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width=100><#123456><-999> {{{#ffffff {{{-1 '''익스테딕 공화국 제15·16·20·21·24대 대통령'''[Br]}}}{{{+2 ''' Сергі́й Каря́кін '''[Br]}}}'''세르히 카르야킨'''}}} ||
| | #넘겨주기 [[개이치]] |
| ||<table align=right><-999> [[파일:세르히 카르야킨.jpeg|width=400]]||
| |
| ||<width=100><#182E5B><-999> {{{+2 {{{#ffffff '''인물 정보'''}}}}}} ||
| |
| ||<bgcolor=#182E5B><|3><:>{{{#white '''출신'''}}}||<width=25%><bgcolor=#182E5B><:>{{{#white 가문}}}||<-2> '''세르히 가문'''^^(Сергі́й Род)^^ ||
| |
| ||<bgcolor=#182E5B><:>{{{#white 출생}}}||<-2> '''Ирыстон Пригородный'''[* 오세티야 프리고로드니] ||
| |
| ||<bgcolor=#182E5B><:>{{{#white 거주지}}}||<-2> '''Extedic Extedic District'''[* 익스테딕 익스테딕구] ||
| |
| ||<-3><#182E5B> {{{#ffffff '''입문'''}}} || 2021년 01월 18일[Br]<small>(+{{날수|2021|01|18}}일, {{나이|2021|01|18}}주년)</small> ||
| |
| ||<-3><#182E5B> {{{#ffffff '''직업'''}}} || <small>정치인, 운영진</small> ||
| |
| ||<-3><#182E5B> {{{#ffffff '''현직'''}}} || <small>[[멜리나 국제올림픽위원회|국제올림픽위원회]] 초대 사무총장[Br][[텍사스 공화국|텍사스 제5공화국]] 제3대 대통령[Br][[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익스테딕 공화국]] 제24대 대통령</small> ||
| |
| ||<-3><#182E5B> {{{#ffffff '''성향'''}}} || 자유론적 우익[Br]<small>(지공자유지상주의)</small>[Br]국가론적 좌익[Br]<small>(사회민주주의)</small> ||
| |
| ||<-3><#182E5B> {{{#ffffff '''정당'''}}} || <small>[[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익스테딕 공화국]]</small> {{익스테딕 제도개혁당}} ||
| |
| ||<bgcolor=#5B171D><|2><:>{{{#ffffff '''소속'''}}}||<width=25%><bgcolor=#5B171D><:>{{{#ffffff '''세계관'''}}}||<-2> <small>[[카카오톡 가상국가]]</small> ||
| |
| ||<bgcolor=#5B171D><:>{{{#ffffff '''국가'''}}}||<-2> <small>[[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기.png|25px]] [[텍사스 공화국]]</small>[Br]<small>[[파일:익스테딕국기.svg|25px]] [[익스테딕 공화국]]</small> ||
| |
| ||<bgcolor=#5B171D><|2><:>{{{#white '''스승'''}}}||<width=25%><bgcolor=#5B171D><:>{{{#white '''정치학 스승'''}}}||<-2> Ron Paul<small>(론 폴)</small> ||
| |
| ||<bgcolor=#5B171D><:>{{{#white '''경제학 스승'''}}}||<-2> Ludwig von Mises<small>(미제스)</small> ||
| |
| ||<bgcolor=#5B171D><|4><:>{{{#white '''기타'''}}}||<width=25%><bgcolor=#5B171D><:>{{{#white '''레이팅'''}}}||<-2> 1603 <small>(최근, 2024년 06월 27일)</small>[Br]1681 <small>(최고, 2024년 06월 26일)</small> ||
| |
| ||<bgcolor=#5B171D><:>{{{#white '''서명'''}}}||<-2> [[파일:세르히 카르야킨 서명.PNG|100px]] ||
| |
| ||<bgcolor=#5B171D><:>{{{#white '''서훈'''}}}||<-2> [[파일:세르히 카르야킨 서훈.PNG|80px]] ||
| |
| ||<bgcolor=#5B171D><:>{{{#white '''MBTI'''}}}||<-2> ENFP ||
| |
| |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B171D> [[파일:익스테딕_세르히 카르야킨_대통령_초상화.png|width=100%]] ||
| |
| ||<bgcolor=#5B171D>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초상화|{{{#ffffff '''대통령 공식 초상화'''}}}]] ||
| |
| | |
| [목차]
| |
| | |
| = 개요 =
| |
| '''Сергі́й Каря́кін''' 또는 '''세르히 카르야킨'''은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정치인[* 현 [[텍사스 공화국]] 제3대 대통령, 현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익스테딕 공화국]] 제24대 대통령]이다.
| |
| | |
| = 정치 변천사 =
| |
| '''세르히 카르야킨'''은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대표적인 정치인이다.
| |
| | |
| == 텍사스 공화국 ==
| |
| {{본문|텍사스 공화국}}
| |
| | |
| {{텍사스 공화국의 대통령}}
| |
| | |
| 2021년 01월 [[텍사스 공화국의 정치|텍사스 정치계]]에 입문해 [[횅진국의당]]에 입당, 단기간 [[텍사스 행정부|군무장관]]을 맡은 후 별다른 활동 없이 잠적한다. 이후 [[텍사스 공화국|텍사스 1차방]]이 몰락해 [[텍사스 공화국의 역사#사회주의 불법정부|텍사스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에서 임시적으로 체류한다.
| |
| | |
| 약 5개월 뒤 재건된 [[텍사스 공화국]]에 다시 돌아오지만 [[텍사스 공화국의 역사#사회주의 불법정부|텍사스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국적을 파기하는 일 외에는 딱히 정치적인 행보를 보이지 않는다. 이후 [[텍사스 행정부|TCIA]][* 텍사스중앙정보국, 주로 신원을 밝히지 않고 각국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국가행정기관이다.]에서 2년간 직무하며 [[슬란 도이치]]의 신임을 얻는다.
