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익스테딕 공화국 공식 문서}}
| | #넘겨주기 [[12.3 반란세력]] |
| | |
| ||<-3><tablealign=right><colcolor=#0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5B171D><colbgcolor=#5B171D> '''{{{#000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5B171D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br]{{{+1 슈티르너 정부 | 麥克斯施蒂納政府}}}[Br]<small> Stirner Government</small>}}}''' ||
| |
| ||<-3><bgcolor=#fff,#1f2023> '''{{{#5B171D [[2023년|{{{#000 2023년}}}]] [[10월 5일|{{{#000 10월 05일}}}]] ~ [[2024년|{{{#000 2024년}}}]] [[1월 2일|{{{#000 01월 02일}}}]]}}}''' ||
| |
| ||<-2><width=50%><rowbgcolor=#182E5B><rowcolor=#000> <small>{{{#fff '''제1차 출범 이전'''}}}</small> ||<width=50%> <small>{{{#fff '''제1차 출범 이후'''}}}</small> ||
| |
| ||<-2><bgcolor=#fff,#1f2023> [[익스테딕 시민의 정부|{{{#004ea1 '''시민의 정부'''}}}]] || [[익스테딕 레히트 정부|{{{#000001 '''레히트 정부'''}}}]] ||
| |
| ||<width=25%> '''대통령''' ||<-2>'''[[세르히 카르야킨]]''' <small>/ 제15대, 제16대</small>[Br]'''[[수수]]''' <small>/ 제17대</small>||
| |
| || '''부통령''' ||<-2>'''[[완전 비행]]''' <small>/ 제1대</small>[Br]'''[[이들]]''' <small>/ 제2대</small>||
| |
| || '''국무총리''' ||<-2>'''[[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 <small>/ 제15대</small>[Br]'''[[에리히]]''' <small>/ 제16대</small>[Br]'''[[세르히 카르야킨]]''' <small>/ 제17대</small>[Br]'''[[이회창]]''' <small>/ 제18대</small>||
| |
| || '''여당''' ||<-2>{{통합민주당 (익스테딕)}}<small> (2023. 10. 05. ~ 2023. 10. 22.)</small>[Br]{{익스테딕 제도개혁당}}<small> (2023. 10. 22. ~ 2023. 01. 02.)</small>||
| |
| ||<|3> '''채팅량'''^^(1기)^^ || '''최대''' ||<-2>9,562회||
| |
| || '''평균''' ||<-2>3,631.17회||
| |
| || '''최소''' ||<-2>679회||
| |
| ||<|3> '''채팅량'''^^(2기)^^ || '''최대''' ||<-2>5,929회||
| |
| || '''평균''' ||<-2>2,898,87회 <small>{{{#0000ff ▼ 20.2%p}}}</small>||
| |
| || '''최소''' ||<-2>669회||
| |
| ||<|3> '''채팅량'''^^(3기)^^ || '''최대''' ||<-2>6,087회||
| |
| || '''평균''' ||<-2>2,135.77회 <small>{{{#0000ff ▼ 26.3%p}}}</small>||
| |
| || '''최소''' ||<-2>152회||
| |
| ||<-3><width=50%><rowbgcolor=#182E5B><rowcolor=#000> <small><small>{{{#fff '''근・대・철・학・의・빛・을・보・다'''}}}</small></small>[Br]<small><small>{{{#fff '''미・래・의・정・치・로・초・대・합・니・다'''}}}</small></small> ||
| |
| ||<-3><bgcolor=#fff,#1f2024> '''{{{#5B171D [[2024년|{{{#000 2024년}}}]] [[3월 2일|{{{#000 03월 02일}}}]] ~ [[2024년|{{{#000 2024년}}}]] [[5월 1일|{{{#000 05월 01일}}}]]}}}''' ||
| |
| ||<-2><width=50%><rowbgcolor=#182E5B><rowcolor=#000> <small>{{{#fff '''제2차 출범 이전'''}}}</small> ||<width=50%> <small>{{{#fff '''제2차 출범 이후'''}}}</small> ||
| |
| ||<-2><bgcolor=#fff,#1f2024> [[익스테딕 발전 정부|{{{#0065B3 '''발전 정부'''}}}]] || [[익스테딕 데카르트 정부|{{{#002768 '''데카르트 정부'''}}}]] ||
| |
| ||<width=25%> '''대통령''' ||<-2>'''[[세르히 카르야킨]]''' <small>/ 제20대, 제21대</small>||
| |
| || '''부통령''' ||<-2>'''[[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 <small>/ 제5대</small>[Br]'''[[에리히]]''' <small>/ 권한대행</small>[Br]'''[[월드]]''' <small>/ 제6대</small>[Br]'''[[퍼픽]]''' <small>/ 권한대행</small>[Br]'''[[월드]]''' <small>/ 제6대</small>||
| |
| || '''국무총리''' ||<-2>'''[[에리히]]''' <small>/ 제22대</small>[Br]'''[[이들]]''' <small>/ 권한대행</small>[Br]'''[[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 <small>/ 제23대</small>[Br]'''[[에리히]]''' <small>/ 권한대행</small>[Br]'''[[고래]]''' <small>/ 권한대행</small>[Br]'''[[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 <small>/ 제23대</small>||
| |
| || '''여당''' ||<-2>{{익스테딕 제도개혁당}}<small> (2024. 03. 02. ~ 2024. 04. 13.)</small>[Br]{{익스테딕 공민당}}<small> (2024. 04. 13. ~ 2024. 04. 20.)</small>[Br]{{익스테딕 제도개혁당}}<small> (2024. 04. 20. ~ 2024. 05. 01.)</small>||
| |
| || '''연립여당''' ||<-2>{{익스테딕 개혁의시대}}<small> (2024. 03. 17. ~ 2024. 03. 23.)</small>||
| |
| ||<|3> '''채팅량'''^^(4기)^^ || '''최대''' ||<-2>5,782회||
| |
| || '''평균''' ||<-2>1,992.81회 <small>{{{#fa0000 ▲ 54.9%p}}}</small>||
| |
| || '''최소''' ||<-2>331회||
| |
| ||<|3> '''채팅량'''^^(5기)^^ || '''최대''' ||<-2>9,496회||
| |
| || '''평균''' ||<-2>4,009.37회 <small>{{{#fa0000 ▲ 101.2%p}}}</small>||
| |
| || '''최소''' ||<-2>656회||
| |
| ||<-3><width=50%><rowbgcolor=#182E5B><rowcolor=#000> <small><small>{{{#fff '''폭・도・사・청・산・진・정・한・재・건'''}}}</small></small> ||
| |
| ||<-3><bgcolor=#fff,#1f2024> '''{{{#5B171D [[2024년|{{{#000 2024년}}}]] [[7월 1일|{{{#000 07월 01일}}}]] ~ [[2024년|{{{#000 2024년}}}]] [[7월 30일|{{{#000 07월 30일}}}]]}}}''' ||
| |
| ||<-2><width=50%><rowbgcolor=#182E5B><rowcolor=#000> <small>{{{#fff '''제3차 출범 이전'''}}}</small> ||<width=50%> <small>{{{#fff '''제3차 출범 이후'''}}}</small> ||
| |
| ||<-2><bgcolor=#fff,#1f2024> [[익스테딕 꿈의 정부|{{{#FFD918 '''꿈의 정부'''}}}]] || [[익스테딕 행정부|{{{#808080 '''정부'''}}}]] ||
| |
| ||<width=25%> '''대통령''' ||<-2>'''[[세르히 카르야킨]]''' <small>/ 제24대</small>||
| |
| || '''부통령''' ||<-2>'''[[이지은]]''' <small>/ 제9대</small>[Br]'''[[호널]]''' <small>/ 권한대행</small>||
| |
| || '''여당''' ||<-2>{{익스테딕 제도개혁당}}<small> (2024. 07. 01. ~ 2024. 07. 30.)</small>||
| |
| ||<|3> '''채팅량'''^^(6기)^^ || '''최대''' ||<-2>–회||
| |
| || '''평균''' ||<-2>–회||
| |
| || '''최소''' ||<-2>–회||
| |
| |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182E5B><tablebgcolor=#f7f7f7,#080808> [[파일:익스테딕 제21대 세르히 카르야킨 대통령 취임 선서.PNG]] ||
| |
| ||<bgcolor=#182E5B><color=#ffffff> '''{{{#ffffff ▲ 제21대 대통령 세르히 카르야킨 취임 선서}}}''' ||
| |
| | |
| [목차]
| |
| | |
| = 개요 =
| |
| '''슈티르너 정부'''는 [[익스테딕 제 15대 대선|제15대 대통령 선거]]와 [[익스테딕 제 16대 대선|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세르히 카르야킨]]이, [[익스테딕 제 17대 대선|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수수]]가, [[익스테딕 제 20대 대선|제20대 대통령 선거]]과 [[익스테딕 제 21대 대선|제21대 대통령 선거]] 및 [[익스테딕 제 24대 대선|제24대 대통령 선거]]에서 [[세르히 카르야킨]]이 당선하면서 2023년 10월 05일부터 2024년 01월 02일, 2024년 03월 02일부터 2024년 05월 01일, 2024년 07월 01일부터 2024년 07월 30일까지 존속한 정부이다.
| |
| | |
| = 대통령 =
| |
| {{익스테딕 역대 대통령}}
| |
| | |
| == 대선 ==
| |
| | |
| === 제15대 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15대 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명언1|'''MAKE EXTEDIC GREAT AGAIN![Br]익스테딕을 다시 위대하게!'''|대통령 당선인 카르야킨}}
| |
| | |
| {{인용문|① 정치
| |
| '대한민국식 대통령제'를 모방한 익스테딕 정치 체제는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대통령 불신임 제도가 없고 임기가 법률에 따라 보장되기 때문에 대통령의 정치적 무능, 헌법적 신뢰 상실 등의 이유가 있더라도 파면시킬 수 없습니다.(의원내각제에서는 내각에 대한 불신임 제도가 있기 때문에 부정부패 혹은 무능한 총리를 신속하게 끌어내릴 수 있습니다.)
