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익스테딕 폭파 사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8번째 줄: 8번째 줄:
 
||<-2> '''유형''' || '''강퇴 · 폭파'''||
 
||<-2> '''유형''' || '''강퇴 · 폭파'''||
 
||<-2> '''원인''' || '''[[텐]]의 정치적 극단주의'''||
 
||<-2> '''원인''' || '''[[텐]]의 정치적 극단주의'''||
||<-2> '''테러 주동자''' || [[텐]]||
+
||<-2> '''사건의 주동자''' || [[텐]]||
||<-2> '''테러 주동 세력''' || [[익스테딕 운영부]]||
+
||<-2> '''사건의 주동 세력''' || [[익스테딕 운영부]]||
 
||<|2><width=50> '''피해''' ||<colcolor=#fff><colbgcolor=#000000> '''재산 피해''' || [[평천광역시|평천]] URL 소멸, [[익스테딕 국회|국회]] URL 소멸, [[익스테딕 법원|법원]] URL 소멸, [[익스테딕 군대|군대]] URL 소멸, [[익스테딕 주요인사회의|주요인사회의]] URL 소멸, [[익스테딕올림픽조직위원회|올림픽조직위원회]] URL 소멸 등||
 
||<|2><width=50> '''피해''' ||<colcolor=#fff><colbgcolor=#000000> '''재산 피해''' || [[평천광역시|평천]] URL 소멸, [[익스테딕 국회|국회]] URL 소멸, [[익스테딕 법원|법원]] URL 소멸, [[익스테딕 군대|군대]] URL 소멸, [[익스테딕 주요인사회의|주요인사회의]] URL 소멸, [[익스테딕올림픽조직위원회|올림픽조직위원회]] URL 소멸 등||
 
|| '''인명 피해''' || '''최소 160명 ~ 최대 250여 명'''||
 
|| '''인명 피해''' || '''최소 160명 ~ 최대 250여 명'''||

2024년 1월 31일 (수) 01:58 판

2023년 12월 익스테딕 폭파 사건
Extedik bombing incident in December 2023[1]
30px
평천특별시가 폭파 당한 모습
30px
국회가 폭파 당한 모습
발생일2023년 12월 3일 일요일
(사고일로부터 0주년)
발생 위치익스테딕국기.svg 익스테딕 공화국 평천, 영평, 진안, 국회, 법원, 군대, 투표소, 주요인사회의, 올림픽조직위원회
유형강퇴 · 폭파
원인의 정치적 극단주의
사건의 주동자
사건의 주동 세력익스테딕 운영부
피해재산 피해평천 URL 소멸, 국회 URL 소멸, 법원 URL 소멸, 군대 URL 소멸, 주요인사회의 URL 소멸, 올림픽조직위원회 URL 소멸 등
인명 피해최소 160명 ~ 최대 250여 명
여파본방 URL 남도특별자치시로 이전
, 교차로, 영구 입국 금지
테러 세력 주축 내란 발생
비상계엄령 선포
익스테딕 중앙정보국 설립

개요

12.3 참사는 2023년 12월 03일, 자유선진당이 제도개혁당에게 대선때 왜 후보를 안 주었냐 하면서 신나게 싸우다가 화가난 텐이 일부 국민을 강퇴하고, 방을 폭파시킨 사건이다.

은 적법한 절차 없이 제도개혁당의 주요 요인 및 기타 인원을 강퇴한 뒤 오픈채팅을 터트리는 방식으로 테러를 일으켰으며, 이 사건으로 인해 익스테딕 공화국평천특별시, 영평광역시, 진안광역시, 국회, 법원, 군대, 투표소, 주요인사회의, 올림픽조직위원회가 공격받았다.

2023년 기준, 익스테딕 공화국 내에서 가장 큰 인명피해를 유발한 테러 공격으로 기록되고 있다.

배경

전개

12.3 참사의 모든 일들은 당일 오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불과 2시간에 걸쳐 벌어졌지만 전세계를 충격에 빠뜨리기에 충분한 시간이였다.

연쇄 작용

내란 발생

왜 막지 못했는가

세계의 반응과 여파

이후

각주

  1. 흔히 줄여서 '12/3'이라고 부른다.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