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강혁 (벚꽃)"의 두 판 사이의 차이

73번째 줄: 73번째 줄:
 
==개요==
 
==개요==
 
[[대한민국]]의 {{글씨 색|#337AB7|정치인}}. 현 [[서울특별시장]]으로 역대 최연소 민선 서울특별시장이자 역대 최초 3선 서울시장이다.
 
[[대한민국]]의 {{글씨 색|#337AB7|정치인}}. 현 [[서울특별시장]]으로 역대 최연소 민선 서울특별시장이자 역대 최초 3선 서울시장이다.
 +
==생애==
 +
===제20대 국회의원===
 +
정치에 입문하기 이전, 방송을 통한 인지도를 바탕으로 2016년 {{글씨 색|#337AB7|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러브콜이 엄청났다고 한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에 의해 민주당으로 영입되었는데, 이를 두고 {{글씨 색|#337AB7|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대표는 백강혁을 영입하지 못한 것이 아직도 한이라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에 영입된 백강혁은 {{글씨 색|#337AB7|서울 용산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보수세가 강한 용산에서 무려 '''60.96%'''라는 득표율로 당선되었기에 선거 당시 굉장히 많은 주목을 받기도 했다.
 +
 +
당선 후에는 국회 {{글씨 색|#337AB7|환경노동위원회}}<ref>환노위는 지역구 사업과 관련된 일을 하지 않아 예나 지금이나 비인기 상임위로 유명하다.</ref>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백강혁이 제20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며 발의한 대표적인 법안으로는 가석방 없는 무기형 신설<ref>형사소송법 일부개정법률안</ref>과 국회의원 국민소환에 관한 법률이 있다. 백강혁이 발의한 법안들의 경우 현재 모두 통과된 상황이다. 이후 벡깅혁은 {{글씨 색|#337AB7|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였고  의정활동 잔여금 2,500만 원 중 1,500만 원은 환경 재단에, 1,000만 원은 서울 문화재단에 기부하였다. 그리고 국회의원 임기 기간 내내 시민단체에서 시상하는 '국정감사 우수의원'에 선정되었다.
 +
===서울시장===
 +
총선 불출마 후 잠시 정계를 떠나 있었다. 그러나 {{글씨 색|#337AB7|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정계에 복귀한다. 당시 민주당의 서울시장 예비후보로 {{글씨 색|#337AB7|박영선}}, {{글씨 색|#337AB7|우상호}}가 있었는데 이들이 [[국민의힘]] 후보들에게 밀리는 것으로 조사된 반면에, 백강혁의 경우 [[국민의힘]] 후보와의 양자대결에서 여유롭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약 60%를 득표하며 민주당의 서울시장 후보로 선출된다.
 +
 +
백강혁의 본선 상대는 {{글씨 색|#337AB7|나경원}}이었다. 선거 당시 나경원의 지속적인 백강혁 꼬투리 잡기와 더불어, 백강혁의 토론 실력, 호감형 이미지, 비교적 젊은 나이와 논리력과 토론 실력으로 나경원 후보를 제치고 민선 8기 서울특별시장으로 선출된다. 이 당시 백강혁의 경우 57.50%를 득표한 반면에 나경원은 37.49%를 득표하며 백강혁이 약 15%, 883,914표 차로 나경원을 제치고 민선 8기 서울특별시장으로 취임하였다.
 +
 +
현직 서울시장으로서 여러 가지의 공과를 세우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것은 {{글씨 색|#337AB7|서울에듀}}로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저소득층 학생으로 대상으로 만든 인터넷 강의 교육지원 플랫폼이다. 실제로 해당 플랫폼의 서비스 중 하나인 '1:1 정시 전략 컨설팅'을 이용한 29명 가운데 23명이 지원한 대학에 합격했다.<ref>서울대, 연세대, 고려대학교와 더불어 경희대, 성균관대학교 합격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f> 서울에듀와 더불어서 업적 중 하나로 손 꼽히는 것으로 {{글씨 색|#337AB7|The 서울패스}}가 있다. The 서울패스는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지하철, 버스)와 향후 백강혁이 도입한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인 {{글씨 색|#337AB7|스핀서울}}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이다. 특히 현재는 The 서울패스가 경기도와 인천에서도 호환되며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
 +
현재까지 백강혁이 {{글씨 색|#337AB7|서울시장}}을 역임하며 '''중국 사회과학원 도시 경쟁력 지수는 세계 3위로, 광역자치단체 청렴도는 15위에서 1위'''로 상승했다. 뿐만 아니라 UN 공공행정 대상 2회, 우수상 3회를 수상하였으며 유네스코 세계 디자인 수도로 선정됐다. 이와 더불어 '''서울시 관광객이 60% 증가'''하는 업적을 이루었다.