| |
| | |
| [[테티스 텍사스 전쟁|텍사스 테티스 전쟁]]과 [[유토 텍사스 전쟁|텍사스 유토 전쟁]] 양면전선에서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데 성공해 '''향후 [[텍사스 대통령|대통령]] 적임자로 거론되기 시작한다.'''
| |
| | |
| [[텍사스 제5공화국]]에서는 [[슬란 도이치]]의 여러 암시적인 발언으로 인해 대통령이 바뀌는 분위기였고, 상부에서는 어느정도 결정된 사안이였다. 최종적으로 2023년 07월부터 향후 방향성[* [[텍사스 공화국]] 재건을 시도하지만, 이러한 시도가 꺾인다면 과도기를 가지는 방향으로 정해졌다.]이 정해질 때까지 [[이하연]]이 대통령을 맡았으며, 방향성이 정해지자 2023년 08월에 [[텍사스 제5공화국]] [[텍사스 대통령|제3대 대통령]]이 된다.
| |
| | |
| [[텍사스 대통령|대통령]]이 된 이후로 [[텍사스 공화국]] 재건을 시도했으나 [[텍사스 부통령|부통령]]의 직무유기[* 당시 부통령은 [[최서영]]과 [[파댕댕댕]]이였다.], 분쟁만 지속하는 정치계[* [[최서영]]의 직무유기를 두고 [[파댕댕댕]]과 [[오트]]가 맹비난을 퍼부었지만 정작 [[파댕댕댕]]도 [[텍사스 부통령 선거|부통령 선거]] 당선 이후 직무유기를 하며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반정치적 의제 현상]] 증가 등의 요인으로 [[텍사스 공화국]]은 반영구적인 과도기를 가지게 되었다.
| |
| | |
| === 횅진국의당 ===
| |
| {{본문|횅진국의당}}
| |
| | |
| === 무소속 ===
| |
| | |
| === 제도개혁당 ===
| |
| | |
| == 멜리나 국제올림픽위원회 ==
| |
| | |
| === 초대 사무총장 ===
| |
| | |
| ==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
| |
| {{본문|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 |
| | |
| {{익스테딕 역대 대통령}}
| |
| | |
| {{익스테딕 역대 부통령}}
| |
| | |
| {{익스테딕 역대 국무총리}}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41479E;"
| |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역대 선거 벽보
| |
| |-
| |
| | <div class="mw-customtoggle-Eunha-ye_election_history"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Eunha-ye_election_history"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4px 2px;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margin: 0px -15px -15px -3px; width: calc(100% + 6px); border-right: 2px; solid #003E98;"
| |
| | colspan="1" style="width: 50%"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익스테딕 제16대 대선 카르야킨 후보 포스터.png]]</div>
| |
| | colspan="1" style="width: 50%"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익스테딕 제16대 대선 카르야킨 후보 포스터 2.png]]</div>
| |
| |-
| |
| | colspan="2" | [[익스테딕 제 16대 대선|{{{#000000 제16대 대통령 선거}}}]]
| |
| |-
| |
| | colspan="1" style="width: 50%"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익스테딕 제2대 부선 세르히 카르야킨 후보 포스터.png]]</div>
| |
| | colspan="1" style="width: 50%"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익스테딕 제19대 대선 세르히 카르야킨 후보 최종 포스터.png]]</div>
| |
| |-
| |
| | colspan="1" | [[익스테딕 제 2대 부선|{{{#000000 제2대 부통령 선거}}}]]
| |
| | colspan="1" | [[익스테딕 제 19대 대선|{{{#000000 제19대 대통령 선거}}}]]<Br>[[익스테딕 제 20대 대선|{{{#000000 제20대 대통령 선거}}}]]
| |
| |-
| |
| | colspan="1" style="width: 50%"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익스테딕 제21대 대선 세르히 카르야킨 후보 포스터.png]]</div>
| |
| | colspan="1" style="width: 50%"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익스테딕 제8대 부선 세르히 카르야킨 후보 포스터.png]]</div>
| |
| |-
| |
| | colspan="1" | [[익스테딕 제 21대 대선|{{{#000000 제21대 대통령 선거}}}]]
| |
| | colspan="1" | [[익스테딕 제 8대 부선|{{{#000000 제8대 부통령 선거}}}]]
| |
| |-
| |
| |}</div></div>
| |
| |}
| |
| | |
| === 조국 ===
| |
| {{본문|익스테딕 조국}}
| |
| | |
| 2023년 08월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정치|익스테딕 정치계]]에 입문해 [[익스테딕 조국|조국]]에 입당, [[익스테딕 제11대 국회의원 총선거|제11대 총선]]에서 준수한 성적을 거둬 비례대표 의원으로 활동한다. 허나, 점차 [[익스테딕 조국|조국]] 당 대표 [[빌헬름 3세|프리고진]]과 정치적 견해가 크게 엇갈려[* [[빌헬름 3세|프리고진]]은 '''우익 표퓰리즘, 급진보수주의, 군국주의''' 등의 사상을 견지했으나 '''세르히 카르야킨'''은 표퓰리즘과 권위주의를 싫어해 금방 결별하게 되었다.] [[익스테딕 조국|조국]]을 탈당하고 [[익스테딕 통합민주당|통합민주당]]에 입당한 뒤 [[익스테딕 통합민주당|통합민주당]] 비례대표 의원으로 [[믹스 대통령 탄핵]]을 주도한다.[* 이에 [[익스테딕 기분전환|기분전환]], [[전진하는 익스테딕|전익당]]이 동조하였다.]
