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다음투표 날짜 = 2025년 1월 27일~2022년 1월 29일 | | 다음투표 날짜 = 2025년 1월 27일~2022년 1월 29일 | ||
| 다음투표 = [[폴란드-리투아니아 제 3대 세임의원 선거|3대 총선]] | | 다음투표 = [[폴란드-리투아니아 제 3대 세임의원 선거|3대 총선]] | ||
| 투표율 = % <small>{{{#fa0000 ▲ p}}}</small> | | 투표율 = 18.3% <small>{{{#fa0000 ▲ p}}}</small> | ||
| 결과 사진 = | | 결과 사진 = 폴리투총선2.svg | ||
| 정당1 = | | 정당1 = | ||
| 상징색1 = | | 상징색1 = |
2025년 4월 15일 (화) 00:03 판
폴란드-리투아니아 제 2대 세임의원 선거 | |||||||||
2025년 11월 28일~2025년 11월 30일 1대 총선 |
→ | 2025년 1월 30일~2025년 1월 31일 2대 총선 |
→ | 2025년 1월 27일~2022년 1월 29일 3대 총선 | |||||
투표율 | 18.3% ▲ p | ||||||||
선거 결과 | |||||||||
정당별 확보 의석 |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총합 | 비율 |
자유보수당 | 90석 | 6석 | 96석 | 48% |
이터널 유토피아당 | 30석 | 2석 | 33석 | 16.5% |
다같이 사는 민주당 | 30석 | 0석 | 30석 | 15% |
농민연합 | 0석 | 29석 | 29석 | 14.5% |
국가경제혁명당 | 0석 | 12석 | 12석 | 6% |
개요
2025년 3월 10일부터 3월 11일까지 진행된 카카오톡 가상국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두번째 총선거. 당시 가파른 상승세를 달리고 있던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성공에 힙입어 높은 주목과 흥행을 보인 선거였다.
선거 성격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제 1대 세임의원 선거의 대승으로 인해 전체 200석 중 127석을 가져가 정부여당이 된 자공 내각과 사회민주당은 초기에는 농민연합 등 타 정당들을 압도하며 지지율이 70%를 넘는 등 안정적으로 국정운영을 해나가고 있었다. 그러나, 자공 총리가 학업으로 인해 가접하고 행원 부총리마저 폴리투를 떠나면서 사회민주당 수뇌부가 사실상 와해되었고 이후, 의원들이 전부 탈당하며 몰락했다.
한편, 폴리투는 국왕 호헝의 복귀 이후, 80명대에 머물러 있던 인구가 130명을 돌파하는 등 급격한 성장을 보아며 승승장구하고 있었고 인구와 소통률은 높으나 정치에 공백이 있었던 폴란드- 리투아니아 연합에 여러 가국인들이 모여들면서 여러 신당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새로 만들어진 신당으론 ㅎㄱㅎ의 자유보수당, 데빌구의 다같이사는민주당, 엥스의 이터널 유토피아당, 동호의 국가경제혁명당이 있었다.
변수
단일화 변수
여론조사 상에서 1위를 달리고 있던 자유보수당을 견제해 지지율 2,3위였던 다같이사는민주당과 농민연합의 선거연대 가능성이 재기되었으며 결국 그렇게 되었다.
선거연대 조건으로, 두 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할 경우, 총리는 다민당이 하기로 하였고, 비례대표는 농민연합에게 표를 몰아주기로 하였다.
투표권
시민권자들에게만 투표권을 주는 타 국가들과 다르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은 모든 국민들에게 투표권을 주었다.
선거 일정
2025. 3. 7 ~ 2025. 3. 10 22시 후보등록
2025. 3. 7 ~ 2025. 3. 10 선거운동
2025. 3. 10~ 2025. 3. 10 각 정당,후보 선거연설
2025. 3. 10 . 22시 ~ 2025. 3. 11 . 20시 투표기간
2025. 3. 11 21시 출구조사
2025. 3. 11 22시 선거결과
2025. 3. 11 ~ 2025. 3. 4.11 임기
선거연설
3월 10일에 각 정당의 선거연설이 있기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각 정당 대표들이 선거연설을 꺼려하는 탓에 무산되었다.
선거 방송
TVP 국영방송이 모든 선거방송을 도맡아 하였다.