| |
| | |
| 1. 대통령 불신임 제도
| |
| 대통령에 대한 불신임 제도를 도입하여 '정치적 무능, 헌법적 신뢰 상실' 상태인 부적격 지도자를 신속하게 파면할 수 있도록 개헌을 추진하겠습니다.
| |
| | |
| 또한, 대통령은 국가원수와 행정수반의 역할을 같이 겸임하고 있기에 사망 혹은 사고로 인한 궐위 시 타 정치 체제에 비해 정치적 혼란이 가중됩니다. '국무총리가 대행하면 그만 아닌가?'라는 얘기가 나올 수도 있으나, 대통령에 비해 국무총리는 민주적 정당성 없이 임명된 직위로써 국민들이 불신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
|
| |
| 2. 부통령 직선제
| |
| '국무총리 임명제를 폐지' 혹은 축소하고 부통령 직선제를 도입하여 대통령 궐위 시의 정치적 혼란을 줄이고, 불신임 가능성을 축소하겠습니다.
| |
| | |
| 마지막으로, 국가의 근간이 되는 재무부나 국무부와 같은 행정 기관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아 행정적 결함이 잔재하고 있습니다.
| |
| | |
| 3. 행정 기관 정립
| |
| '법무부/재무부/국무부/문화부/토무부', 행정 기관을 5부 체제로 정립하여 행정적 결함을 줄이겠습니다.
| |
| | |
| | |
| ② 경제
| |
| '아나코 캐피탈리즘'에 가까운 익스테딕 경제 체제는 여타 카카오톡 가상국가와 유사하지만, 조금만 개량을 거친다면 완벽한 경제 환경을 꾸릴 수 있습니다.
| |
| | |
| 1. 자본주의의 꽃, 주식
| |
| '익스테딕금융거래소'를 창립해 주식 시장 및 상장을 도입하여 기업 자본금의 운영 활성화, 본격적인 시장 선순환을 유도하겠습니다.
| |
| | |
| 2. 문화컨텐츠 경제
| |
| 문화부를 통해 익스테딕 리그 및 국제 대회에서의 우승 및 순위권 선수에게 익스테딕 화폐를 지급하여 경제 참여도를 늘리겠습니다.
| |
| | |
| | |
| ③ 문화
| |
| 익스테딕은 유구한 문화컨텐츠 강국으로, 많은 이들이 수준 높은 문화(전통, 드립 등)컨텐츠(리그/대회 등)를 갈구하고 있습니다.
| |
| | |
| 잦은 리그 시스템의 변화(출전자 수 변경 등)로 많은 사람들이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 |
| | |
| 1. 리그 시스템 정립
| |
| 운영부와 정부 간의 협의를 통해 위원회를 조성하여 리그 시스템을 정립하겠습니다.
| |
| | |
| | |
| ④ 외교 • 안보
| |
| 익스테딕은 여러 변천을 겪으며 이상적인 중립국으로 변화하였습니다. 허나, 세월이 무색하게도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형세는 나날히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 |
|
| |
| 어제의 친구는 칼을 휘두르고, 오늘의 적은 포옹을 하는 양각야호(兩脚野狐)식 외교를 해소해야 할 때가 왔습니다.
| |
| | |
| | |
| 1. 전략적 협력관계
| |
| 성장 가능성이 높은 개발도상국을 주축으로 한 협약 및 기구를 체결하여 국제사회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심화시키겠습니다.}}
| |
| | |
| === 제16대 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16대 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명언1|'''KEEP EXTEDIC GREAT![Br]익스테딕을 계속 위대하게!'''|대통령 당선인 카르야킨}}
| |
| | |
| {{인용문|① 정치
| |
| 09월 15일부터 11월 01일, 현재까지 수많은 의제와 입법, 개혁 등을 통해 익스테딕의 정치 체제는 한 걸음 전진했으나, 아직까지도 정부와 국민 간의 소통 창구는 미비하며 외에도 삼권 분립이 무너지는 등 개선해야 될 점이 많습니다.
| |
| | |
| 1. 할당제 금지 개헌
| |
| 역설적으로 할당제를 시행하는 것보다 공정한 경쟁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더 많고 긍정적인 할당이 될 수 있으며 되려 제도적으로 할당제를 추진하는 것은 새로운 차별과 악영향을 야기하므로 할당제를 헌법적으로 금지하겠습니다.
| |
|
| |
| 2. 국민청원 명문화
| |
| '국민청원법'을 제정하거나, 익스테딕 직접 민주주의의 근거 조항으로 헌법에 국민청원을 기입하겠습니다.
| |
| | |
| 3. 작은 정부 실현
| |
| 현행 '행정 기관 4부 체제'에서 인력난으로 인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한 교육부를 '지자체 교육청'으로 분권하여 '국무부/재무부/문화부', 새로운 '행정 기관 3부 체제'로 정립하겠습니다.
| |
| | |
| 4. 사법부 개편
| |
| 인력난으로 인해 헌법재판소를 해산하고 헌법재판의 몫을 대법원에 부여하겠습니다.
| |
| | |
| 5. 지자체 활성화
| |
| 국회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안을 확정하고, 각각 지역마다 다른 문화 컨텐츠를 활성화시키겠습니다.
| |
| | |
| | |
| ② 경제
| |
| 주식 경제, 문화 경제 모두 좋은 시도였으나, 그 근간이 되는 경제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경제 활성화는 사실상 실패했습니다. 때문에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닌, 경제 시스템 개선에 초점을 두어야 합니다.
| |
| | |
| 1. 경제 시스템
| |
| 공지에 공무원의 주급과 기업의 수익 창출 방식을 적는 한편, 자산 공인서를 별개로 발행하겠습니다.
| |
| | |
| 또한 '익스테딕증권거래소'와 '익스테딕증권운영소'로 나눠, 민영의 증권 거래소와 국영의 증권 운영소로 증권의 성질을 차별화해 주식을 활성화하겠습니다.
| |
| | |
| 2. 통화량 고정
| |
| 노동을 하고, 저축을 해도 통화량이 증가한다면 화폐의 가치는 줄어들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경제(거품 경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향후 PD 통화량을 미리 정하겠습니다.
| |
| | |
| | |
| ③ 문화
| |
| 약 30일간 국제 대회, 국내 리그, 기타 컨텐츠 활성화 등 수많은 노력이 오고 갔으나 이러한 노력들은 한 순간에 물거품이 되었습니다. 꾸준한 운영과 체계화된 시스템에 불구하고 게임 자체의 붕괴, 참여자의 방황 등 외부적인 요인이 모든 노력을 산산조각 낼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역사적으로 깨우쳤으며 이를 발판 삼아 도약해야 합니다.
| |
| | |
| 1. 문화법 제정
| |
| 문화법 제정을 통하여 '문화부의 문화컨텐츠 관리 및 더 나은 문화컨텐츠 연구와 장려'를 명문화하여 익스테딕 고유의 문화 진흥을 유도하겠습니다.
| |
|
| |
| 2. 격주 모의전
| |
| 격주마다 모의전을 개최하여 지나치게 정치에 쏠린 피로도를 해소하는 한편, 대국민적인 컨텐츠 참여를 유도하겠습니다.
| |
| | |
| | |
| ④ 외교 • 안보
| |
| '이상적인 중립국'이 비전이 되려면 그만큼 익스테딕이 강성해져야 합니다. 근 30일간 익스테딕은 중립적인 외교를 고수하는 한편, 국가 비상 사태에 대해서는 외교에 관계 없이 강경 대응하며 국가로서 최대한의 안보 보장을 하였습니다.
| |
| | |
| 이러한 정책은 익스테딕 국민 정서에 맞게 작용하며 '이상적인 중립국'의 발판, 즉 익스테딕이 나아가야 할 외교안보적 정책이 될 것입니다.
| |
| | |
| 1. 세계화 외교
| |
| 세계의 수많은 나라와 국교를 수립하는 한편, 그 어떤 나라와도 동맹으로 얽히지 않으며 '익스테딕 중립'을 이룩하겠습니다.
| |
| | |
| "모든 국가와 평화, 상업, 정직한 우정을 유지하며, 그 어떤 나라와도 동맹으로 얽히지 않아야 한다."
| |
| | |
| 2. 외교 문서 개편
| |
| 시프릭 정부 이후, 수많은 국교 수립으로 인해 멈춰버린 외교 문서 작성을 다시금 시작하겠습니다.}}
| |
| | |
| === 제17대 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17대 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명언1|'''Not Me, Us[Br]나 말고, 우리'''|대통령 당선인 수수}}
| |
| | |
| {{인용문|⦃ 수수 🤓 𖤍 제17대 대선 공약 ⦄
| |
| ” Not Me, Us : 나 말고, 우리 ”
| |
| | |
| ° 안녕하십니까, 제도개혁당 자유정치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 세르히 카르야킨입니다. 우리 자유진보 진영은 마민공부터 시엔, 크프, 올믹, 트라뉴퍼, 나아가 현재의 익스테딕 공화국까지 권위독재 혹은 선거 놀음 세력과 칼을 겨누고 최전방에서 승리를 쟁취했습니다. 그리고 지금이 다시 한 번 승리할 때입니다. 자유는 승리한다!
| |
| | |
| ° 선거 공약에 앞서, 익스테딕 국민 여러분께 네 가지 비전을 약속드립니다!
