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 |
| ==구성== | | ==구성==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29166f;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경각부}} |
| | style="background: #29166f; color: #FFD700 |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 100%; border: 2px solid #29166f; color: #FFD700" | |
| | width=50% align=right | [[파일:대한국 국장.png|50px|]]
| |
| | width=50% align=left | '''<big>대한국의 경각부</big>'''<br>京各部
| |
| |}
| |
| |-
| |
| | style="font-weight:" |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의정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궁내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내무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외무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탁지부'''
| |
| |-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공정거래위원회<br>금융청<br>방송통신위원회<br>개인정보보호위원회<br>국민권인위원회<br>국가보훈청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승정원<br>홍문원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경찰청<br>소방청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세무청<br>통계청<br>조달청
| |
| |-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군무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법무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국토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환경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상무부'''
| |
| |-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방위사업청<br>병무청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검찰청<br>감리청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해양경찰청<br>운수안전위원회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기상청<br>원자력위원회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특허청<br>자원통상청<br>중소기업청
| |
| |-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학무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기술통신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사회보건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농무부'''
| |
| | style="background:#29166f; width:20%; color: #FFD700" | '''문화공보부'''
| |
| |-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양성가족청<br>노동청<br>식품의약안전처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진흥청<br>산림청<br>수산청
| |
| | style="background:#fff; width:20%; text-align: left; color: #000" | 문화재청<br>관광청
| |
| |-
| |
| |
| |
| |}
| |
| |}
| |
|
| |
|
| 대한국 헌법과 정부조직법에 의해 2023년 현재 '''15부(府) 32외청(外廳)'''으로 구성되어 있다. | | 대한국 헌법과 정부조직법에 의해 2023년 현재 '''15부(府) 32외청(外廳)'''으로 구성되어 있다. |
2023년 12월 8일 (금) 16:07 판
개요
대한국의 국가행정조직. 일본의 내각에 대응한다. 대한국 의정대신을 수장으로 하는 '경각부'는 그 어휘가 처음 탄생한 것이 1895년 갑오개혁이다. 당시 개혁으로 각 아문(衙門)의 명칭이 각 부(部)로 변하였고, 이들 중앙부서를 통칭하는 '경각부'라는 어휘가 사용되었다.
현대 대한국의 경각부 구성은 조선시대의 것을 일부 계승하고 있다. 승정원과 의정부가 그 예시. 이들 부처를 포함한 현대 경각부는 부처들의 신설과 분할, 통합, 폐지를 거쳐 구성되었다. 특히 제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황실의 권한이 약화되면서 황실 직속의 기관들은 사간원처럼 폐지되거나, 사헌부, 제국익문사, 수학원, 홍문원, 광제원 등 처럼 다른 기관에 직속변경 되기도 했다.
구성
|
대한국의 경각부 京各部
|
|
의정부
|
궁내부
|
내무부
|
외무부
|
탁지부
|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청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민권인위원회 국가보훈청
|
승정원 홍문원
|
경찰청 소방청
|
|
세무청 통계청 조달청
|
군무부
|
법무부
|
국토부
|
환경부
|
상무부
|
방위사업청 병무청
|
검찰청 감리청
|
해양경찰청 운수안전위원회
|
기상청 원자력위원회
|
특허청 자원통상청 중소기업청
|
학무부
|
기술통신부
|
사회보건부
|
농무부
|
문화공보부
|
|
|
양성가족청 노동청 식품의약안전처
|
진흥청 산림청 수산청
|
문화재청 관광청
|
|
|
대한국 헌법과 정부조직법에 의해 2023년 현재 15부(府) 32외청(外廳)으로 구성되어 있다.
궁내부
궁내부는 대한국 황실의 사무를 전담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장관급(정2품) 인사가 장을 맡는 부급기관으로, 소속 외청으로는 '승정원'과 '홍문원'이 있다.
승정원
승정원은 황명을 출납하는 기관이다. 국가 중대 정책의 심의 결과를 황제에 보고하고, 황제의 의견을 경각부 및 의정대신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황제와 경각부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물론 '칙서'의 형태로 전달되는 황명은 '참고사항'일 뿐 효력은 없다.
홍문원
홍문원은 황실 내 문서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황실 내부의 기밀을 취급하기에 높은 수준의 보안을 요구한다.
직급
조선과 대한제국의 흔적
앞에서 서술했듯, 대한국은 과거 정부기관의 명칭 또는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부터 계승된 의정부제도의 전통을 유지하는 것으로, 대한국 내의 보수주의적 정치풍조가 적용된 결과이다.
의정부
타 국의 '내각부'와 동일. 과거 조선기에 삼정승을 포함한 고위직책자들이 국정을 논의하던 '의정부'를 그대로 따왔다. 덕분에 의정부의 책임자이자, 내각책임제 하 대한국의 행정수반의 직책명은 '의정대신'이다.
참정, 참판
각각 타 국의 '부총리', '각 부 차관'직과 동일하며, 의정부제의 관직명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감리청
출입국을 관리하는 부서. 다른 나라에는 국경통제국, 출입국관리청 등의 이름으로 존재하지만, 대한제국은 개화기 당시 개항장, 개시장의 사무를 담당하던 감리서가 그대로 이어져와 법무부 산하의 감리청이 되었다. 개혁이 진행되면서 개항장, 개시장의 업무를 별도로 처리할 필요성이 사라진 대신, 외국으로부터 유입출되는 사람들을 관리한 관청이 필요해지자, 감리서를 확대 및 개편하여 '감리국'으로 만들었다. 그 후 정부조직 개편을 통해 '감리청'으로 자리잡았다.
수학원
외청은 아니지만, 교육부 산하의 영재교육시설이다. 원래 수학원은 개혁기 당시 황실이 황가와 귀족자제들을 교육시킬 목적으로 설립한 것이다. 이것이 귀천철폐 이후 영재교육시설로 탈바꿈한 것.
제국익문사
의정대신(의정부) 직속 정보기관. 과거에는 황제 직속의 정보기관으로, 신문사로 위장하여 전 세계에서 첩보활동을 진행했다. 정보대를 흡수하여 규모가 커졌고, 현재는 대외 정보수집과 공작을 담당하고있다. 원수부(합동참모본부) 소속 상무영과 협동하여 공작을 진행한다. 다만 군부와 정부 간 의견차도 있기에 그리 사이가 좋은 편은 아니다. 참고로 현재도 언론사로 위장하여 인터넷, 지면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실체는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