| |
| | |
| === 통합민주당 ===
| |
| {{본문|익스테딕 통합민주당}}
| |
| | |
| [[익스테딕 제 14대 대선|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익스테딕 통합민주당|통합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익스테딕 기분전환|기분전환]] [[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 후보, 무소속 [[시프릭]] 후보와 다자 구도를 형성했으나 최종 18.92%를 득표[* 7표를 득표해 2등으로 나름 선전하였다.]해 18.92%의 표차로 낙선한다. 이후 [[익스테딕 시민의 정부|시민의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직무하며 정치적 입지[* [[시프릭]]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대통령]]에게 [[익스테딕 통합민주당|통합민주당]] 입당을 제안하거나, 대통령 불신임 제도에 대한 찬성 여론을 키우는 등 '''자신이 하고자 하는 걸 뚜렷히 했다.''']를 확보했다.
| |
| | |
| ==== 제14대 국무총리 ====
| |
| | |
| ==== 제14대 대통령 권한대행 ====
| |
| [[시프릭 대통령 탄핵]] 당시, [[익스테딕 기분전환|기분전환]] [[UDAR]] 비례대표 의원과 함께 탄핵안에 대해 회의적/부정적인 견해를 유지[* '[[Mix|전임 대통령]]의 행보에 비해 직무유기라 보기 어렵고 직무태만이라 가정해도 개선의 여지가 있으며 꾸준히 활동을 이어가고 있기에 탄핵의 근거가 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견지했다.]했다. 하지만 결국 탄핵안이 가결되기 직전 시프릭이 사퇴하며 [[익스테딕 시민의 정부#카르야킨 권한대행 체제|카르야킨 권한대행 체제]]에 돌입하여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직무를 수행한다. 그 영향으로 지지 세력을 확보하며 여권의 유력한 대권주자로 부상하게 된다.
| |
| | |
| ==== 제15대 대통령 ====
| |
| [[익스테딕 제 15대 대선|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다시 한 번 더 [[익스테딕 통합민주당|통합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익스테딕 기분전환|기분전환]] [[낙지]] 후보와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자신의 지지 세력을 주축으로 한 단일화를 추진하였다.] 최종 57.45%를 득표[* 27표를 득표하였다.]해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익스테딕 제15대 대통령]]에 당선된다.
| |
| | |
| === 제도개혁당 ===
| |
| {{본문|익스테딕 제도개혁당}}
| |
| | |
| {{익스테딕 제도개혁당 역대 당대표}}
| |
| | |
| ==== 제16대 대통령 ====
| |
| [[익스테딕 제 16대 대선|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익스테딕 제도개혁당|제도개혁당]] 소속으로 출마해 [[익스테딕 통합자유당|통합자유당]] [[브리튼]] 후보와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자신의 지지 세력을 주축으로 한 단일화를 추진하였다.] 최종 51.85%를 득표[* 28표를 득표하였다.]해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익스테딕 제16대 대통령]]에 당선된다.
| |
| | |
| ==== 제17대 국무총리 ====
| |
| | |
| ==== 법무장관 ====
| |
| | |
| ==== 제20대 대통령 ====
| |
| [[익스테딕 제 20대 대선|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익스테딕 제도개혁당|제도개혁당]] 소속으로 출마해 [[익스테딕 새로운마음당|새로운마음당]] [[제이미 안철수]] 후보와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최종 41.67%를 득표[* 5표를 득표하였다.]해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익스테딕 제20대 대통령]]에 당선된다.
| |
| | |
| ==== 제21대 대통령 ====
| |
| [[익스테딕 제 21대 대선|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익스테딕 제도개혁당|제도개혁당]] 소속으로 출마해 [[익스테딕 국가복고당|국가복고당]] [[퍼픽]] 후보와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최종 52.38%를 득표[* 11표를 득표하였다.]해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익스테딕 제21대 대통령]]에 당선된다.
| |
| | |
| ==== 재무장관 ====
| |
| | |
| ==== 제8대 부통령 ====
| |
| [[익스테딕 제 8대 부선|제8대 부통령 선거]]에서는 [[익스테딕 제도개혁당|제도개혁당]] 소속으로 출마해 [[익스테딕 열린우리당|열린우리당]] [[제이미 안철수]] 후보와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최종 50.00%를 득표[* 11표를 득표하였다.]해 결선에서 54.55%[* 12표를 득표하였다.]를 득표하면서 [[익스테딕 공화국 부통령|익스테딕 제8대 부통령]]에 당선된다.
| |
| | |
| ==== 제24대 대통령 ====
| |
| [[익스테딕 제 24대 대선|제24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익스테딕 제도개혁당|제도개혁당]] 소속으로 출마해 [[익스테딕 더나은내일|더나은내일]] [[이들]] 후보와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최종 62.50%를 득표[* 5표를 득표하였다.]해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익스테딕 제24대 대통령]]에 당선된다.
| |
| | |
| === 운영위원회 ===
| |
| {{본문|익스테딕 운영부}}
| |
| | |
| ==== 운영위원 의장 ====
| |
| {{본문|익스테딕 운영위원 의장}}
| |
| | |
| == 대한민국 ==
| |
| {{본문|[[대한민국(카카오톡 가상국가)|대한민국]]}}
| |
| | |
| 2023년 10월 [[대한민국(카카오톡 가상국가)의 정치|대한민국 정치계]]에 입문해 [[대한민국 자유의 새벽당|자유의 새벽당]]에 입당, [[대한민국(카카오톡 가상국가) 제3대 총선|제3대 총선]]에서 아쉬운 성적을 거둔다.
| |
| | |
| === 자유의 새벽당 ===
| |
| {{본문|대한민국 자유의 새벽당}}
| |
| | |
| == 브라반트 공화국 ==
| |
| {{본문|브라반트 공화국}}
| |
| | |
| === 미래민주당 ===
| |
| {{본문|브라반트 미래민주당}}
| |
| | |
| ==== 제1대 평화 회의 의원 ====
| |
| 2023년 11월 [[브라반트 공화국의 정치|브라반트 정치계]]에 입문해 [[브라반트 미래민주당|미래민주당]]에 입당, [[브라반트 공화국#11.16 브라반트 정치 대립사건|11.16 사건]] 이후 [[브라반트 평화 회의]] 의원으로 활동한다.