| |
| | |
| ¹ 부정부패 없는 익스테딕
| |
| ² 경제가 온전한 익스테딕
| |
| ³ 문화가 숨쉬는 익스테딕
| |
| ⁴ 교류가 활발한 익스테딕
| |
| | |
| | |
| ① 정치
| |
| 지난 1달 동안 제도개혁당이 달려온 길은, 익스테딕 정치 체제를 개선시키기 위해 잘 시간조차 아껴가며 자유주의의 정신을 증명하고자 했습니다. 자유주의 정신은 개인주의가 아닌, 역설적이게도 자유를 위해 어디까지 할 수 있는가를 의미합니다.
| |
| | |
|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
| |
| | |
| '나 말고도 우리'는 익스테딕에 헌신할 준비가 돼있습니다. 그게 자유주의를 위한 것이라면요.
| |
| | |
| 1. 중앙정보국 신설
| |
| 익스테딕의 안보 증진을 위해, 안보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평가하고 국내외 정보 수집 활동이 가능한 중앙정보국을 신설하겠습니다.
| |
| | |
| 2. 공수처 신설
| |
| 사법 기업이 수사하기 어려운 공직자의 부정부패 및 비리 행위를 수사하기 위해 공직자 범죄 수사처(약칭 공수처)를 신설하겠습니다.
| |
| | |
| 3. 지자체 운영
| |
| ° 곡례광역시 – 가상 사건 및 언론을 기록하거나 공지해 문화 활동을 장려하겠습니다.
| |
| | |
| ° 진안광역시 – 디스코드 봇을 통한 음악 컨텐츠, 게임, 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고 디스코드 가상국가와 국교를 체결(및 공사관 설치)하겠습니다.
| |
| | |
| ° 영평광역시 – 밴드의 특성(게시글 게시, 게시글의 링크)을 이용해 가상 설정을 연계한 경제 컨텐츠를 활성화하겠습니다.
| |
| | |
| ° 해정광역시 – 카페 가상국가와 문화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겠습니다.
| |
| | |
| ° 남도특별자치시 – 운영부와 문화부의 협업을 통해 격주로 모의전을 운영하겠습니다.
| |
| | |
| 4. 인사 회의 소집
| |
| 정부 내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주요 인사를 소집하여 자문을 받고 행정 정책을 심의할 자리를 마련하겠습니다.
| |
| | |
| 5. 교육 프로젝트
| |
| ° 교육개혁 2025(2025년까지 시행될 장기적 교육 개혁안)를 추진하겠습니다.
| |
| | |
| ° 교육법을 제정해, 1개월 단위로 교육개혁기본계획을 추진하고 기초적인 교육 시스템을 정립하겠습니다.
| |
| | |
| 6. 가이드라인 보완
| |
| 새롭게 유입된 사람들의 궁금증 해소(익스테딕은 왜 있는가, 가상 국가는 무엇인가 등)와 정착(익스테딕의 체제, 익스테딕의 구성, 익스테딕의 문화 등)을 돕기 위해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보완하겠습니다.
| |
| | |
| 7. 운영정책 보완
| |
| 운영부와 정부 간의 협의를 통해 개정된지 오래된 운영정책을 최신 흐름에 맞게 개정하겠습니다.
| |
| | |
| | |
| ② 경제
| |
| 가상 설정에 대한 인기도가 나날히 증가하며 다시 한 번 경제 개혁의 씨앗이 심어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여태 찾고 찾던 가능성을 놓쳐서는 안 됩니다.
| |
| | |
| 1. 가상 설정 경제
| |
| 가상 설정을 기반으로 가상 사건을 운영해 수익 창출 방식(가상 사건에서의 수출, 투자 등)을 만들겠습니다.
| |
| | |
| 2. 경제 시스템 운영
| |
| ° 경제개혁 2024(2024년까지 시행될 장기적 경제 개혁안)를 추진하겠습니다.
| |
| | |
| ° 평천은행을 해산하고 금융준비제도(Finance Reserve System)를 설립해 행정부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민/관 체제로 운영하겠습니다.
| |
| | |
| ° 플랫폼 별로 금융준비은행(Finance Reserve Banks)을 설치해 능동적으로 운영하겠습니다.
| |
| | |
| °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국가와 변동 환율 제도를 체결해 완전한 화폐 시장을 구축하겠습니다.
| |
| | |
| | |
| ③ 문화
| |
| 국민적으로 국제 대회/국내 리그에 대한 관심은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가상 설정에 대한 인기가 상승하며 익스테딕 문화의 희망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마지막 희망이 될 지도 모르는 가상 설정, 끌어올리겠습니다!
| |
| | |
| 1. 가상 설정 활성화
| |
| ° 카카오톡 – 뜨거운 관심 분야인 교통업과 건설업의 가상 설정을 체계화(문서 작성, 세부 설정, 수익 창출 등)하겠습니다.
| |
| | |
| ° 밴드 – 비주류 업종과 가상 사건 위주로 활성화(민간 장려, 언론 권한 부여, 게시글 작성 등)해 가상 설정의 규모를 확장하겠습니다.
| |
| | |
| ° 디스코드 – 플랫폼의 활동이 활발해지면 문화부를 통해 가상 설정 활성화를 고안해보겠습니다.
| |
| | |
| 2. 마인크래프트 서버
| |
| ° 건축 –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익스테딕 건축 서버, 운영부와 문화부가 협업해 계획 도시를 짓겠습니다.
| |
| | |
| ° RPG – 익스테딕의 역사, 문화, 그리고 PVP를 잘 엮어서 창의적인 약탈 RPG를 운영하겠습니다.
| |
| | |
| | |
| ④ 외교
| |
| 익스테딕의, 익스테딕에 의한, 익스테딕을 위한 외교 정책은 장장 3개월을 이어져 온 '익스테딕 중립' 외에 없다고 자부합니다.
| |
| | |
| 과거 유니온 유토 전쟁이 발발한 때, 그들이 '전쟁에 중립은 없다'며 익스테딕을 지지고 볶은 제국주의적 역사가 우리를 더 견고한 중립국으로 만들었습니다.
| |
| | |
| "모든 국가와 평화, 상업, 정직한 우정을 유지하며, 그 어떤 나라와도 동맹으로 얽히지 않아야 한다."
| |
| | |
| 1. 익스테딕 중립
| |
| 불개입주의, 중립 외교, 교류 증진을 연고로 하는 '익스테딕 중립'을 이어가겠습니다.
| |
| | |
| 2. 교육 교류
| |
| ° 교육개혁 2025의 일환으로, 여러 국가와 교육 프로젝트(국제적 교육학 연구)를 계약하겠습니다.
| |
| | |
| ° 해정광역시(카페)를 통해 카페 가상국가로부터 가상국가학적 문헌을 가져오겠습니다.}}
| |
| | |
| === 제20대 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20대 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명언1|'''Build Back Extedic![Br]재건익스테딕!'''|대통령 당선인 카르야킨}}
| |
| | |
| ==== 취임 선서 ====
| |
| {{명언1|익스테딕 공화국의 제20대 대통령인 나, 세르히 카르야킨은 엄숙하고 진지하게 모든 직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이며 익스테딕 공화국의 헌법을 보존, 보호, 방어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을 단언한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3월 02일</small>}}
| |
| | |
| === 제21대 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21대 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명언1|'''ASTRA[Br]별이 되어라'''|대통령 당선인 카르야킨}}
| |
| | |
| {{인용문|〔 Каря́кін 🇲🇶 제21대 대선 공약 〕
| |
| ” ASTRA : 별이 되어라 ”
| |
| | |
| ① 개헌
| |
| ・대통령 42일 중임제
| |
| | |
| ・대통령 4선 연임 제한
| |
| | |
| ・대통령령 명문화
| |
| | |
| ・대통령 법률안 재의권 도입
| |
| | |
| ・부통령 명문화
| |
| | |
| ・정부통령 취임 선서 명문화
| |
| | |
| ・부통령의 대통령 권한대행 도입
| |
| | |
| ・국무총리의 부통령 권한대행 도입
| |
| | |
| ・정부통령 선거 결선 투표 명문화
| |
| | |
| ・옴부즈맨 제도 도입
| |
| | |
| | |
| ② 정치
| |
| ・지방자치법 제정
| |
| | |
| ・지명 개혁 프로젝트
| |
| | |
| ・투표소 접근성 강화
| |
| | |
| ・공무원 공휴일 도입
| |
| | |
| ・중앙정보국 해산
| |
| | |
| | |
| ③ 경제
| |
| ・화폐 개혁(은행 설립, 지역화폐 도입 등)
| |
| | |
| ・건설업/교통업 수익화
| |
| | |
| ・레이거노믹스 체계 수립
| |
| | |
| ・노동조합신청서 도입
| |
| | |
| ・당사 건설비 90% 지원
| |
| | |
| ・농작물(수익 방법) 다양화
| |
| | |
| ・분양가 상한제 시행
| |
| | |
| ・최저 주급 10.00 PD 시행
| |
| | |
| | |
| ④ 문화
| |
| ・마인크래프트 서버 주7시간 운영
| |
| | |
| ・카러플 리그 시행
| |
| | |
| ・피모 리그 시행
| |
| | |
| ・역사바로세우기 시행
| |
| | |
| ・익스테딕어 프로젝트
| |
| | |
| | |
| ⑤ 외교
| |
| ・카르야킨 독트린(통일 포기 등)
| |
| | |
| ・삼국 동맹 추진(익스/신롬/브라반트)
| |
| | |
| ・동맹국서 유학 인재 1주 5인 모집
| |
| | |
| | |
| ⑥ 안보
| |
| ・공인 탐정 도입
| |
| | |
| ・부방장 주40시간제 도입
| |
| | |
| | |
| ⑦ 교육
| |
| ・위키스 통한 디지털 교육
| |
| | |
| ・연구 및 토론 환경 조성
| |
| | |
| ” 우리 자유진보 진영은 마민공부터 시엔, 크프, 올믹, 트라뉴퍼, 지금의 익스테딕 공화국까지 권위독재 혹은 선거놀음 세력을 상대로 승리를 쟁취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한 번 승리할 때입니다. 자유는 승리한다! ”}}
| |
| | |
| {{인용문|▪︎소소하지만 확실한 공약
| |
| 1. 기호 혼란 막기 위해 선거 운동 3일째 기호 1차 획정, 후보 마감 후 기호 2차 획정
| |
| 2. 포스터 규격 통일 추진(선거법 개정)
| |
| 3. 지방서 도어스테핑(출근길 문답)}}
| |
| | |
| ==== 취임 선서 ====
| |
| {{명언1|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의 제21대 대통령인 나, 세르히 카르야킨은 엄숙하고 진지하게 모든 직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이며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의 헌법을 보존, 보호, 방어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을 단언한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4월 02일</small>}}
| |
| | |
| ==== 퇴임사 ====
| |
| {{명언1|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지지자 여러분, 많은 해외 동포 여러분, 마지막으로 퇴임식에 참여한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 |
| | |
| 지난 2개월은 70명에서 170명까지, 1,300챗에서 3,900챗까지 국난을 헤쳐오며 익스테딕 공화국은 위기 속에서 더욱 강해졌습니다. 더이상 낯짝 가리지 않으며 높아진 국격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 |
| | |
| 익스테딕 공화국은 12.3 사태 이후 5개월 만에 다시금 선진국이 되었으며, 선도하는 국가가 되었습니다. 이는 우리 국민 여러분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였습니다.
