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0limbaa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1010limbaa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3><#972000> {{{#ffffff 재위기간}}} || 2023년 3월 10일 ~ 2023년 7월 1일 (114일) || | ||<-3><#972000> {{{#ffffff 재위기간}}} || 2023년 3월 10일 ~ 2023년 7월 1일 (114일) || | ||
||<-3><#972000> {{{#ffffff 본관}}} || 전주 이씨 || | ||<-3><#972000> {{{#ffffff 본관}}} || 전주 이씨 || | ||
||<-3><#972000> {{{#ffffff 휘}}} || 제( | ||<-3><#972000> {{{#ffffff 휘}}} || 제(䄢) || | ||
||<-3><#972000> {{{#ffffff 부모}}} || 부왕 [[대조선국 인종|인종]], 모후 [[휘빈이씨]] || | ||<-3><#972000> {{{#ffffff 부모}}} || 부왕 [[대조선국 인종|인종]], 모후 [[휘빈이씨]] || |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없음 ||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없음 || | ||
||<-3><#972000> {{{#ffffff 배우자}}} || [[원경왕후]] || | ||<-3><#972000> {{{#ffffff 배우자}}} || [[원경왕후]] || | ||
||<-3><#972000> {{{#ffffff 자녀}}} || 장남 | ||<-3><#972000> {{{#ffffff 자녀}}} || 장남 이연 || |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 ||
||<-3><#972000> {{{#ffffff 신장}}} || 183cm || | ||<-3><#972000> {{{#ffffff 신장}}} || 183cm ||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인용문| '''시대는 안 좋았지만 국가의 모든 부분을 성장시킬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셨으며 성과 또한 많았다. 그래서 그 공로를 보아 묘호는 성종이 가장 좋다.''' | '''2023년 7월 2일, 성종의 묘호가 확정될 때''' }} | {{인용문| '''시대는 안 좋았지만 국가의 모든 부분을 성장시킬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셨으며 성과 또한 많았다. 그래서 그 공로를 보아 묘호는 성종이 가장 좋다.''' | '''2023년 7월 2일, 성종의 묘호가 확정될 때''' }} | ||
'''조선의 제3대 국왕.''' 묘호는 '''성종(成宗)''', 시호는 '''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이고 휘는 '''제( | '''조선의 제3대 국왕.''' 묘호는 '''성종(成宗)''', 시호는 '''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이고 휘는 '''제(䄢)'''이다. | ||
[[대조선국 인종|인종]]과 [[휘빈이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45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며 부왕처럼 백성의 총애와 사랑을 받았으며, 부왕과 성격이 매우 닮고 재위기간동안 이룬 공도 커 백성들이 성종을 향해 역사상 가장 휼륭한 성군이라 칭하였다. 또한 2022년 마지막 태생 왕족이다.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하고 장수한 끝에 향년 109세로 훙서하였다. 성종은 '''조선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하고 장수한 군주'''이며 역사상 최고의 성군으로 뽑힌다. | [[대조선국 인종|인종]]과 [[휘빈이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45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며 부왕처럼 백성의 총애와 사랑을 받았으며, 부왕과 성격이 매우 닮고 재위기간동안 이룬 공도 커 백성들이 성종을 향해 역사상 가장 휼륭한 성군이라 칭하였다. 또한 2022년 마지막 태생 왕족이다.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하고 장수한 끝에 향년 109세로 훙서하였다. 성종은 '''조선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하고 장수한 군주'''이며 역사상 최고의 성군으로 뽑힌다.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인용문| '''아! 불초(不肖)한 후손(後孫)이 감히 조상(祖上)과 선왕(先王)을 모심에 누를 끼치었으니 이 어찌 큰 불효(不孝)가 아니겠는가, 선왕(先王)과 선조(先祖)들께서는 이 후손(後孫)의 죄를 보시어 꾸짖어주소서, 那羅의 기틀과 廟社를 망치었으니 이 불초(不肖)한 후손(後孫)이 삼가 죄를 청하나이다, 본디 선왕(先王)께서 나라(那羅)를 여시어 구시대(舊時代)의 악을 滅하시고 나라(那羅)를 평안(平安)케 하신바. 후인(後人) 된 자로서 그 유지(維持)를 거슬렸으니 죄가 크옵니다. 선조(先祖)들께 죄를 고하나니 일신우일신하게 하시어 죄를 고치게 하시고 의무(義務)를 다하게 하여 주소서.''' | '''조선왕조실록 인종실록 1권''' }} | {{인용문| '''아! 불초(不肖)한 후손(後孫)이 감히 조상(祖上)과 선왕(先王)을 모심에 누를 끼치었으니 이 어찌 큰 불효(不孝)가 아니겠는가, 선왕(先王)과 선조(先祖)들께서는 이 후손(後孫)의 죄를 보시어 꾸짖어주소서, 那羅의 기틀과 廟社를 망치었으니 이 불초(不肖)한 후손(後孫)이 삼가 죄를 청하나이다, 본디 선왕(先王)께서 나라(那羅)를 여시어 구시대(舊時代)의 악을 滅하시고 나라(那羅)를 평안(平安)케 하신바. 후인(後人) 된 자로서 그 유지(維持)를 거슬렸으니 죄가 크옵니다. 선조(先祖)들께 죄를 고하나니 일신우일신하게 하시어 죄를 고치게 하시고 의무(義務)를 다하게 하여 주소서.''' | '''조선왕조실록 인종실록 1권''' }} | ||
