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목차}} ==개요== {{인용문1|'''상식은 세계에서 가장 잘 팔려나가는 상품이다. 왜냐하면 모든 인간은 스스로를 '상식이 잘 갖춰진 사람'이라고 확신하기 때문이다.'''|르네 데카르트}} {{+1|常識 / Common Sense, Common Knowledge}} 특정 사회에 속한 구성원이 알아야 할 지식을 습득하면 이를 기본 교양이라고 확신하게 되는 개념이다. 전문적인 지식이 아닌, 정상...)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특정 사회에 속한 구성원이 알아야 할 지식을 습득하면 이를 기본 교양이라고 확신하게 되는 [[개념]]이다. 전문적인 지식이 아닌, 정상적인 사람들이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어야 할 일반적인 지식 ·이해력 · 판단력 · 사리분별 능력을 통칭하는 용례로 흔히 사용되는데 엄밀히 따지면 정상의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를 먼저 정해야 되기 때문에 절대적인 관점이라고 볼 수 없다.
특정 사회에 속한 구성원이 알아야 할 지식을 습득하면 이를 기본 교양이라고 확신하게 되는 [[개념]]이다. 전문적인 지식이 아닌, 정상적인 사람들이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어야 할 일반적인 지식 ·이해력 · 판단력 · 사리분별 능력을 통칭하는 용례로 흔히 사용되는데 엄밀히 따지면 정상의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를 먼저 정해야 되기 때문에 절대적인 관점이라고 볼 수 없다.
==상식은 절대적인가?==
==상식에 관한 논쟁==


[[분류:학문]][[분류:한자어]]
[[분류:학문]][[분류:한자어]]

2025년 2월 8일 (토) 03:03 기준 최신판

개요

상식은 세계에서 가장 잘 팔려나가는 상품이다. 왜냐하면 모든 인간은 스스로를 '상식이 잘 갖춰진 사람'이라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르네 데카르트

常識 / Common Sense, Common Knowledge

특정 사회에 속한 구성원이 알아야 할 지식을 습득하면 이를 기본 교양이라고 확신하게 되는 개념이다. 전문적인 지식이 아닌, 정상적인 사람들이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어야 할 일반적인 지식 ·이해력 · 판단력 · 사리분별 능력을 통칭하는 용례로 흔히 사용되는데 엄밀히 따지면 정상의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를 먼저 정해야 되기 때문에 절대적인 관점이라고 볼 수 없다.

상식은 절대적인가?

상식에 관한 논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