| |
| | |
| == 영국연방 ==
| |
| {{본문|영국연방}}
| |
| | |
| {{틀:영국총리}}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1b3862;"
| |
| ! style="background: #1b3862; color: #FFF;" | 역대 선거 벽보
| |
| |-
| |
| | <div class="mw-customtoggle-Eunha-ye_election_history"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Eunha-ye_election_history"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4px 2px;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margin: 0px -15px -15px -3px; width: calc(100% + 6px); border-right: 2px; solid #003E98;"
| |
| | colspan="1" style="width: 50%"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영국연방 제3대 총리 선거 세르히 카르야킨 후보 포스터.png]]</div>
| |
| | colspan="1" style="width: 50%" |
| |
| |-
| |
| | colspan="1" | [[영국연방|{{{#000000 제3대 총리 선거}}}]]
| |
| | colspan="1" |
| |
| |-
| |
| |}</div></div>
| |
| |}
| |
| | |
| === 자유연합당 ===
| |
| {{본문|영국연방 자유연합당}}
| |
| | |
| ==== 제3대 총리 ====
| |
| | |
| == 대한국 ==
| |
| {{본문|[[대한국(광영제)|대한국]]}}
| |
| | |
| === 민주통합당 ===
| |
| {{본문|대한국 민주통합당}}
| |
| | |
| == 미합중국 ==
| |
| {{본문|[[미합중국(카카오톡)|미합중국]]}}
| |
| | |
| === 자유지상당 ===
| |
| {{본문|미합중국 자유지상당}}
| |
| | |
| ==== 제4대 대통령 ====
| |
| | |
| == 은하 제국 ==
| |
| {{본문|은하 제국}}
| |
| | |
| === 무소속 ===
| |
| | |
| ==== 부르봉 제국의원 ====
| |
| | |
| ==== 부수상 ====
| |
| | |
| ==== 수상 권한대행 ====
| |
| | |
| === 보수당 ===
| |
| | |
| === 공화개혁당 ===
| |
| | |
| == 스페인 제국 ==
| |
| {{본문|스페인 제국}}
| |
| | |
| {{스페인 역대 수상}}
| |
| | |
| === 무소속 ===
| |
| | |
| ==== 제1대 수상 ====
| |
| | |
| === 제도개혁당 ===
| |
| | |
| ==== 제2대 수상 ====
| |
| | |
| == 도둑 제국 ==
| |
| {{본문|[[제국(도둑)|도둑 제국]]}}
| |
| | |
| === 무소속 ===
| |
| | |
| ==== 제3대 재상 ====
| |
| | |
| = 사상 변천사 =
| |
| | |
| == 정치관 ==
| |
| | |
| === 사회실험체론 ===
| |
| | |
| ==== 자주카국론 ====
| |
| {{본문|자주카국론}}
| |
| | |
| ===== 반정치적 의제 현상 =====
| |
| {{본문|반정치적 의제 현상}}
| |
| | |
| === 지공주의 ===
| |
| | |
| === 자유지상주의적 소렐주의 ===
| |
| | |
| ==== 반부르주아 민주주의 ====
| |
| | |
| ==== 반근대적 진보주의 ====
| |
| | |
| ==== 반세속주의 ====
| |
| | |
| === 제도개혁주의 ===
| |
| | |
| ==== 사법 민영화 ====
| |
| | |
| ==== 할당제 비판 ====
| |
| | |
| == 경제관 ==
| |
| | |
| === 경제적 자유주의 ===
| |
| | |
| == 사회관 ==
| |
| | |
| === 동성애 ===
| |
| | |
| = 체스 변천사 =
| |
| '''세르히 카르야킨'''은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익스테딕 공화국]]의 체스 국가대표 선수이다.
| |
| | |
| == 래피드 ==
| |
| | |
| === 레이팅 1300 ===
| |
| * 2023년 09월 03일, 래피드 레이팅 '''1331'''을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1월 14일, 래피드 레이팅 '''1335'''를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1월 16일, 래피드 레이팅 '''1350'''을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1월 18일, 래피드 레이팅 '''1378'''을 달성했다.
| |
| | |
| === 레이팅 1400 ===
| |
| * 2024년 01월 21일, 래피드 레이팅 '''1404'''를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1월 23일, 래피드 레이팅 '''1426'''을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1월 26일, 래피드 레이팅 '''1429'''를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1월 27일, 래피드 레이팅 '''1435'''를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1월 28일, 래피드 레이팅 '''1443'''을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1월 29일, 래피드 레이팅 '''1451'''을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1월 30일, 래피드 레이팅 '''1459'''를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1월 31일, 래피드 레이팅 '''1466'''을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2월 01일, 래피드 레이팅 '''1474'''를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2월 02일, 래피드 레이팅 '''1481'''을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2월 03일, 래피드 레이팅 '''1488'''을 달성했다.
| |
| | |
| === 레이팅 1500 ===
| |
| * 2024년 02월 04일, 래피드 레이팅 '''1502'''를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2월 05일, 래피드 레이팅 '''1510'''을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2월 07일, 래피드 레이팅 '''1525'''를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2월 10일, 래피드 레이팅 '''1541'''을 달성했다.
| |
| | |
| === 레이팅 1600 ===
| |
| * 2024년 06월 26일, 래피드 레이팅 '''1681'''을 달성했다.
| |
| | |
| == 블리츠 ==
| |
| | |
| === 레이팅 1000 ===
| |
| * 2024년 01월 22일, 블리츠 레이팅 '''1057'''를 달성했다.