2024년 2월 20일 (화) 20:43 판

벚꽃 화이트.png
Stockholm
[ 벚꽃 알아보기 ] [ 벚꽃 문서 목록 ]
본 세계관은 '만약에'를 가정한 가상 세계관으로 현실과 무관함을 알리며, 특정 인물을 비하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음을 알립니다.
제37·38·39대 서울특별시장
백강혁
白強赫 | Baek Kang Hyuk
백강혁 서울특별시장.jpg
출생 1977년 11월 10일 (51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거주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본관 수원 백씨
현직 제38대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립대학교 운영위원장
서명 140px-백강혁 싸인.png
SNS 홈페이지 아이콘.svg | 페이스북 아이콘.svg | 인스타그램 아이콘.png | X Corp 아이콘(블랙).png | 유튜브 아이콘.svg | 네이버 블로그 아이콘.png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어머니
배우자 강모연[1]
자녀 장남 백현[2]
학력 서울한남초등학교 (졸업)
옥정중학교 (졸업)
대일외국어고등학교 (독일어과/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 / 박사)
병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전역 (학사장교)
종교 천주교
신체 178cm, 65kg, O형[3]
소속 정당 열린민주당.svg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20
약력 제00회 사법시험 합격
제00기 사법연수원 수료
환경운동연합 시민상담실 실장
성균관대학교 법과대학 겸임교수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위원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용산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제37대 서울특별시장 (민선 8기 /더불어민주당)
제38대 서울특별시장 (민선 9기/열린민주당)
약칭 白

개요

대한민국정치인. 현 서울특별시장으로 역대 최연소 민선 서울특별시장이자 역대 최초 3선 서울시장이다.

생애

제20대 국회의원

정치에 입문하기 이전, 방송을 통한 인지도를 바탕으로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의 러브콜이 엄청났다고 한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에 의해 민주당으로 영입되었는데, 이를 두고 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대표는 백강혁을 영입하지 못한 것이 아직도 한이라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에 영입된 백강혁은 서울 용산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보수세가 강한 용산에서 무려 60.96%라는 득표율로 당선되었기에 선거 당시 굉장히 많은 주목을 받기도 했다.

당선 후에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4]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백강혁이 제20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며 발의한 대표적인 법안으로는 가석방 없는 무기형 신설[5]과 국회의원 국민소환에 관한 법률이 있다. 백강혁이 발의한 법안들의 경우 현재 모두 통과된 상황이다. 이후 벡깅혁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였고 의정활동 잔여금 2,500만 원 중 1,500만 원은 환경 재단에, 1,000만 원은 서울 문화재단에 기부하였다. 그리고 국회의원 임기 기간 내내 시민단체에서 시상하는 '국정감사 우수의원'에 선정되었다.

서울시장

총선 불출마 후 잠시 정계를 떠나 있었다. 그러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정계에 복귀한다. 당시 민주당의 서울시장 예비후보로 박영선, 우상호가 있었는데 이들이 국민의힘 후보들에게 밀리는 것으로 조사된 반면에, 백강혁의 경우 국민의힘 후보와의 양자대결에서 여유롭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약 60%를 득표하며 민주당의 서울시장 후보로 선출된다.

백강혁의 본선 상대는 나경원이었다. 선거 당시 나경원의 지속적인 백강혁 꼬투리 잡기와 더불어, 백강혁의 토론 실력, 호감형 이미지, 비교적 젊은 나이와 논리력과 토론 실력으로 나경원 후보를 제치고 민선 8기 서울특별시장으로 선출된다. 이 당시 백강혁의 경우 57.50%를 득표한 반면에 나경원은 37.49%를 득표하며 백강혁이 약 15%, 883,914표 차로 나경원을 제치고 민선 8기 서울특별시장으로 취임하였다.

현직 서울시장으로서 여러 가지의 공과를 세우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것은 서울에듀로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저소득층 학생으로 대상으로 만든 인터넷 강의 교육지원 플랫폼이다. 실제로 해당 플랫폼의 서비스 중 하나인 '1:1 정시 전략 컨설팅'을 이용한 29명 가운데 23명이 지원한 대학에 합격했다.[6] 서울에듀와 더불어서 업적 중 하나로 손 꼽히는 것으로 The 서울패스가 있다. The 서울패스는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지하철, 버스)와 향후 백강혁이 도입한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인 스핀서울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이다. 특히 현재는 The 서울패스가 경기도와 인천에서도 호환되며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백강혁이 서울시장을 역임하며 중국 사회과학원 도시 경쟁력 지수는 세계 3위로, 광역자치단체 청렴도는 15위에서 1위로 상승했다. 뿐만 아니라 UN 공공행정 대상 2회, 우수상 3회를 수상하였으며 유네스코 세계 디자인 수도로 선정됐다. 이와 더불어 서울시 관광객이 60% 증가하는 업적을 이루었다.

  1. 법무법인 한빛 대표변호사
  2. 2015년생
  3. 키와 몸무게, 혈액형 모두 개인 유튜브 Q&A 영상에서 공개했다.
  4. 환노위는 지역구 사업과 관련된 일을 하지 않아 예나 지금이나 비인기 상임위로 유명하다.
  5. 형사소송법 일부개정법률안
  6.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학교와 더불어 경희대, 성균관대학교 합격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