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이 1세: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남라만세(토론)의 편집을 Eden4919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총리 정보
||<width=100><#000000><-999> {{{+2 {{{#ffffff '''대루마니아 초대 국왕}}}}}} ||
|이름 = 미하이 1세
||<width=100><#000139><-999> {{{+2 {{{#FFFFFF '''cesta'''}}}}}} ||
|원래 이름 = 미하이 페르디난드 데 로므니에
||<-3><#000139> {{{#ffffff '''이름'''}}} || '''미하이 1세''' [br] {{{-1 ''melcna cesta''}}} ||
|명칭 = 국왕
||<-3><#000139> {{{#ffffff '''출생년도'''}}} || '''2023 / 05 / 17''' [br] {{{-1 ''16세''}}} ||
|그림 = 미하이-1세.jpg
||<-3><#000139> {{{#ffffff '''신체'''}}} || 172cm / 60kg ||
|크기 = 300px
||<-3><#000139> {{{#ffffff '''직업'''}}} || 국왕 ||
|설명 =
||<-3><#000139> {{{#ffffff '''정당'''}}} || 중립지대->사회민주당->무소속(이상 대영시절)
|국가 = 루마니아 왕국
무소속->자유운동->무소속->불명||
|대수 = 1(3, 5, 6)
||<-3><#000139> {{{#ffffff '''경력'''}}} || '''현 대루마니아 황제
|취임일 = 1927년 7월 20일
전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서기장
|퇴임일 = 1930년 6월 8일
전 슬로베니아 공화국 총통
|전임 = 페르디난드 1세
전 대영제국 켄터베리 대주교'''||
|전임대수 = 2
|출생일= 1921년 10월 25일
|출생지= 루마니아 왕국 시나이아
|사망일=2017년 12월 5일
|사망지=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국적 = 루마니아 왕국
|정당 = 무소속
|서명 =
|후임 = 카롤 2세
|후임대수= 4
|종교= 루마니아 정교
|명칭2 = 국왕
|국가2 = 루마니아 왕국
|대수2 = 5(3)
|취임일2 = 1940년 9월 6일
|퇴임일2 = 1940년 12월 30일
|전임2 = 카롤 2세
|전임대수2 =4
|후임2 = 이온 안토네스쿠
|후임대수2 =1
|명칭3 = 국왕
|국가3 =루마니아 왕국
|대수3 =6(5)
|취임일3 = 1944년 5월 24일
|퇴임일3 =1947년 12월 30일
|전임3 = 니콜라에 타타르스쿠
|전임대수3 =2(대행)
|후임3 = 아르만드 칼리네스쿠
|후임대수3 =1
|명칭4 = 위원장
|국가4 = 루마니아 과도통치위원회
|대수4 =2
|취임일4 =1981년 3월 5일
|퇴임일4 = 1981년 5월 1일
|전임4 = 이온 일리에스쿠
|전임대수4 = 1
|후임4 =
|후임대수4 =
|명칭5 = 국왕
|국가5 = 루마니아 왕국
|대수5 = 1(3, 5, 6)
|취임일5 =1981년 5월 1일
|퇴임일5 = 2017년 12월 5일
|전임5 =
|전임대수5 =
|후임5 = 니콜라에 1세
|후임대수5 = 2(7)
}}


'''루마니아 민주주의의 수호자'''
== 개요 ==
루마니아를 두번씩이나 구원한 위인
미하이 1세(前 체스타, 은하예)는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인물이다.
루마니아 근현대사의 산 증인.
 
== 생애 ==
미하이 1세는 2023년 5월 17일 공식적으로 대영제국에 입국했다. 당시에는 은하예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며 오자마자 중립지대라는 정당을 만들었다. 이후 계속 대영제국에서 활동하다가 어느순간부터 체스타라는 영국식 이름으로 바꾸었다. 이후 26대 총선에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에든버러에 출마했지만 자진사퇴했고 총선이 끝나고 [[윌리엄]]의 뒤를 이어 켄터베리 대주교가 되었다.
이후 T라인에게 간첩으로 몰리고 대영이 한번 터지고 대조선국이 된 이후 은하그룹을 만들다가 대영때와 달라진 모습에 회의를 느끼고 슬로베니아 공화국을 만든다.
슬로베니아 공화국은 초기 일주일만에 30명을 돌파하고 의회를 여는등 겉으로는 빠른 성장을 보였지만 인구의 절반이 외교관이다 보니까 활률은 부실하고 의원 두명이 동시에 탈주를 치자 의회를 해산하고 총통이 된다.
그로부터 몇일뒤 갑자기 가국을 접는다며 방장을 고양이에게 넘겨주고 슬로베니아를 떠났지만 볼과 3일뒤 내전을 벌여 방장을 되찾고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선포한다.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유스티티아의 시카고에게 제안을 받아 리넛파에 가짜로 가입하고 배신하지만, 이일로 인해 슬로베니아가 방폭당하고 새로 방을 파 [[대루마니아]]에서 미하이 1세라는 이름으로 다시 시작한다.
 