| |
| | |
| 그러나, 우리 정부가 다 이루지 못한 게 있더라도 개혁을 향한 국민의 바램은 결코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국민의 의지는 앞으로도 우리의 희망과 미래가 될 것입니다.
| |
| | |
| 별처럼 반짝거리는 익스테딕 공화국의 미래를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5월 02일</small>}}
| |
| | |
| === 제24대 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24대 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명언1|'''국민 만찬통 2개월 더!'''|대통령 당선인 카르야킨}}
| |
| | |
| ==== 취임 선서 ====
| |
| {{명언1|익스테딕 공화국의 제24대 대통령인 나, 세르히 카르야킨은 엄숙하고 진지하게 모든 직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이며 익스테딕 공화국의 헌법을 보존, 보호, 방어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을 단언한다.|– Сергі́й Каря́кін, <small>2024년 07월 01일</small>}}
| |
| | |
| = 부통령 =
| |
| {{익스테딕 역대 부통령}}
| |
| | |
| == 부선 ==
| |
| | |
| === 제1대 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1대 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 |
| === 제2대 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2대 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 |
| === 제5대 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5대 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명언1|'''깨끗한 정치 , 청렴 7선!'''|부통령 당선인 이스라엘}}
| |
| | |
| === 제6대 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6대 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명언1|'''즐거운 국가'''|부통령 당선인 월드}}
| |
| | |
| === 제9대 부통령 선거 ===
| |
| {{본문|익스테딕 제 9대 대선}}
| |
| | |
| ==== 선거 공약 ====
| |
| {{명언1|'''–'''|부통령 당선인 이지은}}
| |
| | |
| = 국무총리 =
| |
| {{익스테딕 역대 국무총리}}
| |
| | |
| = 국정 지표 =
| |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익스테딕 슈티르너 정부 슬로건.png|width=350]] ||
|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5B171D> '''{{{#ffffff 슈티르너 정부^^(1기, 2기, 3기)^^의 슬로건}}}''' ||
| |
| | |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익스테딕 슈티르너 정부 뉴 슬로건.png|width=350]] ||
|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5B171D> '''{{{#ffffff 슈티르너 정부^^(4기)^^의 슬로건}}}''' ||
| |
| | |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익스테딕 슈티르너 정부 신 슬로건.png|width=350]] ||
|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5B171D> '''{{{#ffffff 슈티르너 정부^^(5기)^^의 슬로건}}}''' ||
| |
| | |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익스테딕 슈티르너 정부 6기 슬로건.png|width=350]] ||
|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5B171D> '''{{{#ffffff 슈티르너 정부^^(6기)^^의 슬로건}}}''' ||
| |
| | |
| == 국정 원리 ==
| |
| ・'''[[자유지상주의]]'''[* [[자유지상주의적 소렐주의]], [[지공자유지상주의]], [[최소국가주의]], [[오스트리아학파]]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
| |
| ・'''[[제도개혁주의]]'''
| |
| ・'''[[시프릭주의]]'''
| |
| | |
| == 국정 과제 ==
| |
| ・공정과 상식의 제도 개혁
| |
| | |
| == 국정 목표 ==
| |
| ・'''문화적 가상 국가'''
| |
| ・'''세계화 외교 확장'''
| |
| ・'''평화적 번영 시대'''
| |
| | |
| = 내각 =
| |
| | |
| == 제1기 ==
| |
| ||<-9><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제1기 내각 출범 당시에는 임시명 '''카르야킨 정부'''였다.] – 제1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교육장관</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군무장관</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문화차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small> || <small>–</small> || <small>[[명재]]</small> || <small>[[완전 비행]]</small> || <small>–</small> || <small>[[시카고]]</small> || <small>[[월드]]</small> || <small>[[뽀옹시]]</small> ||
| |
| | |
| == 제2기 ==
| |
| ||<-9><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2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교육장관</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군무장관</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small>재무차관</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small> || <small>–</small> || <small>[[함태희]]</small> || <small>[[완전 비행]]</small> || <small>–</small> || <small>[[명재]]</small> || <small>[[뽀옹시]]</small> || <small>[[완전 비행]]</small> ||
| |
| | |
| == 제3기 ==
| |
| ||<-7><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3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완전 비행]]</small> || <small>[[에리히]]</small> || <small>[[함태희]]</small> || <small>–</small> || <small>[[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small> || <small>[[뽀옹시]]</small> ||
| |
| | |
| == 제4기 ==
| |
| ||<-9><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4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교통청장</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문화차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완전 비행]]</small> || <small>[[에리히]]</small> || <small>[[함태희]]</small> || <small>–</small> || <small>[[신검]]</small> || <small>[[은하예]]</small> || <small>[[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small> || <small>[[뽀옹시]]</small> ||
| |
| | |
| == 제5기 ==
| |
| ||<-8><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5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교통청장</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완전 비행]]</small> || <small>[[에리히]]</small> || <small>[[이회창]]</small> || <small>–</small> || <small>[[신검]]</small> || <small>[[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small> || <small>[[뽀옹시]]</small> ||
| |
| | |
| == 제6기 ==
| |
| ||<-9><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6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교통청장</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small>중앙정보국장</small> ||
| |
| || <small>[[수수]]</small> || <small>[[함태희]]</small>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크로스]]</small> || <small>–</small> || <small>[[신검]]</small> || <small>[[완전 비행]]</small> || <small>[[뽀옹시]]</small> || <small>–</small> ||
| |
| | |
| == 제7기 ==
| |
| ||<-8><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7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전권공사</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중앙정보국장</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small> || <small>[[에리히]]</small> || <small>[[수인사는세상]]</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함태희]]</small> || <small>[[은하예]]</small> ||
| |
| | |
| == 제8기 ==
| |
| ||<-8><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8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교육장관</small> || <small>중앙정보국장</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에리히]]</small> || <small>[[함태희]]</small> || <small>[[히틀러의 피스톨|피스톨]]</small> || <small>–</small> || <small>[[함태희]]</small> || <small>[[은하예]]</small> || <small>[[에리히]]</small> ||
| |
| | |
| == 제9기 ==
| |
| ||<-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9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문화차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small>교육장관</small> || <small>중앙정보국장</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에리히]]</small> || <small>[[함태희]]</small> || <small>[[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small> || <small>–</small> || <small>[[이들]]</small> || <small>[[월드]]</small> || <small>[[이회창]]</small> || <small>[[은하예]]</small> || <small>[[에리히]]</small> ||
| |
| | |
| == 제10기 ==
| |
| ||<-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10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국방청장</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문화차관</small> || <small>미래장관</small> || <small>회계위원회 의장</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월드]]</small> || <small>[[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small> || <small>[[에리히]]</small> || <small>–</small> || <small>[[THD]]</small> || <small>[[별환]]</small> || <small>[[병아리]]</small> || <small>[[은하예]]</small> || <small>–</small> ||
| |
| | |
| == 제11기 ==
| |
| ||<-8><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11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국방청장</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미래장관</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small> || <small>[[에리히]]</small> || <small>[[에리히]]</small> || <small>[[룬트슈테트]]</small> || <small>–</small> || <small>[[월드]]</small> || <small>[[은하예]]</small> ||
| |
| | |
| == 제12기 ==
| |
| ||<-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12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국방청장</small> || <small>전권대사</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문화차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small>재무차관</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small> || <small>[[고래]]</small> || <small>[[고래]]</small> || <small>[[하카]]</small> || <small>–</small> || <small>[[월드]]</small> || <small>[[크로스]]</small> || <small>[[유민]]</small> || <small>[[은하예]]</small> ||
| |
| | |
| == 제13기 ==
| |
