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29166F;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FFF" | [[파일:이화문.png|30px|]]<br>'''이스라엘 관련 틀''' | |||
|- | |||
| style="font-weight:"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
| | |||
{{서아시아의 국가 (그레이트)}} | |||
{{그레이트 세계관 목록}} | |||
|} | |||
|} | |||
{{대한국 (미가엘) 표}} | {{대한국 (미가엘) 표}} | ||
{{목차}} | |||
==개요== | |||
'''대한국(Korea)'''은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이다. | |||
==상징== | |||
===국기=== | |||
'''개요''' | |||
태극기는 대한국의 국기이다. 흰색 배경 중앙에 붉은 색과 푸른 색의 태극을, 네 귀퉁이에는 사괘인 건(乾, ☰), 곤(坤, ☷), 감(坎, ☵), 리(離, ☲)를 그렸다. 이는 음양화합을 상징한다.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 최초로 사용되었으며, 1883년 3월 6일 조선의 정식 국기로 제안, 고종 폐하의 윤허로써 공포되었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1919년 3.1 독립운동과 동 해의 독립 이후, 그 정통성을 인정받아 이후 다시 국기로서 사용되었다. 일제의 강점기간 동안 독립운동가들에 의해 사용되었으니, 1882년 고안된 이래로 150여년의 시간동안 대한국과 한민족을 상징하는 기로서 사용되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 |||
'''도안법''' | |||
'''가로:세로''' = 3:2 | |||
'''괘의 굵기''' = 효(막대기 하나) 하나 사이의 간격 X 2 | |||
'''괘의 배치''' = 건(좌측 상단) - 곤(우측 하단) - 감(우측 상단) - 리(좌측 하단) | |||
색상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경우가 사용된다. | |||
||<-8><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 {{{#000 '''색의 사용'''}}}<br>{{{"#da251d; text-align: right" (*대한국 국가기술표준원 기준)}}}|| | |||
||<width=25%> 진한 빨강 (#da251d) ||<width=25%> 진한 파랑 (#29166f) ||<width=25%> 검정(#010101) ||<width=25%> 흰색(#F1F1F1) || | |||
===국장===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1.5px solid #000000; width: 25%;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 |||
|[[파일:이스라엘 국장.png|250px]] | |||
|- | |||
! style="background:#0038B8; color:#FFFFFF" | 이스라엘의 국장 | |||
|} | |||
이스라엘의 국장. 1949년 2월 10일에 제정되었다. | |||
파란색 방패는 유대인의 전통촛대인 '메노라(המנורה)'가 그려져 있다. | |||
메노라를 중심으로 하얀색 올리브가지가 감싸는 형태이다. | |||
메노라 아래에는 국명인 "이스라엘(ישראל)"이 히브리어로 쓰여져 있다. | |||
메노라는 유대교의 상징으로서 유대국가 이스라엘의 정체성을 의하며, 올리브가지는 평화를 의미한다. | |||
이스라엘의 국장은 총리, 대통령, 크네세트, 대법원 등의 홈페이지 및 상징물에서 사용된다. | |||
대부분 방패의 바탕색을 포함해 색상을 일부 변형하여 사용한다. | |||
크네세트의 경우는 방패의 바탕색이 더욱 짙은 남색이며, | |||
흰색 대신 금색을 사용한 바리에이션을 사용한다. | |||
==정치== | |||
===대통령===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055;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000055; color: #FFFFFF" | [[파일:이스라엘 대통령 문장.png|30px|]]<br>'''이스라엘의 역대 대통령''' | |||
|- | |||
| style="font-weight:"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
| | |||
|} | |||
|} | |||
===총리===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38B8;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0038B8; color: #FFFFFF" | [[파일:이스라엘 국장.png|30px|]]<br>'''이스라엘의 역대 총리''' | |||
|- | |||