| |
| | |
| === 레이팅 1200 ===
| |
| * 2024년 01월 24일, 블리츠 레이팅 '''1205'''를 달성했다.
| |
| | |
| * 2024년 04월 30일, 블리츠 레이팅 '''1249'''를 달성했다.
| |
| | |
| === 레이팅 1300 ===
| |
| * 2024년 06월 19일, 블리츠 레이팅 '''1374'''를 달성했다.
| |
| | |
| == 불렛 ==
| |
| | |
| === 레이팅 1100 ===
| |
| * 2023년 08월 04일, 불렛 레이팅 '''1176'''을 달성했다.
| |
| | |
| === 레이팅 1200 ===
| |
| * 2024년 06월 03일, 불렛 레이팅 '''1230'''을 달성했다.
| |
| | |
| === 레이팅 1400 ===
| |
| * 2024년 06월 13일, 불렛 레이팅 '''1431'''을 달성했다.
| |
| | |
| = 대인 관계 =
| |
| 대인 관계가 상당히 복잡한 편이다.
| |
| | |
| == 텍사스 공화국 ==
| |
| ㆍ도이치<small>(제1·2·3·4·6·7·8대 대통령)</small> :
| |
| | |
| ㆍ이하연<small>(제9대 대통령)</small> :
| |
| | |
| ㆍ디보<small>(제13대 부통령)</small> :
| |
| | |
| ㆍ스로키<small>(제20대 부통령)</small> :
| |
| | |
| ㆍ김민아<small>(제21대 부통령)(도이치 영부인)</small> :
| |
| | |
| ㆍ최서영<small>(제25대 부통령)</small> :
| |
| | |
| ㆍ유민<small>(제27대 부통령)</small> :
| |
| | |
| ㆍ푸키 :
| |
| | |
| == 익스테딕 공화국 ==
| |
| ㆍ카디체<small>(제1대 대통령)</small> :
| |
| | |
| ㆍ빅파이<small>(제2대 대통령)(제6대 국무총리)</small> :
| |
| | |
| ㆍ막장<small>(제3대 대통령)</small> : '''가장 존경하는 대통령.'''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익스테딕 공화국]]의 역대 대통령 중 '가장 건국 위인으로 불릴 만한 정치인'이라고 평가하는 등 치적을 높게 샀다.
| |
| | |
| [[익스테딕 통합민주당|통합민주당]]과 [[익스테딕 참여당|참여당]]의 범좌파 진영으로서 좋은 관계를 유지했으나 [[12.3 테러]] 이후 관계가 점점 소원해지고 있어 아쉬움을 표했다.
| |
| | |
| ㆍ뽀옹시<small>(제4대 대통령)</small> : 텐의 사면 제안으로 사면 직후 [[익스테딕 제도개혁당|제도개혁당]]으로 영입하여 오랜 인연이 이어졌으나 시험 기간 즈음 연락이 두절되어 아쉬움을 표했다.
| |
| | |
| ㆍ교차로<small>(제5·10·11대 대통령)(제3대 국무총리)</small> : '''가장 오랜 정치적 라이벌.''' 여타 친텐계인 텐, 낙지, 이스라엘, 믹스, 영에 대해서는 정치적으로 논할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반대로 교차로는 정치적인 배움과 진지함이 있어서 정견이 달라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편이다.
| |
| | |
| 정치계에서는 [[익스테딕 조국|조국]] 당원일 때 처음 만났으며, [[익스테딕 제 14대 대선|제14대 대통령 선거]] 기점으로 접점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 |
| | |
| 10월 즈음에는 대통령제^^(세르히 카르야킨)^^를 해야 할지 의원내각제^^(교차로)^^를 해야 할지에 대해서 깊은 논쟁을 한 적도 있다.
| |
| | |
| 뽀옹시 사면 직후로 급격하게 사이가 격화되었다. 그로부터 7개월이 지나 [[프잔티움 제국]]에서 뽀옹시 사면의 첫 제안자는 텐이라고 알려주니 묘한 반응을 보였다고.
| |
| | |
| 최근에는 교차로가 [[12.3 내란 세력]]에 합류하여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덕인지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익스테딕 공화국]]의 대통령과 국무총리 예우도 상당히 늦게 박탈한 편이다.
| |
| | |
| ㆍ조선<small>(제6·7대 대통령)(제7·8·11·12대 국무총리)</small> :
| |
| | |
| ㆍ브리튼<small>(제8대 대통령)(제2대 국무총리)</small> : [[익스테딕 제 16대 대선|16대 대통령 선거]] 직전에 처음 만났으며,
| |
| | |
| ㆍ믹스<small>(제9·12·13대 대통령)(제9대 국무총리)</small> :
| |
| | |
| ㆍ시프릭<small>(제14대 대통령)</small> : '''가장 좋아하는 대통령.'''
| |
| | |
| ㆍ수수<small>(제17대 대통령)</small> :
| |
| | |
| ㆍ에리히<small>(제18대 대통령)(제16·22대 국무총리)(제2대 운영위원 의장)(제3·5대 운영위원 부의장)</small> : {{명언1|안녕하십니까,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 |
| 전임 운영위원 의장, 세르히 카르야킨입니다.
| |
| | |
| 저는 이번 제22대 대선에서 에리히를 선택했습니다.
| |
| 그런데 많은 분들이 "정권 교체할 때 아니냐?" 이렇게 물었습니다.
| |
| "누가 대통령감이냐?", "누가 대통령이 되어야 이 나라가 잘될 거냐?"
| |
| 이렇게 묻지 않습니다. 참 답답한 일입니다.
| |
| | |
| | |
| | |
| 불과 1개월 전에도 그랬습니다.
| |
| "누가 대통령이 되어야 이 난국을 풀어갈 수 있겠느냐?"
| |
| 이렇게 묻질 않고,
| |
| "정권교체 안하냐?"
