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 타이거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8번째 줄: 18번째 줄:
||<bgcolor=#00205b> {{{#fff '''감독'''}}} || ||
||<bgcolor=#00205b> {{{#fff '''감독'''}}} || ||
||<bgcolor=#00205b> {{{#fff '''주장'''}}} || ||
||<bgcolor=#00205b> {{{#fff '''주장'''}}} || ||
||<bgcolor=#00205b> {{{#fff '''영구 결번'''}}} || ||
||<bgcolor=#00205b> {{{#fff '''영구 결번'''}}} || 21 박철순 | 54 김영신||
||<|2><bgcolor=#00205b> {{{#fff '''홈구장'''}}} || '''제1 홈구장'''
||<|2><bgcolor=#00205b> {{{#fff '''홈구장'''}}} || '''제1 홈구장'''
'''평양 시민 야구장''' (?~ / ?석)
'''평양 시민 야구장''' (?~ / ?석)

2024년 3월 1일 (금) 00:08 판

SUSUNG
[ 펼치기 · 접기 ]
월본 수성
지주회사 수성홀딩스
유통/미디어 부문 샤롯데(WUSCO, 롤렉스, 파텍필립, 핫토리), 수성필름워크스(수성픽쳐스, 월트하드컴퍼니, 샤롯데시네마)
식품 부문 수성식품
물류/서비스/관광 부문 수성동아(월본통운, 수성상선, 동아항공), 호텔수성(샤롯데면세점, New World)
기타 수성건설, 수성텔레콤, 수성미래전략연구소
관계사 NEXT
비영리 부문 수성장학재단, 수성사회복지재단, 수성문화재단(샤롯데콘서트홀), 학교법인 수성학원
스포츠단
수성 바이킹스, 신와 레드 유나이티드
제주 수성
수성 타이거즈 엠블럼.png
수성 타이거즈
Susung Tigers
창단1982년
법인 설립1982년
법인명㈜수성타이거즈
기업 규모대기업
상장 유무비상장 기업
구단 사무실평양광역시
구단명 변천수성 타이거즈 (1982~ )
운영 법인수성
모기업수성
연고지평양광역시
구단주초코큐브
대표이사
단장
감독
주장
영구 결번21 박철순 | 54 김영신
홈구장제1 홈구장
평양 시민 야구장 (?~ / ?석)
평양 수성 타이거즈 돔 (?~ / ?석)
제2 홈구장
? 야구장 (?~ / ?석)
2군 구장? 야구장 (?~ / ?석)
키트 스폰서
웹사이트
공식 어플
KBL 한국시리즈 우승 (6회)
1982년, 1995년, 2001년, 2015년, 2016년, 2019년
페넌트 레이스 우승 (4회)
단일 리그1995년, 2016년, 2018년, 2019년
전·후기 리그1982년 전기, 1986년 후기
양대 리그1995년 드림
포스트시즌 진출 (24회)
한국시리즈1982년1995년, 2000년, 2001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13년, 2015년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플레이오프1986년, 1987년, 1999년, 2000년2001년,
2004년, 2005년2007년2008년, 2009년,
2010년, 2013년2015년2017년2020년,
2021년
준플레이오프1993년, 1998년, 2001년2004년2009년,
2010년, 2012년, 2013년2015년2020년,
2021년
와일드카드 결정전2021년, 2023년

개요

수성그룹이 운영하는 KPB 리그의 프로 야구단. 연고지는 평양광역시이며 홈구장은 00구 00동에 위치한 수성 타이거즈 돔을 사용하고 있다.

KPB 리그 최고 인기 구단 중 하나이자 한성 자이언츠, 로열 팰리스와 함께 원년부터 연고지, 구단명, 모기업 전부 변하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져 온 유이한 구단이며 KPB 리그 원년 구단 중 하나로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팀이다.

KPB 리그의 원년 우승 구단으로, 역대 우승 연도는 1982년, 1995년, 2001년, 2015년, 2016년, 2019년으로 총 6회이며, 준우승은 2000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13년, 2017년, 2018년, 2020년, 2021년으로 총 9회이다

구단 디자인

엠블럼/심볼

상징색

팀의 메인 상징색은 남색과 노란색이며 보조 색은 빨간색이다.

마스코트

유니폼

홈구장

역사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