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피바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37번째 줄: 37번째 줄: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등의 남미 국가 여러 곳에 서식하며 이름은 고(古) 투피어로 '가느다란 잎을 먹는 동물'이라는 뜻[* A. B. H. Ferreira, Novo Dicionário da Língua Portuguesa, second edition (Rio de Janeiro: Nova Fronteira, 1986) , page 344]인 카피이와라(kapi'iûara)에서 왔다. 한편 한자이름은 과명과 동일한 천축서(天竺鼠)로, '천축'은 [[인도]], '서'는 [[쥐]]를 의미하는 한자다. 즉 '인도쥐'란 뜻인데, 정작 카피바라를 비롯한 천축서과 동물들 대부분은 남미원산이다.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등의 남미 국가 여러 곳에 서식하며 이름은 고(古) 투피어로 '가느다란 잎을 먹는 동물'이라는 뜻[* A. B. H. Ferreira, Novo Dicionário da Língua Portuguesa, second edition (Rio de Janeiro: Nova Fronteira, 1986) , page 344]인 카피이와라(kapi'iûara)에서 왔다. 한편 한자이름은 과명과 동일한 천축서(天竺鼠)로, '천축'은 [[인도]], '서'는 [[쥐]]를 의미하는 한자다. 즉 '인도쥐'란 뜻인데, 정작 카피바라를 비롯한 천축서과 동물들 대부분은 남미원산이다.
==특징==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동물로서, 몸길이가 1~1.5m에 평균 체중이 35~66kg 정도[* 이 정도면 성인 여자의 체중이랑 비슷하다.] 나가며 최대 무게는 무려 '''90kg'''에 달했다고 한다. 어지간간 대형견 또는 그보다 더 큰 덩치. 덩치가 큰 만큼 당연히 먹는 양과 대변의 양도 많다.
----
----
[[분류:카피바라]]
[[분류:카피바라]]

2023년 12월 23일 (토) 20:30 판

카피바라
Capybara
카피바라 가족.webp
학명 Hydrochoerus hydrochaeris
(Linnaeus, 176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설치목Rodentia
천축서과Caviidae
카피바라속Hydrochoerus
카피바라H. hydrochaeris

개요

쥐목 천축서과 같은 천축서과에 속하는 동물로 기니피그마라가 있다. 카피바라아과 카피바라속에 속하는 포유류생선. 캐피바라라고 부르기도 한다.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등의 남미 국가 여러 곳에 서식하며 이름은 고(古) 투피어로 '가느다란 잎을 먹는 동물'이라는 뜻 A. B. H. Ferreira, Novo Dicionário da Língua Portuguesa, second edition (Rio de Janeiro: Nova Fronteira, 1986) , page 344인 카피이와라(kapi'iûara)에서 왔다. 한편 한자이름은 과명과 동일한 천축서(天竺鼠)로, '천축'은 인도, '서'는 를 의미하는 한자다. 즉 '인도쥐'란 뜻인데, 정작 카피바라를 비롯한 천축서과 동물들 대부분은 남미원산이다.

특징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동물로서, 몸길이가 1~1.5m에 평균 체중이 35~66kg 정도 이 정도면 성인 여자의 체중이랑 비슷하다. 나가며 최대 무게는 무려 90kg에 달했다고 한다. 어지간간 대형견 또는 그보다 더 큰 덩치. 덩치가 큰 만큼 당연히 먹는 양과 대변의 양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