| |
| 이렇게 물었습니다.
| |
| | |
| 1개월 전, 퍼픽은
| |
| "텍사스를 복고해야 한다"
| |
| 이렇게 말했습니다.
| |
| 망한 나라를 복고시키려는 사람이 대통령이 되면
| |
| 나라가 큰일이 날 것이라고 여러분들께 간곡히 호소했습니다.
| |
| 그러나 그는 이번에 대통령으로 뽑혔습니다.
| |
| | |
| 왜 이렇게 됐습니까?
| |
| "정권교체 할 때 아니냐?"
| |
| 이 한 마디 때문이였습니다.
| |
| 많은 국민들은 정권교체할 때 아니냐는 한 마디로 그를 대통령으로 뽑아주었습니다.
| |
| 그리고 지금, 이 나라는 엉망이 되고 말았습니다.
| |
| | |
| 그는 이 위기 사태에 대한 모든 책임을 다른 이에게 뒤집어 씌우고 있습니다.
| |
| 1개월 전, 자기 자신과 닮아도 너무나 닮았습니다.
| |
| 단 모래 한 줌도 바뀌지 않았습니다.
| |
| 만일, 그들이, 소위 말하는 대로 정권 재창출에 성공한다면
| |
| 이 나라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정말 걱정입니다.
| |
| | |
| 국정은 대통령이 맡습니다.
| |
| 장관 바꾸고, 부처 바꾸고, 정부 이름 바꾼다고 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 |
| 대통령이 바뀌어야 국정이 바뀝니다.
| |
| 반드시 야권이 차기 총선과 대선에서 승리하여야 합니다.
| |
| | |
| 이번만큼은 우리 유권자 여러분들이 달라져야 합니다.
| |
| 우리는 우선 나라부터 살리고 봐야 합니다.
| |
| 누가 자질과 능력이 있는지는 여러분들도 잘 알고 계시지 않습니까?
| |
| 여러분들도 역대 정부를 보셨지 않습니까?...|–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5월 06일</small>}}
| |
| | |
| ㆍ텐<small>(제19대 대통령)(제1대 운영자)</small> : '''천하가 자기 것인 줄 알아 방자하게 굴고 겉과 속이 다른 악인.''' 마치 정치 계산기만 두들기는 사람 같다고 말했으며, 정치인보다 정치질을 잘해 본인도 알게 모르게 이용당한 거 같아 매우 분노스럽다고 말하였다.
| |
| | |
| 뽀옹시 사면론을 처음 제안하거나 뽀옹시 사면을 반대한 낙지, 교차로, 믹스의 항거에 제일 앞장서놓고 [[12.3 테러]]를 기점으로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익스테딕 공화국]]에서 활동하는 뽀옹시를 향해 근거 없는 비난을 쏟더니, 정작 뽀옹시가 [[12.3 내란 세력]]에 방문하자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비난을 멈춘 모습을 보고 '사람이 아니다'라고 느꼈다 한다.
| |
| | |
| [[익스테딕 제 19대 대선|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텐과 양강 구도를 형성해 텐이 근소하게 당선하였는데, 낙지와 브리튼이 측근을 데려와 선거 놀음을 하자 비대위를 운영했던 과거는 전혀 잊은 채 친텐 세력을 두루두루 데려와 어떻게든 선거를 이기는 모습에 '가지가지한다'고 느꼈다 한다.
| |
| | |
| 정작 대통령이 된 뒤 아무것도 하지 않아 국가가 60명을 바라보고 있었는 데도 불구하고 자신은 일을 잘했다며 지지자들을 결집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모습에 비판을 하였으나, 정작 텐과 그 지지자들은 계속 결사옹위하는 모습에 언쟁이 격화되었는데 이 상황에서 영이 '유익스 테러해버렸어야 한다'는 도발을 하자 영을 추방한 상황에서 텐과 이스라엘이 영의 말이 맞다며 옹호하자 국가적 도발로 간주해 [[12.3 내란]]이 재개된 것이였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
| | |
| [[12.3 내란]]이 재개된 후, 텐은 '세르히 카르야킨을 최초로 대통령 선거에서 이겼다'며 자신의 치적은 모두 묻어버리고 선동하는 모습에 경악을 금치 않을 수 없었다고 한다.
| |
| | |
| ㆍ퍼픽<small>(제22대 대통령)(제23·25대 국무총리)</small> : '''서당개 1년.''' 아무런 배움도 없고 진지함도 없으며 자신에 대한 과대 평가가 심할 뿐더러 허례허식까지 심해서 정치인으로서의 자질이 도저히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 오죽하면 이런 평가까지 남겼을 정도.
| |
| | |
| {{명언1|좋은 일이 생기면 머리가 나빠지고
| |
| 나쁜 일이 생기면 머리가 좋아진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5월 13일</small>}}
| |
| | |
|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익스테딕 공화국]]과 [[유피스 제국]]의 수교 체결로 처음 만났으며, [[12.3 내란]]이 재개된 직후 정치적인 라이벌로 급부상하게 된다.
| |
| | |
| [[익스테딕 제 22대 대선|제22대 대통령 선거]]에서 퍼픽과 양강 구도를 형성해 퍼픽이 근소하게 낙선하였는데, 이를 두고 퍼픽이 부재자 투표 부정 선거 아니냐며 불복하는 모습을 보고 처음으로 '한심하다'고 느꼈다 한다.
| |
| | |
| 퍼픽이 잠시 국무총리를 맡은 적이 있는데, 자신 덕에 국가가 이 정도까지 성장한 것이라며 방자하게 구는 모습에 슬슬 한계심을 느끼기 시작했다.
