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카이국제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월본/공항}}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CCC;" ! style="background:#d9b600;" colspan=2 | 쇼카이 국제공항<br>Shōkai International Airport / 绍角国际空港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380px|link=</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d9b600;" | 공항 정보 |- ! style="width:100px;" | IATA | SWK |- ! ICAO | RWSK |- ! 위치 | 월본 만칸특별...)
(차이 없음)

2024년 11월 23일 (토) 23:54 판

월본의 공항
후안/아사모토 고산국제공항・・・
산주/도후 선전공항쇼카이국제공항판탄국제공항・・・
수도권 산쿄국제공항인산국제공항・・・
중부 미소노국제공항・・・
신와 이타미국제공항・・・
서안/다난 ・・・
주곤/남도 산칸국제공항・・・
쇼카이 국제공항
Shōkai International Airport / 绍角国际空港
쇼카이국제공항.png
공항 정보
IATA SWK
ICAO RWSK
위치 월본 만칸특별행정구 구룡반도
언어별 명칭
월본어 绍 角(쇼 카이) 国际空港
영어 Shōkai International Airport
(Shōkai Airport)
한국어 쇼카이 국제공항 (소개 공항)
개항
1962년 7월 1일
활주로
1개소 13/31 (3,150m × 50m)
터미널
운영중 국내선터미널
국제선터미널
연계교통 만칸도시철도
공항버스

쇼카이 국제공항 / 绍角国际空港 / Shōkai International Airport

개요

월본 만칸특별행정구에 위치한 만칸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 국제공항이다. 본래는 강일한이 월본 북동쪽을 방어하기 위해 공군기지를 설치했지만, 때마침 월남전이 터지면서 강일한이 월남전 개입을 결정했을때, 국내에 중요했던 공군기지였다. 1977년 경제회복정책때, 기업들의 본거지인 도본에 해외관광객을 끌여들이기 위해, 공항의 모습을 갖추었다.

역사

월남전

월남전시절, 월본이 월남전에 개입중일때, 중요한 군사기지로 군림했다. 또한 미국의 공군들이 항공유 급유를 위해 자주 들렀던 곳이기도 하다. 당시 아주 작은 활주로 2개로 되어있었지만, 월남전이 종료된후, 경제회복정책 실행때, 공군을 조금 더 북동쪽으로 이동시키고, 공항화를 할때, 활주로를 뜯어고쳤다.

현재

쇼카이 커브 매우 어려운 착륙 난이도를 자랑하는 공항이다. 심지어 ILS도 없이 착륙을 해야한다. 이유는 공항을 둘러싸고 있는 구룡반도에 높이 솟은 쇼카이산(소각산)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옆으로 커브를 돌아서 착륙해야 한다. 간혹, "커브 없는 반대 쪽으로 착륙하면 되지 않냐" 라는 말로 의문을 제시하지만, 공항이 바다[1]에 위치하기 때문에, 해풍이 심하다, 옆으로 기체가 휘청일 수도 있고, 무엇보다 바다 반대쪽에도 주거구역이 포진해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착륙하기가 까다롭다. 거기에 ILS 역시 지형상의 문제로 설치가 불가능해, 악천후시 착륙을 거의 포기하는편이 나을정도.

이처럼 인간의 한계를 시험하는 공항이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크고 작은 사고가 잇따랐다. 따라서 신공항이 절실했고 신공항이 건설 계획중이다.

도시접근성

공항 치곤 매우 좋은 도시 접근성을 자랑한다. 애초에 구룡반도와 만칸섬과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만칸섬이나 본토 어디든지 이동하기가 수월하다. 바로 터미널에서 나와서 만칸 전계선을 타면 만칸 시내로 접근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도시 접근성으로 인하여, 항공기의 소음이 장난아니다. 구룡반도 주거 지역에서 막말로 상시 비행기 엔진 소음이 다가온다., 덕분에 오후 12시부터 오전 6시까지 이착륙이 제한되어 있다.

사건사고

각주

  1. 해협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