세자는 마음이 가볍지 않았는지 석고대죄가 끝난 직후 종묘를 찾아 저렇게 말하였다고 한다. 2월 20일에는 아들 | 세자는 마음이 가볍지 않았는지 석고대죄가 끝난 직후 종묘를 찾아 저렇게 말하였다고 한다. 2월 20일에는 아들 이연을 얻었으며 2월 23일에는 새어머니 [[정안왕후]]가 정신 질환을 겪다가 결국 훙서하고, 세번째 어머니 [[현덕왕후]]를 맞이하였다. 효심을 다해 [[현덕왕후]]에게도 잘해줬다는 일화가 있다. | ||
3월 10일, 세자빈이던 [[원경왕후]]와 결혼 50일 기념일인 금혼식을 맞이하였는데 맞이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당일 오후 10시에 부친 [[대조선국 인종|인종]]이 향년 72세로 갑작스럽게 훙서한다. | 3월 10일, 세자빈이던 [[원경왕후]]와 결혼 50일 기념일인 금혼식을 맞이하였는데 맞이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당일 오후 10시에 부친 [[대조선국 인종|인종]]이 향년 72세로 갑작스럽게 훙서한다. | ||
62번째 줄: | 62번째 줄: | ||
세손과 세자 시절에 삐둘어지긴 했으나 왕위에 오른 이후 그 누구보다 '''성군, 제왕'''이라 칭할 정도로 열심히 국정을 운영하였다. 성종이 왕위에 오를 시기에는 개학 시즌으로 인하여 '''조선이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였다. 하지만 적극적으로 나서 정책을 수립하고 조선의 존립을 위해 온 힘을 다하여 4~6월 초에 조선이 다시 일어서기도 하였다. 결정적으로 조선이 존립을 유지할 수 없었으나 발전을 하지 못한 이유가 부친 [[대조선국 인종|인종]]때 문화사업이 모두 날아가였기 때문이다. | 세손과 세자 시절에 삐둘어지긴 했으나 왕위에 오른 이후 그 누구보다 '''성군, 제왕'''이라 칭할 정도로 열심히 국정을 운영하였다. 성종이 왕위에 오를 시기에는 개학 시즌으로 인하여 '''조선이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였다. 하지만 적극적으로 나서 정책을 수립하고 조선의 존립을 위해 온 힘을 다하여 4~6월 초에 조선이 다시 일어서기도 하였다. 결정적으로 조선이 존립을 유지할 수 없었으나 발전을 하지 못한 이유가 부친 [[대조선국 인종|인종]]때 문화사업이 모두 날아가였기 때문이다. | ||
4월 11일에 왕대비던 [[현덕왕후]]를, 4월 19일에 부인 [[원경왕후]]를, 4월 20일에 대왕대비 [[신덕왕후]]를 연이어 보냈으며 왕실의 최고 어른이 되었다. 6월 17일에는 재위 100일 기념일인 백금경축을 맞이하였으며 '''조선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하고 장수한 군주'''가 되었다. 그 결과 장남 1명, 손녀 1명, 증손주 2명, 며느리, 손주며느리, 증손주며느리까지 보았다. 너무 긴 재위기간으로 인해 왕세자 | 4월 11일에 왕대비던 [[현덕왕후]]를, 4월 19일에 부인 [[원경왕후]]를, 4월 20일에 대왕대비 [[신덕왕후]]를 연이어 보냈으며 왕실의 최고 어른이 되었다. 6월 17일에는 재위 100일 기념일인 백금경축을 맞이하였으며 '''조선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하고 장수한 군주'''가 되었다. 그 결과 장남 1명, 손녀 1명, 증손주 2명, 며느리, 손주며느리, 증손주며느리까지 보았다. 너무 긴 재위기간으로 인해 왕세자 이연의 불만이 '''매우 컸다고 한다.''' 6월 말 부터 지팡이의 도움없이 걷지 못했으며 건강이 안 좋아졌다. | ||
결국 7월 1일, 폐비 김씨를 [[신의왕후]]로, 폐빈 이씨를 [[휘빈이씨]]로 복권시키고 향년 109세로 훙서하였다. | 결국 7월 1일, 폐비 김씨를 [[신의왕후]]로, 폐빈 이씨를 [[휘빈이씨]]로 복권시키고 향년 109세로 훙서하였다. | ||
69번째 줄: | 69번째 줄: | ||
---- | ---- | ||
||<tablebordercolor=#972000; width=600px; table align=center><#972000><:> {{{#ffffff '''자녀'''}}} ||<#972000><:> {{{#ffffff '''이름'''}}} ||<#972000><:> {{{#ffffff '''출생'''}}} ||<#972000><:> {{{#ffffff '''배우자/자녀'''}}} || | ||<tablebordercolor=#972000; width=600px; table align=center><#972000><:> {{{#ffffff '''자녀'''}}} ||<#972000><:> {{{#ffffff '''이름'''}}} ||<#972000><:> {{{#ffffff '''출생'''}}} ||<#972000><:> {{{#ffffff '''배우자/자녀'''}}} || | ||
||<#E6FFFF> 1남 ||<#E6FFFF> 주상 | ||<#E6FFFF> 1남 ||<#E6FFFF> 주상 이연 ||<#E6FFFF> 2023년 2월 10일 ||<#E6FFFF> 왕후 송씨 <br> [[정순 공주]], 세자 이행, 경원대군 || | ||
==[[파일:현재2.png|width=30]] '''평가'''== | ==[[파일:현재2.png|width=30]] '''평가'''== |
2023년 8월 4일 (금) 03:01 판
![]() 조선 국왕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