| |
| | |
| [[익스테딕 제 23대 대선|제2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퍼픽과 에리히가 양강 구도를 형성해 퍼픽이 근소하게 당선하였는데, 이때는 명백한 제3자의 부정 선거 정황이 있었으며 선거 종료 몇 시간 전까지 운영위원회 조치에 반발하며 재선거를 주장하다가 선거가 결국 자신의 승리로 이어지자 선거 불복을 돌연 하지 않는 모습에 다시 한 번 '한심하다'고 확실히 느꼈다 한다.
| |
| | |
| 이후 [[12.3 내란 세력]]이 퍼픽한테 몰래 접근해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익스테딕 공화국]]을 터트리면 5만원을 주겠다는 제안을 했고, 아템의 조언으로 퍼픽은 이 사실을 운영위원회 측에 몰래 전달하였다. 그런데 자의로 전달한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감사하라는 둥, 5만원이면 꽁돈이 아니라며 5만원에 터트리고 새로 파는 게 어떻냐는 둥, 대통령이란 사람이 도저히 할 수 있는 말인가 싶어 엄청난 충격을 먹었다고 한다.
| |
| | |
| [[퍼픽 대통령 탄핵소추]] 당시에는 자신의 잘못을 단 하나도 인정하지 않으며, 되려 차기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겠다는 당당한 모습을 보여 '사람을 잘못 봤다'고 느꼈다 한다.
| |
| | |
| [[6.11 비상사태]]로 국가가 위험에 빠졌을 때에는 국무총리라는 직의 막중함을 느끼지 못하고 깃털 떠버리듯 내란 세력으로 떠버리는 모습에 이지은이 그렇게 탄핵을 하려는 이유가 이제서야 이해가 되었다고 한다.[* 정작 [[퍼픽 대통령 탄핵소추]] 당시에는 퍼픽이 직무수행을 제대로 잘 수행하면 탄핵소추를 한 번 물러볼 의향도 있다고 할 정도로 인자했으나, 퍼픽은 이를 대차게 깠다.]
| |
| | |
| 이외에도 많은 정신나간 행동에 더이상 퍼픽을 보고 싶지 않다고 밝혔으며 운영위원회 체제를 틈타 모든 예우를 박탈하였으며 조만간 입국 금지까지 조치할 예정이라고 한다.
| |
| | |
| ㆍ노진구<small>(제23대 대통령)(제3대 부통령)(제18대 국무총리)</small> :
| |
| | |
| ㆍ완전 비행<small>(제1대 부통령)</small> :
| |
| | |
| ㆍ함태희<small>(제2대 부통령)(제20대 국무총리)</small> :
| |
| | |
| ㆍ낙지<small>(제4대 부통령)</small> :
| |
| | |
| ㆍ이스라엘<small>(제5대 부통령)(제15·21대 국무총리)</small> :
| |
| | |
| ㆍ월드<small>(제6대 부통령)(제10대 국무총리)(운영위원)</small> :
| |
| | |
| ㆍ카이저<small>(제7대 부통령)</small> :
| |
| | |
| ㆍ루카스<small>(제13대 국무총리)</small> :
| |
| | |
| ㆍ은하예<small>(제19대 국무총리)(운영위원)</small> :
| |
| | |
| ㆍ고래<small>(제24대 국무총리)</small> :
| |
| | |
| ㆍ이공팔공<small>(대법원장)</small> :
| |
| | |
| ㆍ이지은<small>(대법원장)(국회의장)</small> :
| |
| | |
| ㆍ강태공<small>(대법원장)</small> :
| |
| | |
| ㆍ영<small>(제2대 부운영자)</small> :
| |
| | |
| ㆍ다이노<small>(제1대 운영위원 부의장)</small> :
| |
| | |
| ㆍ도도<small>(제2대 운영위원 부의장)</small> :
| |
| | |
| ㆍ초고<small>(제4대 운영위원 부의장)</small> :
| |
| | |
| ㆍ알레프<small>(운영위원)</small> :
| |
| | |
| ㆍ크로스<small>(운영위원)</small> :
| |
| | |
| ㆍ병아리<small>(운영위원)</small> :
| |
| | |
| ㆍ빌헬름 :
| |
| | |
| ㆍ이강현 :
| |
| | |
| ㆍ레고 :
| |
| | |
| ㆍ낙지 :
| |
| | |
| ㆍ유니온 :
| |
| | |
| ㆍ초총칼 :
| |
| | |
| ㆍ샤를 :
| |
| | |
| ㆍ신검 :
| |
| | |
| ㆍ겔만 :
| |
| | |
| ㆍ솔로부대 :
| |
| | |
| ㆍ엥스 :
| |
| | |
| ㆍ고색봇 :
| |
| | |
| ㆍ하로칸 :
| |
| | |
| ㆍ양유진 :
| |
| | |
| ㆍ공백 :
| |
| | |
| ㆍ설하 :
| |
| | |
| ㆍ빈센트 :
| |
| | |
| ㆍ제이미 안철수 :
| |
| | |
| ㆍ수인사는세상 :
| |
| | |
| ㆍ이벨벳 :
| |
| | |
| ㆍ성수 :
| |
| | |
| ㆍ무덕이 :
| |
| | |
| ㆍ히틀러 :
| |
| | |
| ㆍ네르마트 :
| |
| | |
| ㆍ별환 :
| |
| | |
| ㆍ루스 :
| |
| | |
| ㆍ픽픽시 :
| |
| | |
| ㆍ유다르 :
| |
| | |
| ㆍ우라늄 :
| |
| | |
| ㆍ미나모토 유토 :
| |
| | |
| ㆍTHD :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익스테딕 공화국]]을 건국한 사람으로서 친텐계의 폭정에 오랜 세월 저항한 공로를 인정하여 정치적 인물로 키워주려 했었다. 그러나..
| |
| | |
| 자꾸만 믿음을 져버리는 행동을 보여 반쯤 포기한 상태이다.
