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순환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이산반정(李祘反正)'''은 2023년 11월 29일(후인 95일) 당시 국왕 [[대조선국 영조|영조]]와 영의정 윤원형이 판의금부사 임명 문제를 두고, [[폐세자 모의 사건]]의 2차 갈등이 발생하여 영의정 윤원형이 왕족, 문무관 대신들을 포섭하여 '''국왕 [[대조선국 영조|영조]]를 폐위시키고 왕세자 이산을 왕위에 옹립한 사건'''이다.


내부에서 왕위를 찬탈한 반정은 2016년 왕위계승전쟁 이후, '''7년'''만에 발생한 것이며 근현대에선 '''최초의 반정'''이다.
'''천순환국(天順換局)'''은 2023년 12월 17일(천순 18일)부터 2023년 12월 20일(천순 21일)까지 붕당정치가 본격적으로 형성되던 시기에 노론과 소론이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등의 요인으로 갈등이 심각해지며 정권을 두고 다투다가 결국 '''붕당 자체가 해제되어 왕권이 강화된 사건'''이다.
 
= 노론 수장의 탄핵과 소의대비의 개입 =
 
임금 이산을 보위에 추대하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노론이 정권을 잡고 있을때 왕실에 반기를 든 휘정공주와 덕신위가 노론의 강력한 주청으로 사사되고 소론의 이지은이 과거 급제를 통해 이조참판으로 임명된 시기였다. 이때 이지은과 여러 소론 대신들의 청으로 분란을 일으킨 세자빈 김씨가 유폐되고 노론의 수장인 이조판서 이현식이 '''기밀유출죄로 탄핵'''되었다. 하지만 이현식의 잘못이 커 노론은 조용히 이를 받아들였으나, 이조판서에 오른 이지은은 이어서 소의대비의 부친인 이현식을 이조판서 탄핵 뿐 아닌 부원군 삭탈까지 가야한다며 임금 이산에게 강력히 주청했고, 이에 노론이 소의대비를 끌어들였다. 하지만 소의대비가 결국 임금 이산의 뜻을 받아들이며 이현식은 한순간에 양반에서 상민이 되었다.
 
= 이조판서에서 파직된 이지은 =
 
X
 
= 소론의 분열과 중전 한씨의 개입 =
 
X
 
= 소론의 처벌을 강력히 주청한 노론 =
 
X
 
= 결론 =
 
X

2023년 12월 21일 (목) 18:01 판

천순환국
天順換局
시기
2023년 12월 17일 ~ 2023년 12월 20일
원인
이산반정 이후, 붕당정치로 인한 조정의 갈등
결과
붕당정치 몰락 및 이산의 왕권 강화
영향
왕권 강화, 노론과 소론의 해제

개요

천순환국(天順換局)은 2023년 12월 17일(천순 18일)부터 2023년 12월 20일(천순 21일)까지 붕당정치가 본격적으로 형성되던 시기에 노론과 소론이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등의 요인으로 갈등이 심각해지며 정권을 두고 다투다가 결국 붕당 자체가 해제되어 왕권이 강화된 사건이다.

노론 수장의 탄핵과 소의대비의 개입

임금 이산을 보위에 추대하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노론이 정권을 잡고 있을때 왕실에 반기를 든 휘정공주와 덕신위가 노론의 강력한 주청으로 사사되고 소론의 이지은이 과거 급제를 통해 이조참판으로 임명된 시기였다. 이때 이지은과 여러 소론 대신들의 청으로 분란을 일으킨 세자빈 김씨가 유폐되고 노론의 수장인 이조판서 이현식이 기밀유출죄로 탄핵되었다. 하지만 이현식의 잘못이 커 노론은 조용히 이를 받아들였으나, 이조판서에 오른 이지은은 이어서 소의대비의 부친인 이현식을 이조판서 탄핵 뿐 아닌 부원군 삭탈까지 가야한다며 임금 이산에게 강력히 주청했고, 이에 노론이 소의대비를 끌어들였다. 하지만 소의대비가 결국 임금 이산의 뜻을 받아들이며 이현식은 한순간에 양반에서 상민이 되었다.

이조판서에서 파직된 이지은

X

소론의 분열과 중전 한씨의 개입

X

소론의 처벌을 강력히 주청한 노론

X

결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