| ||<-13><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13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검찰총장</small> || <small>국방청장</small> || <small>통일청장</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문화차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small>재무차관</small> || <small>회계위원장</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small> || <small>[[고래]]</small> || <small>[[고래]]</small> || <small>[[에리히]]</small> || <small>[[룬트슈테트]]</small> || <small>[[은하예]]</small> || <small>[[이들]]</small> || <small>[[하카]]</small> || <small>[[유민]]</small> || <small>[[우라늄]]</small> || <small>[[우라늄]]</small> ||
| |
| | |
| == 제14기 ==
| |
| ||<-8><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B171D><tablebgcolor=#ffffff,#1f2024><bgcolor=#eeeeee,#aaa><color=#000000> 슈티르너 정부 – 제14기 내각 ||
|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small>중앙정보국장</small> ||
| |
| || <small>[[세르히 카르야킨|카르야킨]]</small> || <small>[[이지은]]</small> || <small>–</small> || <small>[[팩트]]</small> || <small>[[호널]]</small> || <small>비공개</small> || <small>비공개</small> ||
| |
| | |
| = 평가 =
| |
| ||<bgcolor=#182E5B>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1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0. 06. ~ 2023. 10. 14.</small>}}} || '''17.65%'''[Br]<small>3/17</small> ||
| |
| ||<bgcolor=#182E5B>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2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0. 14. ~ 2023. 10. 19.</small>}}} || '''37.50%'''[Br]<small>6/16</small> ||
| |
| ||<bgcolor=#182E5B>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3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0. 20. ~ 2023. 10. 26.</small>}}} || '''30.77%'''[Br]<small>4/13</small> ||
| |
| ||<bgcolor=#182E5B>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4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0. 26. ~ 2023. 11. 04.</small>}}} || '''45.00%'''[* 보정률은 48.75%이다.][Br]<small>18/40</small> ||
| |
| ||<bgcolor=#5B171D>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5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1. 04. ~ 2023. 11. 10.</small>}}} || '''50.00%'''[* 보정률은 52.78%이다.][Br]<small>9/18</small> ||
| |
| ||<bgcolor=#5B171D>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6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1. 11. ~ 2023. 11. 18.</small>}}} || '''40.00%'''[* 보정률은 50.00%이다.][Br]<small>6/15</small> ||
| |
| ||<bgcolor=#5B171D>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7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1. 18. ~ 2023. 11. 25.</small>}}} || '''50.00%'''[* 보정률은 52.78%이다.][Br]<small>9/18</small> ||
| |
| ||<bgcolor=#5B171D>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8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1. 25. ~ 2023. 12. 03.</small>}}} || '''33.33%[* 보정률은 41.67%이다.][Br]<small>10/30</small>''' ||
| |
| ||<bgcolor=#6787C0> {{{#ffffff 수수 대통령 1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2. 04. ~ 2023. 12. 13.</small>}}} || '''34.78%'''[Br]<small>8/23</small> ||
| |
| ||<bgcolor=#6787C0> {{{#ffffff 수수 대통령 2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2. 13. ~ 2023. 12. 20.</small>}}} || '''14.29%'''[Br]<small>2/14</small> ||
| |
| ||<bgcolor=#6787C0> {{{#ffffff 수수 대통령 3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2. 20. ~ 2023. 12. 25.</small>}}} || '''33.33%'''[Br]<small>7/21</small> ||
| |
| ||<bgcolor=#6787C0> {{{#ffffff 수수 대통령 4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3. 12. 25. ~ 2023. 01. 03.</small>}}} || '''23.53%'''[Br]<small>4/17</small> ||
| |
| ||<bgcolor=#900E15>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9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3. 02. ~ 2024. 03. 09.</small>}}} || '''36.36%'''[Br]<small>4/11</small> ||
| |
| ||<bgcolor=#900E15>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small>10</small>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3. 09. ~ 2024. 03. 16.</small>}}} || '''37.50%'''[Br]<small>6/16</small> ||
| |
| ||<bgcolor=#900E15>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11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3. 16. ~ 2024. 03. 23.</small>}}} || '''40.00%'''[Br]<small>12/30</small> ||
| |
| ||<bgcolor=#900E15>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small>12</small>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3. 23. ~ 2024. 04. 02.</small>}}} || '''35.90%[Br]<small>14/39</small>''' ||
| |
| ||<bgcolor=#708CB1>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small>13</small>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4. 02. ~ 2024. 04. 10.</small>}}} || '''25.00%'''[Br]<small>4/16</small> ||
| |
| ||<bgcolor=#708CB1>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small>14•15</small>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4. 12. ~ 2024. 04. 23.</small>}}} || '''50.00%'''[Br]<small>8/16</small> ||
| |
| ||<bgcolor=#708CB1> {{{#ffffff 카르야킨 대통령 <small>16</small>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4. 23. ~ 2024. 05. 02.</small>}}} || '''30.00%[Br]<small>12/40</small>''' ||
| |
| | |
| ||<bgcolor=#900E15> {{{#ffffff 이스라엘 부통령 1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3. 02. ~ 2024. 03. 09.</small>}}} || '''41.67%'''[Br]<small>5/12</small> ||
| |
| ||<bgcolor=#900E15> {{{#ffffff 이스라엘 부통령 2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3. 09. ~ 2024. 03. 14.</small>}}} || '''44.44%'''[Br]<small>8/18</small> ||
| |
| ||<bgcolor=#900E15> {{{#ffffff <small>에리히 부통령 제1차 권한대행 국정 수행([[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3. 14. ~ 2024. 03. 15.</small>}}} || '''28.57%'''[Br]<small>4/14</small> ||
| |
| ||<bgcolor=#900E15> {{{#ffffff 이스라엘 부통령 3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3. 15. ~ 2024. 03. 18.</small>}}} || '''25.00%'''[Br]<small>5/20</small> ||
| |
| ||<bgcolor=#900E15> {{{#ffffff <small>에리히 부통령 제2차 권한대행 국정 수행([[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3. 18. ~ 2024. 04. 02.</small>}}} || '''23.08%'''[Br]<small>6/26</small> ||
| |
| ||<bgcolor=#708CB1> {{{#ffffff 월드 부통령 1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4. 02. ~ 2024. 04. 06.</small>}}} || '''30.77%'''[Br]<small>4/13</small> ||
| |
| ||<bgcolor=#708CB1> {{{#ffffff 퍼픽 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4. 06. ~ 2024. –. –.</small>}}} || '''–%'''[Br]<small>/</small> ||
| |
| | |
| == 정치에 대한 평가 ==
| |
| | |
| === 긍정적 평가 ===
| |
| | |
| ==== 댓글 토론 ====
| |
| | |
| ==== 작은 정부 ====
| |
| | |
| ==== 자유 선언 ====
| |
| {{인용문|〔 대통령 Каря́кін 〕
| |
| | |
| – 자유 선언!
| |
| (Declaration of Liberty!)
| |
| | |
| 앞으로 표현의 자유가 대거 보장됩니다.
| |
| | |
| 올해 1월처럼 앞으로 표현의 자유가 대거 보장됩니다. 따라서 정부의 '가리기' 사용은 제한된 사항에 대해서만 사용 후 고지해야 하며, 제한될 수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
| I. 카카오톡 운영정책에 위반되는 발언(유지)
| |
| II. 내란 세력을 근거 없이 옹호하는 발언(유지)
| |
| III. 무단 직접•간접 홍보 발언(유지)
| |
| | |
| 폐지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
| IV. 정부 인사를 근거 없이 비난하는 발언(폐지)
| |
| V. 타국•타방에 대한 단순 명칭 언급(폐지)
| |
| VI. 심각하지 않는 수준의 도배(폐지)
| |
| | |
| 이에 대하여 의견 수렴을 더더욱 해볼 것이며, 앞으로 자유를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 |
| ■ 2024. 4. 11. ■}}
| |
| | |
| === 중립적 평가 ===
| |
| | |
| ==== 내각 인사 ====
| |
| | |
| ==== 출근길 문답 ====
| |
| | |
| ==== 부통령 직선제 도입 ====
| |
| | |
| ==== 중앙정보국 신설 ====
| |
| | |
| ==== 13번의 사면 ====
| |
| | |
| ===== 뽀옹시 사면 =====
| |
| | |
| ==== 9번의 대통령령 ====
| |
| | |
| ==== 2번의 법률안 거부 ====
| |
| | |
| ==== 정부 부제 도입 ====
| |
| | |
| ==== 재건익스테딕 계획 ====
| |
| | |
| === 부정적 평가 ===
| |
| | |
| == 경제에 대한 평가 ==
| |
| | |
| === 긍정적 평가 ===
| |
| | |
| === 중립적 평가 ===
| |
| | |
| ==== 경제 개혁 ====
| |
| | |
| ==== 최저 주급 시행 ====
| |
| | |
| === 부정적 평가 ===
| |
| | |
| == 문화에 대한 평가 ==
| |
| | |
| === 긍정적 평가 ===
| |
| | |
| ==== 인구통계학 정책 ====
| |
| | |
| ==== 역사서 편찬 ====
| |
| | |
| ===== 역사바로세우기 =====
| |
| | |
| ==== 국적자 80명 시대 ====
| |
| | |
| ==== 인구 160명 시대 ====
| |
| | |
| === 중립적 평가 ===
| |
| | |
| ==== 높은 채팅량 ====
| |
| ||<-4><bgcolor=#41479E> {{{#fff '''채팅량'''}}} ||
| |
| ||<bgcolor=#808080> {{{#fff 평균}}} ||<bgcolor=#808080> {{{#fff 최대}}} ||<bgcolor=#808080> {{{#fff 최소}}} ||<bgcolor=#808080> {{{#fff 정부}}} ||
| |
| || 3,631.17회 || 9,562회 || 679회 || [[익스테딕 슈티르너 정부|슈티르너 정부]]^^(1기)^^ ||
| |
| || 2,898.87회 || 5,929회 || 669회 || [[익스테딕 슈티르너 정부|슈티르너 정부]]^^(2기)^^ ||
| |
| || 2,135.77회 || 6,087회 || 152회 || [[익스테딕 슈티르너 정부|슈티르너 정부]]^^(3기)^^ ||
| |
| || 1,694.03회 || 4,368회 || 149회 || [[익스테딕 레히트 정부|레히트 정부]] ||
| |
| || 1,286.76회 || 4,424회 || 58회 || [[익스테딕 발전 정부|발전 정부]] ||
| |
| || 1,992.81회 || 5,782회 || 331회 || [[익스테딕 슈티르너 정부|슈티르너 정부]]^^(4기)^^ ||
| |
| | |
| ==== 서안 가네포 ====
| |
| | |
| === 부정적 평가 ===
| |
| | |
| ==== 낚시봇 유행 ====
| |
| | |
| == 외교에 대한 평가 ==
| |
| | |
| === 긍정적 평가 ===
| |
| | |
| ==== 익스테딕 중립 ====
| |
| | |
| ===== 네프티스 연합 탈퇴 =====
| |
| {{인용문|〔 대통령 Каря́кін 〕
| |
| | |
| – GOOD BYE NEPHTHYS 👋
| |
| | |
| 국회 '네프티스 연합 탈퇴 결의안' 가결에 따라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은 오늘 부로 네프티스 연합을 탈퇴합니다.
