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혜왕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을 "{{분류:대조선국 추존왕비}} {{분류:대조선국 왕대비}} {{분류:대조선국 국왕}} {{분류: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분류:대영제..."(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잔글 (Deutsches6(토론)의 편집을 1010limbaas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되돌리기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대조선국 추존왕비}}
 
{{분류:대조선국 추존왕비}}
 
{{분류:대조선국 왕대비}}
 
{{분류:대조선국 왕대비}}
{{분류:대조선국 국왕}}
+
||<width=100><#972000><-999> {{{+2 {{{#ffffff '''조선 환종의 왕비''' }}}}}} ||
{{분류: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
||<width=100><#972000><-999> {{{+1 {{{#ffffff '''의혜왕후 | 懿惠王后''' }}}}}} ||
[[분류:대영제국]] [[분류:대영제국 내각]]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의혜어.png]] ||
'''대조선국과 대영제국은 텍사스에 의해 멸망하였습니다'''
+
||<-3><#972000> {{{#ffffff 출생}}} || 2022년 8월 11일 [br] {{{-1 대조선국 청주 사저}}} ||
 +
||<-3><#972000> {{{#ffffff 사망}}} || 2022년 12월 20일 (향년 88세)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자경전}}} ||
 +
||<-3><#972000> {{{#ffffff 능}}} || '''화릉(和陵)''' ||
 +
||<-3><#972000> {{{#ffffff 재위기간}}} || 2022년 11월 4일 ~ 2022년 12월 4일 (31일) ||
 +
||<-3><#972000> {{{#ffffff 본관}}} || 청주 한씨 ||
 +
||<-3><#972000> {{{#ffffff 부모}}} || 없음 ||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없음 ||
 +
||<-3><#972000> {{{#ffffff 배우자}}} || [[환종]] ||
 +
||<-3><#972000> {{{#ffffff 자녀}}} || 장남 [[이벽]], 차남 [[대조선국 태조|태조]] ||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
||<-3><#972000> {{{#ffffff 시호}}} || '''의혜왕후(懿惠王后)''' ||
 +
 
 +
==[[파일:현재2.png|width=30]] '''개요'''==
 +
 
 +
[[환종]]의 왕비이자 [[대조선국 태조|태조]]의 어머니이며 '''조선 추존 왕비이자 조선 초대 왕대비'''이다. 본관은 청주 한씨.
 +
 
 +
==[[파일:현재2.png|width=30]] '''생애'''==
 +
 
 +
2022년 8월 11일, 청주에서 태어난 의혜왕후는 그림을 그리며 어느정도 생계를 유지하며 살았다. 그러다 9월 9일 왕세자던 [[환종]]과 혼례를 하며 왕세자빈이 된다. 이후 장남 [[이벽]]과 차남 [[대조선국 태조|태조]]을 얻었으나 장남 [[이벽]]이 요절하며 의혜왕후는 슬퍼했다고 한다. 남편 [[환종]]이 왕위에 오르고 왕비가 되지만, 부귀를 제대로 누려보지도 못하고 남편의 양위로 왕비의 자리에서 내려왔다. 이후 남편 [[환종]]이 폐위되고 사망할때 의혜왕후는 [[대조선국 태조|태조]]의 추대로 폐위되지 않고 '''조선의 초대 왕대비'''가 된다.
 +
 
 +
의혜왕후는 대비던 시절 [[신의왕후]]와 [[신덕왕후]], 그리고 [[휘빈이씨]]를 왕실에 들였으며 왕대비로 재위한지 17일이 되던 2022년 12월 20일, 향년 88세로 경복궁 자경전에서 훙서한다. 왕실의 최고 어른인 의혜왕후가 갑작스럽게 훙서하고 내명부는 위계질서가 무너지며 훗날 [[신덕왕후]]와 [[휘빈이씨]]의 싸움으로 이어진다.
 +
 
 +
==[[파일:현재2.png|width=30]] '''가족 관계'''==
 +
----
 +
||<tablebordercolor=#972000; width=600px; table align=center><#972000><:> {{{#ffffff '''자녀'''}}} ||<#972000><:> {{{#ffffff '''이름'''}}} ||<#972000><:> {{{#ffffff '''출생'''}}} ||<#972000><:> {{{#ffffff '''배우자/자녀'''}}} ||
 +
||<#E6FFFF> 1남 ||<#E6FFFF> [[대조선국 태조|태조]] <br> {{{-2 (貞順公主)}}} ||<#E6FFFF> 2022년 9월 30일 ||<#E6FFFF> [[현빈심씨]], [[신의왕후]], [[신덕왕후]] <br> [[대조선국 인종|인종]] ||

2023년 8월 5일 (토) 20:01 기준 최신판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추존 왕비
[ 펼치기 · 접기 ]
환조비
의혜왕후
태조비
효공왕후
효종비
인현왕후
헌종비
경인왕후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대비
[ 펼치기 · 접기 ]
조선 환종의 왕비
의혜왕후 | 懿惠王后
의혜어.png
출생2022년 8월 11일
대조선국 청주 사저
사망2022년 12월 20일 (향년 88세)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자경전
화릉(和陵)
재위기간2022년 11월 4일 ~ 2022년 12월 4일 (31일)
본관청주 한씨
부모없음
형제자매없음
배우자환종
자녀장남 이벽, 차남 태조
종교유교
시호의혜왕후(懿惠王后)

현재2.png 개요

환종의 왕비이자 태조의 어머니이며 조선 추존 왕비이자 조선 초대 왕대비이다. 본관은 청주 한씨.

현재2.png 생애

2022년 8월 11일, 청주에서 태어난 의혜왕후는 그림을 그리며 어느정도 생계를 유지하며 살았다. 그러다 9월 9일 왕세자던 환종과 혼례를 하며 왕세자빈이 된다. 이후 장남 이벽과 차남 태조을 얻었으나 장남 이벽이 요절하며 의혜왕후는 슬퍼했다고 한다. 남편 환종이 왕위에 오르고 왕비가 되지만, 부귀를 제대로 누려보지도 못하고 남편의 양위로 왕비의 자리에서 내려왔다. 이후 남편 환종이 폐위되고 사망할때 의혜왕후는 태조의 추대로 폐위되지 않고 조선의 초대 왕대비가 된다.

의혜왕후는 대비던 시절 신의왕후신덕왕후, 그리고 휘빈이씨를 왕실에 들였으며 왕대비로 재위한지 17일이 되던 2022년 12월 20일, 향년 88세로 경복궁 자경전에서 훙서한다. 왕실의 최고 어른인 의혜왕후가 갑작스럽게 훙서하고 내명부는 위계질서가 무너지며 훗날 신덕왕후휘빈이씨의 싸움으로 이어진다.

현재2.png 가족 관계


자녀이름출생배우자/자녀
1남태조
(貞順公主)
2022년 9월 30일현빈심씨, 신의왕후, 신덕왕후
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