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가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 난방공화국]]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f84808; width: 100%; max-width: 450px; float: right"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f84808; width: 100%; max-width: 450px; float: right"
| colspan="6" style="background: #f84808; color: #fff" align=middle | <big>'''객가어'''</big><br>'''客家话 / 客家話'''<br>'''Hakka Chinese'''
| colspan="6" style="background: #f84808; color: #fff" align=middle | <big>'''객가어'''</big><br>'''客家话 / 客家話'''<br>'''Hakka Chinese'''
22번째 줄: 23번째 줄: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84808; color: #fff" align=middle | '''원어민'''
| colspan="2" style="background: #f84808; color: #fff" align=middle | '''원어민'''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약 4000만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약 4800만
|-
| colspan="2" style="background: #f84808; color: #fff" align=middle | '''계통'''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span class="plainlinks">[https://ko.m.wikipedia.org/wiki/%EC%A4%91%EA%B5%AD%ED%8B%B0%EB%B2%A0%ED%8A%B8%EC%96%B4%EC%A1%B1 중국티베트어족]</span><br>└ [[중국어|중국어파]]<br>ㅤㅤ└ [[중국어]]<br>ㅤㅤㅤㅤ└ [[객가어]]
|-
| colspan="2" style="background: #f84808; color: #fff" align=middle | '''방언'''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 매양 방언<br>• 오화 방언<br>• 정주 방언<br>• 사현 방언<br>• 혜주 방언
|-
|}
 
{{목차}}

2024년 12월 11일 (수) 14:51 판

객가어
客家话 / 客家話
Hakka Chinese
객가어 지도.png
객가어 사용 지역 분포도
유형 고립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우종서
문자 한자, 로마자
주요 사용 지역 ROC Flag.png 중화민국
푸젠성
광둥성
동녕.png 대만
난방공화국 국기.png 난방공화국
원어민 약 4800만 명
계통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파
ㅤㅤ└ 중국어
ㅤㅤㅤㅤ└ 객가어
방언 • 매양 방언
• 오화 방언
• 정주 방언
• 사현 방언
• 혜주 방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