| |
| | |
| 또한 불개입주의적 외교 정책에 따라서 '네프티스-인류 제국 전쟁'의 전선에서도 이탈을 결정하였습니다. 우리는 영원한 중립을 고수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 |
| | |
| 약 2개월 간 연합에 소속하며 많은 일이 있었지만, 좋은 일과 나쁜 일 모두 잊고 익스테딕의 새로운 미래를 위하여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
| | |
| ■ 2024. 3. 17. ■}}
| |
| | |
| ==== 구디슨 사태/대처 ====
| |
| | |
| ==== 카르야킨 독트린 ====
| |
| {{인용문|〔 Каря́кін Doctrine 〕
| |
|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은 앞으로 12.3 내란 세력과 같은 반국가・테러 단체에 강경히 대응한다.
| |
| | |
|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은 방위 협약과 같은 의미있는 국교를 원칙으로 한다. 또한 자국의 이익과 평화를 우선시하며, 안전한 외교적 역할을 수행한다.
| |
| | |
|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의 동맹국에 대한 원조는 군사ㆍ인구 중심으로 하며, 여러 나라에 대한 상호 원조 방식을 강화하여 실익과 외교 증진을 도모한다.
| |
| | |
| ■ 2024. 4. 3. ■}}
| |
| | |
| ==== 삼국 동맹 ====
| |
| | |
| === 중립적 평가 ===
| |
| | |
| ==== 아러민국 합병 ====
| |
| | |
| === 부정적 평가 ===
| |
| | |
| == 안보에 대한 평가 ==
| |
| | |
| === 긍정적 평가 ===
| |
| | |
| ==== 판다 사태/대처 ====
| |
| | |
| ==== 3.16 도배 사건/대처 ====
| |
| | |
| ==== 봉황 도배 사건/대처 ====
| |
| | |
| === 중립적 평가 ===
| |
| | |
| ==== 테러에 대한 예방 ====
| |
| | |
| ==== 내란에 대한 예방 ====
| |
| | |
| ==== 12.3 테러/대처 ====
| |
| | |
| ==== 12.23 테러/대처 ====
| |
| | |
| === 부정적 평가 ===
| |
| | |
| ==== 12.3 내란/대처 ====
| |
| | |
| = 주요 사건 =
| |
| | |
| == 1분기 ==
| |
| ・10월 05일, 제1차 FC모바일 리그 재개 선언
| |
| | |
| ・10월 07일, 정부 출범
| |
| | |
| ・10월 07일, [[익스테딕 공화국 국무총리|제15대 국무총리]] [[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 임명
| |
| | |
| ・10월 08일, 성장의 날 선언[* 익스테딕 2기 최초 100명 달성]
| |
| | |
| ・10월 08일, [[익스테딕 선거법|선거법]] 개정[* 선거권자/피선거권자 규정, 투표소 개설, 부정 선거 방지, 시민권 제도 개편 등]
| |
| | |
| ・10월 08일, 인구통계학 정책 발표
| |
| | |
| ・10월 08일, 익스테딕 2기 최초 110명 달성
| |
| | |
| == 2분기 ==
| |
| ・10월 13일, 대통령령 제1호 발령
| |
| | |
| ・10월 14일, [[구디슨 사태]]
| |
| | |
| ・10월 14일, 대통령령 제2호 발령
| |
| | |
| ・10월 14일, 대통령령 제3호 발령
| |
| | |
| ・10월 14일, 익스테딕 2기 최초 120명 달성
| |
| | |
| ・10월 14일, 제4대 대통령 [[뽀옹시]] 사면
| |
| | |
| ・10월 15일, [[뽀옹시]] 복귀
| |
| | |
| ・10월 15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24명 달성
| |
| | |
| ・10월 15일, [[2023 서안 가네포|2023 가을 서안 가네포]] 개막
| |
| | |
| ・10월 16일, 댓글 토론 정책 발표
| |
| | |
| ・10월 16일, 정부명 '''슈티르너 정부''' 결정
| |
| | |
| ・10월 17일, 익스테딕 시민권자 30명 돌파
| |
| | |
| ・10월 18일, 역사서 편찬 정책 발표
| |
| | |
| == 3분기 ==
| |
| ・10월 19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27명 달성
| |
| | |
| ・10월 19일, [[익스테딕 기타국제대회홍보금지특별법|기타국제대회홍보금지특별법]] 제정
| |
| | |
| ・10월 20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30명 달성
| |
| | |
| ・10월 21일, [[익스테딕 교육부|교육부]] 설립
| |
| | |
| ・10월 21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38명 달성
| |
| | |
| ・10월 21일, [[평천 연설]]
| |
| | |
| ・10월 22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44명 달성
| |
| | |
| ・10월 22일, 익스테딕 시민권자 40명 돌파
| |
| | |
| ・10월 23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47명 달성
| |
| | |
| ・10월 24일, [[판다 사태]]
| |
| | |
| ・10월 24일, 경비계엄령[* 익스테딕 카카오톡 지부 한정] 선포
| |
| | |
| ・10월 25일, 모의전 정책 발표
| |
| | |
| == 4분기 ==
| |
| ・10월 27일, [[익스테딕 제10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0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10월 28일, 경제 개혁 발표
| |
| | |
| ・10월 28일, [[익스테딕 홍보법|홍보법]] 제정[* 홍보 협정 규정, 무단 홍보 방지 등]
| |
| | |
| ・10월 28일, [[2023 서안 가네포|2023 가을 서안 가네포]] 폐막
| |
| | |
| ・10월 28일, 익스테딕 시민권자 50명 돌파
| |
| | |
| ・10월 29일, 익스테딕 시민권자 60명 돌파
| |
| | |
| ・10월 29일, [[도박봇 사태]]
| |
| | |
| ・10월 29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53명 달성
| |
| | |
| ・10월 30일, 1일 3개혁 정책 발표
| |
| | |
| ・10월 30일, [[익스테딕 정당법|정당법]] 제정
| |
| | |
| ・10월 30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54명 달성
| |
| | |
| ・10월 31일, 대통령령 제4호 발령
| |
| | |
| ・10월 31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58명 달성
| |
| | |
| ・10월 31일, 익스테딕 시민권자 70명 돌파
| |
| | |
| ・11월 02일, 행정해석 제1호 발표
| |
| | |
| ・11월 02일, [[익스테딕 제 16대 대선|제16대 대통령 선거]]
| |
| | |
| ・11월 02일, [[익스테딕 제1대 부선|제1대 부통령 선거]]
| |
| | |
| ・11월 03일, [[익스테딕 제 16대 대선|제16대 대통령 선거]], [[세르히 카르야킨]] 후보 당선
| |
| | |
| ・11월 03일, [[익스테딕 제1대 부선|제1대 부통령 선거]], [[완전 비행]] 후보 당선
| |
| | |
| == 5분기 ==
| |
| ・11월 05일, [[진입장벽 비판]]
| |
| | |
| ・11월 07일, [[익스테딕 2023년 11월 재보궐선거|2023년 11월 재보궐선거]]
| |
| | |
| ・11월 09일, [[익스테딕 공화국 국무총리|제16대 국무총리]] [[에리히]] 임명
| |
| | |
| ・11월 10일, 제1차 [[빌헬름]] 사면 검토
| |
| | |
| ・11월 10일, [[오세아니아 스웨덴 전쟁]], 불개입 표명
| |
| | |
| ・11월 10일, 제2차 FC모바일 리그 재개 선언
| |
| | |
| == 6분기 ==
| |
| ・11월 11일, 제1회 출근길 문답
| |
| | |
| ・11월 11일, 저성장 돌입
| |
| | |
| ・11월 15일, 경제 개혁 실패[* 이후 운영부와 입법부로 양도되었다.]
| |
| | |
| ・11월 17일, 익스테딕 시민권자 80명 돌파
| |
| | |
| ・11월 17일, [[익스테딕 제14대 국회의원 총선거|제14대 국회의원 총선거]]
| |
| | |
| == 7분기 ==
| |
| ・11월 21일, 제2차 [[빌헬름]] 사면 검토
| |
| | |
| ・11월 22일, [[야마토 대한민국 전쟁]], 불개입 표명
| |
| | |
| ・11월 22일, [[익스테딕 선거법|선거법]] 개정[* 이인제 방지법, 선거 놀음 방지 등]
| |
| | |
| ・11월 23일, [[투표의 자유]] 인정, 투표 신청서 효력 정지
| |
| | |
| ・11월 24일, [[빌헬름]] 사면
| |
| | |
| == 8분기 ==
| |
| ・11월 25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59명 달성
| |
| | |
| ・11월 26일, 익스테딕 최대 인구 162명 달성
| |
| | |
| ・11월 27일, [[익스테딕 제1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12월 01일, [[익스테딕 제 17대 대선|제17대 대통령 선거]]
| |
| | |
| ・12월 01일, [[익스테딕 제2대 부선|제2대 대통령 선거]]
| |
| | |
| ・12월 03일, 대통령령 제5호 발령
| |
| | |
| ・12월 03일, [[익스테딕 제 17대 대선|제17대 대통령 선거]], [[수수]] 후보 당선
| |
| | |
| ・12월 03일, [[익스테딕 제2대 부선|제2대 부통령 선거]], [[함태희]] 후보 당선
| |
| | |
| ・12월 03일, [[12.3 테러]]
| |
| | |
| ・12월 03일, 오픈채팅^^(URL)^^ 본방 이전[* [[익스테딕 평천특별시|평천특별시]]에서 [[익스테딕 남도특별자치시|남도특별자치시]]로 이전하였다.]