| |
| | |
| == 스페인 제국 ==
| |
| ㆍ룬트슈테트<small>(제1대 부수상)</small> :
| |
| | |
| == 그 외 ==
| |
| ㆍ아템 :
| |
| | |
| ㆍ도적 :
| |
| | |
| ㆍ아덴 :
| |
| | |
| ㆍ호사 :
| |
| | |
| ㆍ진우 :
| |
| | |
| ㆍ사과 :
| |
| | |
| {{명언1|「 인류 제국의 인류애 」
| |
| 사과는, 인류 제국은, 인류 제국군은, 카카오톡 가상국가를 보드 게임으로 착각하고 있다. 하지만 워해머는 인류 제국의 현실을 대변해주지 않는다.
| |
| | |
| 워해머에서는 지구를 단번에 통합하고 은하를 정복하여 수호하는 국가로 묘사되지만, 카카오톡 가상국가에서는 여론조차 다스리지 못하여 철새를 고용해 지지 세력이 방만해보이게 만드는 추태를 부리고 있다.
| |
| | |
| 이러한 괴리감은 인류 제국을 단결시키는 한편, 외부 세계에서 인류 제국을 단절시키는 요소가 되었다. 인류 제국이 말하는 대의는 그저 보드 게임에서만 존재했다.
| |
| | |
| 은하예가 먹은 사과는 독사과였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2월 19일</small>}}
| |
| | |
| ㆍ판다 :
| |
| | |
| ㆍ김종필 :
| |
| | |
| ㆍ범 :
| |
| | |
| ㆍ엠트 :
| |
| | |
| ㆍ요들 :
| |
| | |
| ㆍ하카 :
| |
| | |
| ㆍ프컨 :
| |
| | |
| ㆍ흑팡 :
| |
| | |
| ㆍ이훈 :
| |
| | |
| ㆍ도둑 :
| |
| | |
| ㆍ규리 :
| |
| | |
| ㆍ태진 :
| |
| | |
| ㆍ태풍 :
| |
| | |
| ㆍ궤양 :
| |
| | |
| ㆍ류다 :
| |
| | |
| ㆍ리처드 닉슨 :
| |
| | |
| ㆍ루아 :
| |
| | |
| ㆍ린스 :
| |
| | |
| ㆍNTT :
| |
| | |
| ㆍ버지니아 :
| |
| | |
| ㆍ브라보 :
| |
| | |
| ㆍ훈련 교관 :
| |
| | |
| ㆍ시명 :
| |
| | |
| = 타이틀 =
| |
| ||<width=100><#123456><-2> {{{#ffffff '''타이틀'''}}} ||<width=100><#123456> {{{#ffffff '''비고'''}}} ||
| |
| ||<|2> '''임기 행보''' ||
| |
| || 가네포 개회 선언을 한 첫 번째 대통령 || – ||
| |
| ||<|2> '''여론조사''' ||
| |
| || 최다 지지율 역대 최고[br]50.00% ||<|2>[* HJ NEWS]||
| |
| | |
| = 어록 =
| |
| {{명언1|자유주의에 관한 모든 정책은 충분히 검토될 필요성이 있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3년 11월 14일</small>}}
| |
| | |
| {{명언1|가상국가를 하면서 후회하고 있다면 가상국가를 잘못하고 있는 것이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1월 08일</small>}}
| |
| | |
| {{명언1|비판이야 말로 최고의 지름길이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1월 14일</small>}}
| |
| | |
| {{명언1|국민 여러분,
| |
| 현재 12.3 내란 세력은
| |
| 우리가 제안한 평화 제안의
| |
| 진정성을 의심하고 있습니다.
| |
| | |
| | |
| 하지만,
| |
| 평화는 진정성에 의해
| |
| 구축되는 것이 아닙니다.
| |
| 이는 검증할 수 없을 뿐더러,
| |
| 옳고 그름을 따질 수도 없습니다.
| |
| | |
| | |
| 합리적인지, 민복(民福)에 도움될지,
| |
| 그것이 국민들이 바라는 것입니다.
| |
| 양측 국민들의 바램에 노력하겠습니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4월 17일</small>}}
| |
| | |
| {{명언1|우리는 중립인 여러분을
| |
| | |
| 위협하거나 협박하지 않습니다.
| |
| | |
| 여러분은 중립이 될 권리가 있고,
| |
| | |
| 제약을 받지 아니할 권리가 있습니다.
| |
| | |
| | |
| 허나 12.3 내란 세력은
| |
| | |
| 중립인을 모두 자기네 편으로
| |
| | |
| 억지로, 강제로, 무력으로,
| |
| | |
| 만들려 하고 있습니다.
| |
| | |
| | |
| 부당한 힘은 부당한 결과를
| |
| | |
| 만들고 또 만들 뿐입니다.
| |
| | |
| 우리는 중립인 여러분을
| |
| | |
| 언제나 기다리고 있습니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4월 17일</small>}}
| |
| | |
| = 여담 =
| |
| * 백으로는 퀸스 갬빗, 흑으로는 e4 상대로 스칸디나비안 디펜스 혹은 시실리안 디펜스, d4 상대로 퀸스 폰 오프닝, c4 상대로 킹스 잉글리시 바리에이션을 선호한다.
| |
| | |
| * 가장 좋아하는 체스 선수는 아제르바이잔의 체스 그랜드마스터 '''니자트 압아소프'''이며, 2024년 02월 15일부터 2024년 02월 27일까지 [[니자트 압아소프]]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였다.
| |
| | |
| * 대한민국의 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의 당선,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을 예측하였다.
| |
| | |
| * [[12.3 내란 세력]]에서 열리는 제22대 대통령 선거에서 [[교차로]]가 당선할 것을 약 4일 전부터 예측하였다.
| |
| | |
| = 각주 =
| |
| [각주]
| |
| | |
| [[분류:가상국가 유저]]
| |
| [[분류:텍사스 공화국]]
| |
| [[분류: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