 
== 주변 인물과의 관계 ==
[[루이스]]: 개인적으로 대영제국에서 가장 존경하는 인물, 처음 왔을때 대영제국에 적응하도록 도와줬다. 이후 슬로베니아를 세운 이후 대조선국에서 활동이 줄었지만 루이스의 협박아닌 협박으로 인해 은하예라는 이름으로 대조선국에서만 활동 중이다.
이공팔공: 한때 사회민주당을 같이 운영했다.
고색봇: 슬로베니아 1호 시민권자, 현재는 카프로 간혹 활동한다.
고양이: 과거에 슬로베니아 운영자를 대행했다.
[[리넛]]: 슬로베니아 초기에 리넛파 제안을 했지만 무시했고 이후 유스티티아의 스파이로 가짜 전향을 한 이후 관계가 나빠지고 결국 슬로베니아를 방폭한다.
카르야킨: 구 활동명인 도이치는 대영 초기에 벌어진 텍사스-테티스 전쟁]]의 영향으로 자주 들었지만 [[가네포때문에 익스테딕에 갔을때 처음 만났다. 개인적으로 카국 인물중 가장 존경하는 인물중 하나이다.
 
== 여담 ==
이름의 뜻은 은하수를 뜻하는 슬로베니아어 mlečna cesta를 그대로 읽은 것이다.
카국에서 쓰는 옾프는 두개가 있는데, 하나는 슬로베니아 를 포함한 대부분의 카국에서 사용하는 본 인격인 체스타랑 대조선국에서만 사용하는 은하예다.
카국 인물중 몇 안되게 위키스 편집을 자주한다. 다만 문법은 잘 몰라서 다른 문서에 일부 양식을 퍼오는 경우가 많다.

2023년 11월 2일 (목) 17:40 판

대루마니아 초대 국왕
cesta
이름미하이 1세
melcna cesta
출생년도2023 / 05 / 17
16세
신체172cm / 60kg
직업국왕
정당중립지대->사회민주당->무소속(이상 대영시절)
무소속->자유운동->무소속->불명
경력현 대루마니아 황제
전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서기장
전 슬로베니아 공화국 총통
전 대영제국 켄터베리 대주교

개요

미하이 1세(前 체스타, 은하예)는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인물이다.

생애

미하이 1세는 2023년 5월 17일 공식적으로 대영제국에 입국했다. 당시에는 은하예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며 오자마자 중립지대라는 정당을 만들었다. 이후 계속 대영제국에서 활동하다가 어느순간부터 체스타라는 영국식 이름으로 바꾸었다. 이후 26대 총선에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에든버러에 출마했지만 자진사퇴했고 총선이 끝나고 윌리엄의 뒤를 이어 켄터베리 대주교가 되었다.이후 T라인에게 간첩으로 몰리고 대영이 한번 터지고 대조선국이 된 이후 은하그룹을 만들다가 대영때와 달라진 모습에 회의를 느끼고 슬로베니아 공화국을 만든다.슬로베니아 공화국은 초기 일주일만에 30명을 돌파하고 의회를 여는등 겉으로는 빠른 성장을 보였지만 인구의 절반이 외교관이다 보니까 활률은 부실하고 의원 두명이 동시에 탈주를 치자 의회를 해산하고 총통이 된다.그로부터 몇일뒤 갑자기 가국을 접는다며 방장을 고양이에게 넘겨주고 슬로베니아를 떠났지만 볼과 3일뒤 내전을 벌여 방장을 되찾고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선포한다.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유스티티아의 시카고에게 제안을 받아 리넛파에 가짜로 가입하고 배신하지만, 이일로 인해 슬로베니아가 방폭당하고 새로 방을 파 대루마니아에서 미하이 1세라는 이름으로 다시 시작한다.


주변 인물과의 관계

루이스: 개인적으로 대영제국에서 가장 존경하는 인물, 처음 왔을때 대영제국에 적응하도록 도와줬다. 이후 슬로베니아를 세운 이후 대조선국에서 활동이 줄었지만 루이스의 협박아닌 협박으로 인해 은하예라는 이름으로 대조선국에서만 활동 중이다. 이공팔공: 한때 사회민주당을 같이 운영했다. 고색봇: 슬로베니아 1호 시민권자, 현재는 카프로 간혹 활동한다. 고양이: 과거에 슬로베니아 운영자를 대행했다. 리넛: 슬로베니아 초기에 리넛파 제안을 했지만 무시했고 이후 유스티티아의 스파이로 가짜 전향을 한 이후 관계가 나빠지고 결국 슬로베니아를 방폭한다. 카르야킨: 구 활동명인 도이치는 대영 초기에 벌어진 텍사스-테티스 전쟁]]의 영향으로 자주 들었지만 [[가네포때문에 익스테딕에 갔을때 처음 만났다. 개인적으로 카국 인물중 가장 존경하는 인물중 하나이다.

여담

이름의 뜻은 은하수를 뜻하는 슬로베니아어 mlečna cesta를 그대로 읽은 것이다.카국에서 쓰는 옾프는 두개가 있는데, 하나는 슬로베니아 를 포함한 대부분의 카국에서 사용하는 본 인격인 체스타랑 대조선국에서만 사용하는 은하예다.카국 인물중 몇 안되게 위키스 편집을 자주한다. 다만 문법은 잘 몰라서 다른 문서에 일부 양식을 퍼오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