| |
| | |
| ・12월 03일, [[익스테딕 비상대책위원회|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선포
| |
| | |
| ・12월 03일, [[익스테딕 비상대책위원회|비상대책위원회]], [[익스테딕 가상국가준비위원회|제3차 가상국가준비위원회]]로 격상
| |
| | |
| ・12월 03일, '''슈티르너 정부''' 제6기 내각 구성
| |
| | |
| ・12월 03일, '''카르야킨 권한대행 체제'''
| |
| | |
| ・12월 03일, [[12.3 내란]]
| |
| | |
| ・12월 03일, [[영국연방|잉글랜드]], [[브라반트 공화국]], [[신성 로마 제국|독일 연방]]과 혈맹 체결
| |
| | |
| == 9분기 ==
| |
| ・12월 04일, [[교차로]] 및 [[영]] 입국 금지
| |
| | |
| ・12월 04일, [[유민]] 및 [[이지은]] 사면
| |
| | |
| ・12월 04일, 비상계엄령[* 익스테딕 URL 전역] 선포
| |
| | |
| ・12월 07일, 비상단계 5단계 발령
| |
| | |
| ・12월 07일, [[익스테딕 2023년 12월 재보궐선거|2023년 12월 재보궐선거]]
| |
| | |
| ・12월 08일, [[삼미 드림랜드]]에 300 PD 긴급 지원
| |
| | |
| == 10분기 ==
| |
| ・12월 12일,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정치#국회의원 총선거|국회의원 총선거]] 선거구 변동[* [[익스테딕 양해|양해]] 선거구와 [[익스테딕 해정|해정]] 선거구가 [[익스테딕 곡례|곡례]] 선거구로 변경되었다.]
| |
| | |
| ・12월 13일, [[익영우호협력조약|익스테딕 공화국과 대영제국 간의 우호협력조약]] 체결
| |
| | |
| ・12월 14일, [[익스테딕 운영정책|운영정책]] 개정
| |
| | |
| ・12월 16일, [[멜리나 2024 평천 동계 올림픽|2024 평천 동계 올림픽]] 로블록스 주 경기장 준공
| |
| | |
| ・12월 16일, [[익스테딕 설정정보위원회|설정정보위원회]] 설립
| |
| | |
| ・12월 17일, [[익스테딕 제15대 국회의원 총선거|제15대 국회의원 총선거]]
| |
| | |
| ・12월 17일, [[제1대 브렉스 의원 선거]]
| |
| | |
| == 11분기 ==
| |
| ・12월 23일, [[12.23 테러]]
| |
| | |
| ・12월 23일, [[익스테딕 제1차 국민투표|제1차 국민투표]][* '익스테딕의 설정 변경' 찬반 안건]
| |
| | |
| ・12월 24일, [[익스테딕 제2차 국민투표|제2차 국민투표]][* '익스테딕의 설정 변경' 세부 안건]
| |
| | |
| == 12분기 ==
| |
| ・12월 27일, [[익스테딕 제1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01월 01일, [[익스테딕 제 18대 대선|제18대 대통령 선거]]
| |
| | |
| ・01월 01일, [[익스테딕 제 3대 부선|제3대 부통령 선거]]
| |
| | |
| == 13분기 ==
| |
| ・03월 02일, [[익스테딕 제 20대 대선|제20대 대통령 선거]], [[세르히 카르야킨]] 후보 당선
| |
| | |
| ・03월 02일, [[익스테딕 제5대 부선|제5대 부통령 선거]], [[이스라엘]] 후보 당선
| |
| | |
| ・03월 02일, [[은하예]] 및 [[에리히]] 사면
| |
| | |
| ・03월 02일, [[샤를]] 사면
| |
| | |
| ・03월 02일, [[익스테딕 공화국 국무총리|제22대 국무총리]] [[에리히]] 임명
| |
| | |
| ・03월 02일, [[익스테딕 국방부|국방부]] 및 [[익스테딕 외교부|외교부]], [[익스테딕 국무부|국무부]]로 신설 합병[* 전임 정부인 [[익스테딕 발전 정부|발전 정부]] 당시 분리되었으나, 다시 합병되었다.]
| |
| | |
| ・03월 02일, [[익스테딕 문화부|문화부]] 및 [[익스테딕 중앙정보국|중앙정보국]] 및 재설립[* 전임 정부인 [[익스테딕 발전 정부|발전 정부]] 당시 폐지되었으나, 다시 설립되었다.]
| |
| | |
| ・03월 02일, 정부명 '''슈티르너 정부''' 결정, 4기 정부 부제 '''<근대 철학의 빛을 보다>''' 결정
| |
| | |
| ・03월 02일, [[세르히 카르야킨]],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제20대 대통령]] 취임 선서 발표
| |
| | |
| ・03월 02일, [[익스테딕 공화국 부총리|부총리]] 폐지[* 전임 정부인 [[익스테딕 발전 정부|발전 정부]] 당시 신설되었으나, 다시 폐지되었다.]
| |
| | |
| ・03월 02일, '''슈티르너 정부''' 제7기 내각 구성
| |
| | |
| ・03월 02일, [[익스테딕 재무부|재무부]] 재설립[* 전임 정부인 [[익스테딕 발전 정부|발전 정부]] 당시 폐지되었으나, 다시 설립되었다.]
| |
| | |
| ・03월 03일, [[익스테딕 홍보부|홍보부]] 설립
| |
| | |
| ・03월 03일, [[유피스 제국]]과 수교 체결
| |
| | |
| ・03월 03일, [[익스테딕 홍보부|홍보부]], [[익스테딕 국무부|국무부]] 산하 [[익스테딕 홍보청|홍보청]]으로 격하
| |
| | |
| ・03월 04일, [[익스테딕 국무부|국무부]] 산하 [[익스테딕 홍보청|홍보청]], [[익스테딕 복지부|복지부]]로 격상
| |
| | |
| ・03월 05일, [[관악당]]과 동맹 체결
| |
| | |
| ・03월 07일, [[익스테딕 2024년 3월 재보궐선거|2024년 3월 재보궐선거]]
| |
| | |
| ・03월 07일, [[fire 제국]]과 수교 체결
| |
| | |
| == 14분기 ==
| |
| ・03월 09일, [[독일 제3제국]]과 수교 체결
| |
| | |
| ・03월 09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НСССР)|파르니예프 소련]]과 수교 체결
| |
| | |
| ・03월 10일, [[익스테딕 하이랜드지사|하이랜드지사]] [[이민]] 임명
| |
| | |
| ・03월 11일, 오픈채팅^^(URL)^^ 인구 80명 달성
| |
| | |
| ・03월 11일, [[익스테딕 하이랜드 명칭 변경 특별법|하이랜드 명칭 변경 특별법]] 제정[* [[익스테딕 아인 아워랜드|아인 아워랜드]]로 변경]
| |
| | |
| ・03월 11일, [[Build Back Extedic|재건익스테딕 계획]] 발표
| |
| | |
| ・03월 14일, [[카르야킨 대통령령 제6호|대통령령 제6호]] 발령
| |
| | |
| ・03월 14일, [[익스테딕 복지부|복지부]], [[익스테딕 국무부|국무부]]로 합병
| |
| | |
| ・03월 14일, [[이스라엘]] 부통령 1차 실종[* 개인 사정으로 인한 탈퇴], 임시 [[에리히]] 부통령 권한대행 및 임시 [[함태희]] 국무총리 권한대행
| |
| | |
| ・03월 14일, '''슈티르너 정부''' 제8기 내각 구성
| |
| | |
| ・03월 14일, [[익스테딕 재무부|재무부]] 해산
| |
| | |
| ・03월 14일, [[익스테딕 교육부|교육부]] 신설
| |
| | |
| ・03월 15일, [[익스테딕 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
| |
| | |
| ・03월 15일, [[이스라엘]] 부통령 2차 실종[* 개인 사정으로 인한 탈퇴], 임시 [[에리히]] 부통령 권한대행 및 임시 [[함태희]] 국무총리 권한대행
| |
| | |
| == 15분기 ==
| |
| ・03월 16일, [[아템]] 사면
| |
| | |
| ・03월 16일, [[에리히]] 부통령 권한대행 및 [[함태희]] 국무총리 권한대행 체제 돌입
| |
| | |
| ・03월 16일, [[3.16 도배 사건]]
| |
| | |
| ・03월 17일, '네프티스 연합 탈퇴 결의안' 가결, [[네프티스 연합]] 탈퇴 및 [[네프티스 인류 제국 전쟁]] 전선 이탈
| |
| | |
| ・03월 17일, [[유익스 국회법|국회법]] 제정[* 정기회 도입, 회기 도입, 휴회 도입, 대정부질의안 도입 등]
| |
| | |
| ・03월 17일, [[익스테딕 개혁의시대|개혁의시대]] 연립여당 합류
| |
| | |
| ・03월 17일, 오픈채팅^^(URL)^^ 인구 90명 달성
| |
| | |
| ・03월 17일, [[하카]] 사면
| |
| | |
| ・03월 19일, [[익스테딕 헌법재판소 설립 특별법|헌법재판소 설립 특별법]] 제정[* 헌법재판소 설립, 헌법재판소장 겸직 금지, 평천중앙지방법원 해산 등]
| |
| | |
| ・03월 21일, [[익스테딕 제3대 국회의장 선거|제3대 국회의장 선거]]
| |
| | |
| == 16분기 ==
| |
| ・03월 23일, [[익스테딕 재무부|재무부]] 재설립
| |
| | |
| ・03월 23일, '''슈티르너 정부''' 제9기 내각 구성
| |
| | |
| ・03월 23일, 오픈채팅^^(URL)^^ 인구 100명 달성
| |
| | |
| ・03월 24일, [[익롬우호협력조약|익스테딕 공화국과 신성 로마 제국 간의 우호협력조약]] 체결
| |
| | |
| ・03월 24일, [[카르야킨 대통령령 제7호|대통령령 제7호]] 발령[* [[Build Back Extedic|재건익스테딕 계획]] 중 경제 개혁]
| |
| | |
| ・03월 24일, [[스위스 롭냥민국 전쟁]], 불개입 표명
| |
| | |
| ・03월 26일, [[익스테딕 함태희의발언권에관한특별법|함태희의발언권에관한특별법]] 가결안에 대한 대통령 거부권 행사
| |
| | |
| ・03월 27일, [[익스테딕 제1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03월 29일, [[THD]] 사면
| |
| | |
| ・03월 30일, 오픈채팅^^(URL)^^ 인구 110명 달성
| |
| | |
| ・03월 30일, [[봉황 도배 사건]]
| |
| | |
| ・03월 30일, [[궤양]] 사면
| |
| | |
| ・03월 31일, [[익스테딕 제 21대 대선|제21대 대통령 선거]]
| |
| | |
| ・03월 31일, [[익스테딕 제 6대 부선|제6대 부통령 선거]]
| |
| | |
| ・03월 31일, [[익스테딕 국무부|국무부]] 산하 [[익스테딕 국방청|국방청]] 설립
| |
| | |
| ・03월 31일, [[익스테딕 선거법|선거법]] 개정[* 투표권 규제 강화]
| |
| | |
| ・04월 01일, [[류다]] 사면
| |
| | |
| == 17분기 ==
| |
| ・04월 02일, [[익스테딕 제 21대 대선|제21대 대통령 선거]], [[세르히 카르야킨]] 후보 당선
| |
| | |
| ・04월 02일, [[익스테딕 제6대 부선|제6대 부통령 선거]], [[월드]] 후보 당선
| |
| | |
| ・04월 02일, 정부명 '''슈티르너 정부''' 결정, 5기 정부 부제 '''<미래의 정치로 초대합니다>''' 결정
| |
| | |
| ・04월 02일, [[익스테딕 중앙정보국|CCIA]] 해산[* 대테러 작전・치안 업무는 [[익스테딕 국방청|국방청]], 수사 업무는 [[공인 탐정]], 정보 업무는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대통령]]・[[익스테딕 공화국 부통령|부통령]]・[[익스테딕 국무부|국무부]]로 분화되었다.]
