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3><table align=right><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000><#000000><color=#fff> '''{{{+1 {{{#ffffff 1.4 사태}}}}}}'''[br]'''{{{#ffffff 1.4 Events}}}'''<ref>흔...) |
편집 요약 없음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명언1|현 시각부로 전국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시국을 극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미합중국 대국민담화 中}} | {{명언1|현 시각부로 전국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시국을 극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미합중국 대국민담화 中}} | ||
{{명언1| | {{명언1|"UN에 대한 선전포고" - 태러 후 리넛의 첫마디}} | ||
{{명언1|이 사태는 전적으로 운영총감에게 있다 - 캐탈린}} | {{명언1|이 사태는 전적으로 운영총감에게 있다 - 캐탈린}} | ||
=== 사건의 발단=== | === 사건의 발단=== |
2024년 1월 6일 (토) 19:07 판
1.4 사태 1.4 Events[1] | |||
발생일 | 2024년 1월 4일 사고일로부터 0주년 | ||
발생 위치 | 워싱턴 D.C, 미합중국 최고사령부 | ||
유형 | 강퇴 테러 | ||
원인 | 미합중국-미트라스 전쟁 및 비효율적 상황판단 | ||
테러 주동자 | 리넛 | ||
테러 주동 세력 | 제도 미트라스 | ||
피해 | 재산 피해 | 국가비상사태 선포, 미합중국 인구 67명→7명 피해, 미합중국 최고사령부 통제력 상실, 경계태세→전시상태, 미합중국의 외교적 패배 | |
인명 피해 | 최소 50명~최대 60명 | ||
여파 | 계엄령 선포, 비상사태위원회 설립, 신(新)운영방침 개설, 쇄국정책 유지 |
현 시각부로 전국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시국을 극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미합중국 대국민담화 中 |
"UN에 대한 선전포고" - 태러 후 리넛의 첫마디 |
이 사태는 전적으로 운영총감에게 있다 - 캐탈린 |
사건의 발단
- ↑ 흔히 줄여서 미국 테러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