
수심 | 18m 이상 |
C/C | 텐텀 스프레더 24기, 트리플 스프레더 8기 |
선석 서비스
야드
야드 | |
분류 | 수평 야드 |
일시 장치 능력 | 172,000TEU |
일반 장치장 | 143,000TEU |
냉동 플러그 | 4,250UNIT |
공 컨테이너 장치장 | 20,350TEU |
위험물 장치장 | 2,800TEU |
장척화물 장치장 | 150VAN |
Y/C | 5단 9열 ARMGC 112기 |
야드 서비스
야드 장비
야드 이동 장비 | |
야드 트랙터 | 207대 |
야드 샤시 | 359대 |
탑핸들러 | 10대 |
리치 스태커 | 10대 |
게이트
게이트 | |
제1게이트 (1부두) | |
반입 | 6LANES |
반출 | 4LANES |
제2게이트 (2부두) | |
반입 | 5LANES |
반출 | 4LANES |
게이트 서비스
고객사
![]() | ![]() | ![]() |
PF해운 | MAERSK LINE | HMM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