| |
| | |
| ・04월 02일, [[익스테딕 공화국 국무총리|제23대 국무총리]] [[퍼픽]] 임명
| |
| | |
| ・04월 02일, [[익스테딕 재무부|재무부]] 및 [[익스테딕 교육부|교육부]], [[익스테딕 미래부|미래부]]로 신설 합병
| |
| | |
| ・04월 02일, '''슈티르너 정부''' 제10기 내각 구성
| |
| | |
| ・04월 02일, [[세르히 카르야킨]],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제21대 대통령]] 취임 선서 발표
| |
| | |
| ・04월 02일, 최저 주급 6.00 PD 결정
| |
| | |
| ・04월 03일, [[카르야킨 독트린]] 제창
| |
| | |
| ・04월 04일, [[E리그]] 창설
| |
| | |
| ・04월 05일, [[천해본 국제대회]] 참여 선언
| |
| | |
| ・04월 05일, [[익스테딕 2024년 4월 재보궐선거|2024년 4월 재보궐선거]]
| |
| | |
| ・04월 05일, '''슈티르너 정부''' 제11기 내각 구성
| |
| | |
| ・04월 05일, [[익스테딕 미래부|미래부]], [[익스테딕 기획재무부|기획재무부]]로 명칭 변경
| |
| | |
| ・04월 06일, [[월드]] 탄핵소추안 가결, [[퍼픽]] 부통령 권한대행 및 [[에리히]] 국무총리 권한대행 체제 돌입
| |
| | |
| ・04월 06일, [[카르야킨 대통령령 제8호|대통령령 제8호]] 발령
| |
| | |
| ・04월 06일, [[카르야킨 대통령령 제9호|대통령령 제9호]] 발령
| |
| | |
| ・04월 06일, [[유민]] 사면
| |
| | |
| == 18분기 ==
| |
| ・04월 11일, 80명 오픈채팅^^(URL)^^ 병합[* [[초고]]가 운영하던 모의전 오픈채팅이다.]
| |
| | |
| ・04월 11일, [[자유 선언]]
| |
| | |
| ・04월 13일, [[스로키]] 사면
| |
| | |
| ・04월 14일, [[4.14 휴전 제안]]
| |
| | |
| ・04월 14일, [[익스테딕 제19대 국회의원 총선거|제19대 국회의원 총선거]]
| |
| | |
| ・04월 14일, [[크로스]] 사면
| |
| | |
| ・04월 15일, [[익스테딕 운영위원회]], [[초고]]/[[아라]]/[[병아리]] 운영위원 임명
| |
| | |
| ・04월 15일, [[세레나데구]], 공식 깃발 채택
| |
| | |
| == 19분기 ==
| |
| ・04월 16일, '''슈티르너 정부''' 제12기 내각 구성
| |
| | |
| ・04월 16일, [[국방개혁 프로젝트]]
| |
| | |
| ・04월 17일, 제12기 내각 보충안 발표[* [[익스테딕 공화국 문화장관|문화장관]] [[월드]]에서 [[이들]]로 변경, [[익스테딕 공화국 통일청장|통일청장]] [[크로스]]에서 [[룬트슈테트]]로 변경]
| |
| | |
| ・04월 18일, [[익스테딕 국무부|국무부]] 산하 [[익스테딕 통일청|통일청]] 설립
| |
| | |
| ・04월 18일, [[미합중국(카카오톡)|미합중국]] 철수령 공포
| |
| | |
| ・04월 18일, [[미합중국(카카오톡)|미합중국]] 철수령 해제
| |
| | |
| ・04월 18일, [[익스테딕 공화국 통일청장|통일청장]] [[은하예]] 임명
| |
| | |
| ・04월 20일, [[익스테딕 공화국 금융준비제도 의장|금융준비제도 의장]] [[우라늄]] 임명
| |
| | |
| ・04월 20일, [[4.20 세레나데 테러]]
| |
| | |
| ・04월 20일, [[익스테딕 검찰청|검찰청]] 설립
| |
| | |
| ・04월 20일, [[익스테딕 공화국 검찰총장|검찰총장]] [[에리히]] 임명
| |
| | |
| ・04월 20일, [[익스테딕 정당법|정당법]] 개정안 가결 및 개정[* 입탈당 신청서 의무화, 유령 정당 해산, 합당 및 해산 조건화]
| |
| | |
| ・04월 21일, [[익스테딕 의석증여특별법|의석증여특별법]] 가결 및 제정[* 상호 합의된 의석 증여 허가]
| |
| | |
| ・04월 21일, 인구통계학 정책 재개
| |
| | |
| == 20분기 ==
| |
| ・04월 23일, '''슈티르너 정부''' 제13기 내각 구성
| |
| | |
| ・04월 23일, [[제이미 안철수]] 사면[* [[익스테딕 제 22대 대선|제22대 대통령 선거]] 불출마 조건부]
| |
| | |
| ・04월 24일, [[익스테딕구]] 오픈채팅^^(URL)^^ 인구 150명 달성, [[12.3 테러]] 직전으로 복구
| |
| | |
| ・04월 25일, [[익스테딕 제1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04월 26일, [[별환]]/[[은하예]] 정지 사건
| |
| | |
| ・04월 27일, [[릭롤]] 사면
| |
| | |
| ・04월 27일, [[2024 아인 바레스 가네포]] 유치
| |
| | |
| ・04월 28일, [[세레나데 사태]] 수사 종결[* 범인은 [[아라]]로 결론]
| |
| | |
| ・04월 28일, [[이냥]] 사면
| |
| | |
| ・04월 28일, [[익스테딕 공화국 대법원장|대법원장]] [[이냥]] 임명
| |
| | |
| ・04월 30일, [[익스테딕 제 22대 대선|제22대 대통령 선거]]
| |
| | |
| ・04월 30일, [[익스테딕 제 7대 부선|제7대 부통령 선거]]
| |
| | |
| ・05월 01일, 저성장 돌입
| |
| | |
| == 21분기 ==
| |
| ・07월 01일, [[익스테딕 제 24대 대선|제24대 대통령 선거]], [[세르히 카르야킨]] 후보 당선
| |
| | |
| ・07월 01일, [[익스테딕 제9대 부선|제9대 부통령 선거]], [[이지은]] 후보 당선
| |
| | |
| ・07월 01일, 정부명 '''슈티르너 정부''' 결정, 6기 정부 부제 '''<폭도사 청산, 진정한 재건>''' 결정
| |
| | |
| ・07월 01일, [[세르히 카르야킨]],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제24대 대통령]] 취임 선서 발표
| |
| | |
| ・07월 06일, [[익스테딕 2024년 7월 재보궐선거|2024년 7월 재보궐선거]]
| |
| | |
| == 22분기 ==
| |
| ・07월 08일,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국장|유일무이한 국장<small>(Unitary Seal)</small>]] 제정
| |
| | |
| ・07월 08일, [[이지은]] 부통령 사퇴, [[호널]] 아인 바레스지사 권한대행 체제 돌입
| |
| | |
| ・07월 08일, [[카르야킨 대통령령 제10호|대통령령 제10호]] 발령
| |
| | |
| == 23분기 ==
| |
| ・07월 16일, [[익스테딕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
| |
| | |
| == 24분기 ==
| |
| | |
| = 여담 =
| |
| | |
| = 각주 =
| |
| [각주]
| |
| | |
| [[분류: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