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묘호):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1 仁宗}}} 동아시아의 역대 왕조들에서 사용된 군주에게 올리는 묘호 중 하나. 한자 문화권에서 묘호...)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한자 문화권]]에서 [[왕]]의 [[묘호]]나 [[시호]]로 붙이는 단어 중 하나로, 묘호 치고는 비교적 뒤늦게 등장한 편이다. 어질 인(仁)을 쓴 만큼 [[유교]] 문화권 군주로서는 최고의 시호이자 묘호라 할 수 있겠으나, 어째 [[인종(송)|송인종]]을 제외하곤 하나같이 [[단명]]하거나 수난을 겪었다. 단적으로 고려 인종은 통치 기간 내내 여러 전란에 시달렸고, 조선 인종은 재위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사망했다.
[[한자 문화권]]에서 [[왕]]의 [[묘호]]나 [[시호]]로 붙이는 단어 중 하나로, 묘호 치고는 비교적 뒤늦게 등장한 편이다. 어질 인(仁)을 쓴 만큼 [[유교]] 문화권 군주로서는 최고의 시호이자 묘호라 할 수 있겠으나, 어째 [[인종(송)|송인종]]을 제외하곤 하나같이 [[단명]]하거나 수난을 겪었다. 단적으로 고려 인종은 통치 기간 내내 여러 전란에 시달렸고, 조선 인종은 재위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사망했다.
== 군주 목록 ==


[[분류:묘호]]
[[분류:묘호]]

2023년 7월 4일 (화) 19:11 기준 최신판

개요

仁宗

동아시아의 역대 왕조들에서 사용된 군주에게 올리는 묘호 중 하나.

한자 문화권에서 묘호시호로 붙이는 단어 중 하나로, 묘호 치고는 비교적 뒤늦게 등장한 편이다. 어질 인(仁)을 쓴 만큼 유교 문화권 군주로서는 최고의 시호이자 묘호라 할 수 있겠으나, 어째 송인종을 제외하곤 하나같이 단명하거나 수난을 겪었다. 단적으로 고려 인종은 통치 기간 내내 여러 전란에 시달렸고, 조선 인종은 재위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사망했다.

군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