| style="font-weight:"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
| | |||
|} | |||
|} | |||
===내각=== | |||
===크네세트=== | |||
{{참고|이스라엘의 정당}} | |||
===사법=== | |||
{{참고|이스라엘의 기본법}} | |||
==경제== | |||
==역사== | |||
==외교== | |||
==국방== | |||
{{본문|이스라엘 방위군}} | |||
==사회== |
2023년 12월 4일 (월) 23:45 판
![]() 이스라엘 관련 틀 | |||||
|
대한국 Korea | 大韓國 | |||||||||||||||||||||||||||||
---|---|---|---|---|---|---|---|---|---|---|---|---|---|---|---|---|---|---|---|---|---|---|---|---|---|---|---|---|---|
국기 | 국장 | ||||||||||||||||||||||||||||
光明天地 광명천지 | |||||||||||||||||||||||||||||
상징 | |||||||||||||||||||||||||||||
국가 | 애국가 | ||||||||||||||||||||||||||||
국화 | 오얏꽃 | ||||||||||||||||||||||||||||
역사 | |||||||||||||||||||||||||||||
| |||||||||||||||||||||||||||||
지리 | |||||||||||||||||||||||||||||
| |||||||||||||||||||||||||||||
인문환경 | |||||||||||||||||||||||||||||
| |||||||||||||||||||||||||||||
하위 행정구역 | |||||||||||||||||||||||||||||
| |||||||||||||||||||||||||||||
정치 | |||||||||||||||||||||||||||||
| |||||||||||||||||||||||||||||
경제 | |||||||||||||||||||||||||||||
| |||||||||||||||||||||||||||||
단위 | |||||||||||||||||||||||||||||
| |||||||||||||||||||||||||||||
외교 | |||||||||||||||||||||||||||||
| |||||||||||||||||||||||||||||
ccTLD | |||||||||||||||||||||||||||||
.kr, .대한 | |||||||||||||||||||||||||||||
국가코드 | |||||||||||||||||||||||||||||
410, KR, KOR | |||||||||||||||||||||||||||||
국제전화코드 | |||||||||||||||||||||||||||||
+82 |
개요
대한국(Korea)은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이다.
상징
국기
개요 태극기는 대한국의 국기이다. 흰색 배경 중앙에 붉은 색과 푸른 색의 태극을, 네 귀퉁이에는 사괘인 건(乾, ☰), 곤(坤, ☷), 감(坎, ☵), 리(離, ☲)를 그렸다. 이는 음양화합을 상징한다.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 최초로 사용되었으며, 1883년 3월 6일 조선의 정식 국기로 제안, 고종 폐하의 윤허로써 공포되었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1919년 3.1 독립운동과 동 해의 독립 이후, 그 정통성을 인정받아 이후 다시 국기로서 사용되었다. 일제의 강점기간 동안 독립운동가들에 의해 사용되었으니, 1882년 고안된 이래로 150여년의 시간동안 대한국과 한민족을 상징하는 기로서 사용되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안법 가로:세로 = 3:2 괘의 굵기 = 효(막대기 하나) 하나 사이의 간격 X 2 괘의 배치 = 건(좌측 상단) - 곤(우측 하단) - 감(우측 상단) - 리(좌측 하단)
색상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경우가 사용된다.
색의 사용 | |||||||
진한 빨강 (#da251d) | 진한 파랑 (#29166f) | 검정(#010101) | 흰색(#F1F1F1) |
국장
![]() |
이스라엘의 국장 |
---|
이스라엘의 국장. 1949년 2월 10일에 제정되었다.
파란색 방패는 유대인의 전통촛대인 '메노라(המנורה)'가 그려져 있다. 메노라를 중심으로 하얀색 올리브가지가 감싸는 형태이다. 메노라 아래에는 국명인 "이스라엘(ישראל)"이 히브리어로 쓰여져 있다.
메노라는 유대교의 상징으로서 유대국가 이스라엘의 정체성을 의하며, 올리브가지는 평화를 의미한다.
이스라엘의 국장은 총리, 대통령, 크네세트, 대법원 등의 홈페이지 및 상징물에서 사용된다. 대부분 방패의 바탕색을 포함해 색상을 일부 변형하여 사용한다. 크네세트의 경우는 방패의 바탕색이 더욱 짙은 남색이며, 흰색 대신 금색을 사용한 바리에이션을 사용한다.
정치
대통령
![]() 이스라엘의 역대 대통령 | |
|
총리
![]() 이스라엘의 역대 총리 | |
|
내각
크네세트

사법

경제
역사
외교
국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