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
(→여담) |
||
201번째 줄: | 201번째 줄: | ||
= 여담 = | = 여담 = | ||
월드는 미래전진에서 추방당한 이후 자신의 정당을 창당했다 그게 바로 통합민주당이다 통합민주당은 꽤 오랜 세월동안 해산되지 않고 버텼다 통합민주당의 첫번째 당원은 완전비행이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탈당했다 그 이후 통합민주당에 입당한 이강현 이강현은 꽤 오랜 세월동안 통합민주당을 믿고 남아주었으며 월드는 그 믿음을 인정해 이강현을 통합민주당 부대표 자리에 승진시켰다 이강현은 나중에 탈당하게 된다 통합민주당은 사실상 월드=통합민주당이였기 때문에 월드 한명만으론 통합민주당을 이끌기 부족했다 하지만 도이치라는 인간이 통합민주당에 입당한다 그 이후 도이치는 대선에서 미친 원맨쇼 하드캐리를 펼치며 항상 야당이였던 통합민주당에게 여당이란 자리를 선물했다 도이치는 이후 "나중에 돌아오겠다"라는 명분으로 통합민주당을 탈당했다 근데 돌아오지않았다 그 이후 통합민주당은 내리막길을 걷는다 월드가 어떻게든 해보려하지만 반등은 없었다 이렇게 통합민주당은 해산되게된다 수개월 후 현재 월드 (전)통합민주당 대표는 현재 가접을 준비중이다 | |||
= 각주 = | = 각주 = |
2024년 8월 16일 (금) 18:34 판
어울림재단의 공식 문서입니다. 어울림재단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가 적용되지 않으며, 어울림재단의 허가 없는 비상업적・상업적 사용, 배포, 편집을 금지합니다. |
익스테딕 공화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본 문서를 관계자의 허용 없이 무단 편집할 시, 처벌 받을 수 있으니 편집 요청은 관계자에게 문의하십시오. |
익스테딕 공화국의 진보주의 정당 | ||||
창당 | → | 통합민주당 | → | 해산 |
조국 (개별 합류) | ||||
신원당 (흡수 합당) |
![]() | |
통합민주당 United Democratic Party | |
---|---|
창당일 | 2022년 06월 (3주년) (민주당) |
해산일 | 2024년 03월 17일 (1주년) |
주소 | 익스테딕 공화국 익스테딕구 |
슬로건 | 국가를 즐겁게 |
이념 | 국민주의 |
스펙트럼 | 중도 좌파 |
대표 | 월드 (제1대) |
국회의원 | 11석 / 300석(해산 직전) |
지방의원 | 0석 / 500석(해산 직전) |
당원 | 1명(해산 직전) |
상징색 | 파란색(#004ea1) |
개요
→ |
→ |
||||
![]() () |
(2023. 09. 13. ~ 2023. 10. 22.) |
(2023. 10. 22. ~ 2024. 02. 01.) |
통합민주당은 과거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의 여당이다.
약력
월드가 2023년에 통합민주당으로 창당했다.
강령
정책
당사
당명
로고
통합민주당의 로고 | |
![]() | 2023년 6월 ~ 2024년 03월 17일 |
역사
역대 전당대회
역대 지도부
역대 선거대책위원회
역대 선거
대통령 선거
연도 | 선거명 | 후보자 | 득표 수 (득표율) | 결과 |
2023년 | 제13대 | 이강현 | 3 (7.69%) | 낙선 |
2023년 | 제14대 | 카르야킨 | 7 (18.92%) | 낙선 |
2023년 | 제15대 | 카르야킨 | 27 (57.45%) | 당선 |
2023년 | 제17대 | 월드 | 1 (1.85%) | 낙선 |
2024년 | 제18대 | 월드 | 2 (8.00%) | 낙선 |
제13대 대통령 선거

제14대 대통령 선거

제15대 대통령 선거

제17대 대통령 선거

제18대 대통령 선거

부통령 선거
제1대 부통령 선거

제2대 부통령 선거

제3대 부통령 선거

국회의원 총선거
연도 | 선거명 | 지역구 (비율) | 비례대표 (비율) | 총 의석 (비율) | 결과 |
2023년 | 제14대 | 25/150 (16.7%) | 23/150 (15.3%) | 48/300 (16.0%) | 원내 1당 |
2024년 | 제15대 | 30/150 (20.0%) | 75/150 (50.0%) | 105/300 (35.0%) |
제14대 총선

제15대 총선

제16대 총선

제17대 총선

제18대 총선

전국동시지방선거
연도 | 선거명 | 지자체장 (비율) | 지방의원 (비율) | 결과 |
2023년 | 제10회 | 0/3 (0.0%) | / (5.9%) | 제3당 |
2023년 | 제11회 | 1/3 (33.3%) | 제1당 | |
2023년 | 제12회 | 1/2 (50.0%) |
제10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1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1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재보궐 선거
연도 | 국회의원 (비율) | 지자체장 (비율) | 지방의원 (비율) |
2023년 11월 | 5/20 (25.00%) | ||
2023년 12월 | 69/88 (78.41%) | ||
2024년 1월 | 30/60 (50.00%) |
2023년
11월 재보궐 선거

12월 재보궐 선거

2024년
1월 재보궐 선거

계파
지지 기반
지지율
- HJ NEWS에서 01월 26일 ~ 02월 02일, 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제도개혁당 26.67% - 자유공화당 20.00% - 인민의 종 13.34% - 통합민주당 13.34% - 잔혹한 천사의 테제 13.34% - 참여당 6.67% - 이회창은승리한당 6.67%를 기록했다.
다른 정당과의 관계
여담
월드는 미래전진에서 추방당한 이후 자신의 정당을 창당했다 그게 바로 통합민주당이다 통합민주당은 꽤 오랜 세월동안 해산되지 않고 버텼다 통합민주당의 첫번째 당원은 완전비행이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탈당했다 그 이후 통합민주당에 입당한 이강현 이강현은 꽤 오랜 세월동안 통합민주당을 믿고 남아주었으며 월드는 그 믿음을 인정해 이강현을 통합민주당 부대표 자리에 승진시켰다 이강현은 나중에 탈당하게 된다 통합민주당은 사실상 월드=통합민주당이였기 때문에 월드 한명만으론 통합민주당을 이끌기 부족했다 하지만 도이치라는 인간이 통합민주당에 입당한다 그 이후 도이치는 대선에서 미친 원맨쇼 하드캐리를 펼치며 항상 야당이였던 통합민주당에게 여당이란 자리를 선물했다 도이치는 이후 "나중에 돌아오겠다"라는 명분으로 통합민주당을 탈당했다 근데 돌아오지않았다 그 이후 통합민주당은 내리막길을 걷는다 월드가 어떻게든 해보려하지만 반등은 없었다 이렇게 통합민주당은 해산되게된다 수개월 후 현재 월드 (전)통합민주당 대표는 현재 가접을 준비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