후보
♤바르샤바♤
2. 농민연합 | 제이미 안철수
5. 자유보수당 | 킴민지
6. 국가경제혁명당 | 동호
♡크라쿠프♡
3. 다같이 사는 민주당 | 으헤헤
4. 이터널 유토피아당 | 엥스
5. 자유보수당 | 루툽
◇키이우◇
2. 농민연합 | 다블
5. 자유보수당 | 캐탈린
7. 무소속 | YunJ
♧빌뉴스♧
3. 다같이 사는 민주당 | 데빌구
5. 자유보수당 | 안철수
☆민스크☆
3. 다같이사는민주당 | 회의주의자
5. 자유보수당 | 강해린
비례대표
2. 농민연합
3. 다같이사는민주당
4. 이터널 유토피아당
5. 자유보수당
6. 국가경제혁명당
여론조사
선거 이틀 전에 실시된 TVP 국영방송의 여론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자유보수당 : 44.5%
다같이 사는 민주당 : 27.8%
농민 연합 : 16.7%
이터널 유토피아당 11.1%
선거구
전 선거와 똑같이 선거구는 5개로 이루어져있다. 바르샤바, 크라쿠프, 키이우, 빌뉴스, 민스크이다.
출구조사
자유보수당 : 90석~ 120석
농민연합 : 28석 ~ 41석
다같이 사는 민주당 : 6석 ~ 30석
이터널 유토피아당 : 16석 ~ 38석
국가경제혁명당 : 4석 ~ 8석
출구조사 지역구 결과
♤바르샤바♤
2. 농민연합 | 제이미 안철수 5
5. 자유보수당 | 킴민지 6
6. 국가경제혁명당 | 동호 1
♡크라쿠프♡
3. 다같이 사는 민주당 | 으헤헤 3
4. 이터널 유토피아당 | 엥스 5
5. 자유보수당 | 루툽 4
◇키이우◇
2. 농민연합 | 다블 2
5. 자유보수당 | 캐탈린 7
7. 무소속 | YunJ 3
♧빌뉴스♧
3. 다같이 사는 민주당 | 데빌구 6
5. 자유보수당 | 안철수 6
☆민스크☆
3. 다같이사는민주당 | 회의주의자 4
5. 자유보수당 | 강해린 8
□ 비례대표 □
2. 농민 연합 3
3. 다같이 사는 민주당
4. 이터널 유토피아당 3
5. 자유보수당 5
6. 국가경제혁명당 1
출구조사 정확도
국왕 호헝이 출구조사의 정확도가 50%정도이니 믿지 말라고 하였던 것과는 다르게 막상 개표결과가 나오고보니 대략적인 정당별 의석 수와 빌뉴스를 제외한 지역구 결과는 맞혀서 상당히 높은 적중률을 기록했다.
투표율
00시 투표율 : 9.1% 08시 투표율 : 12.2% 12시 투표율 : 13.7% 18시 투표율 : 16.8% 20시 최종투표율 : 18.3%
시민권자에게만 투표권을 주는 대다수의 카국들과는 달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은 모든 국민들에게 투표권을 주기 때문에 투표율이 낮을 수 밖에 없다. 실제로 투표자 수만 놓고보면 24명이 투표하여 이번 총선에서 상당한 투표참여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개표 결과
자유보수당 : 96석
이터널 유토피아당: 33석
다같이사는민주당: 30석
농민연합 : 29석
국가경제혁명당: 12석
정당별 결과
자유보수당
당초 최대 145석...(말이되냐?)을 자신했던 것보다는 상당히 부진했고 ㅎㄱㅎ대표 또한 선거 결과에 대해 아쉬움을 드러냈으나, 기대가 과해서 그렇지 결과젓으론 96석으로 압도적인 원내 제 1당이 되었다. 여론조사 상으로, 자유보수당은 지지율 1위를 기록하고 있었으나, 선거 하루전날 이루어진, 다민당-농민련의 연대로 인해 자보당 지지자들은 민주-농민 두 당의 지지율을 합하면 자유보수당보다 높으니 자유보수당은 과반의석은 커녕 원내 제 3당까지 떨어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에 흽싸였었다. 그러나 개표결과를 까놓고 보니 다민당-농민련의 선거 연대는 생각보다 많은 지지를 얻지 못하였고 지역구에서 세 곳을 승리하여 여유롭게 원내 1당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특성으로 인해 비례에서 6석밖에 얻지 못하여 과반의석 확보에 실패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실제로 당 내부에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폐지하고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선거제도를 개편하자는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이터널 유토피아당
당초 엥스의 1인정당으로 시작하였고 지지율조차 여론조사에서 가장 낮게나오는 등 선거 참패가 예측되었으나, 비례대표에서 나쁘지 않은 표를 받았고 결정적으로 엥스 대표가 크라쿠프에서 루툽에게 깜짝승을 거두는 대이변을 펼치면서 총 33석으로 원내 2당에 자리에 올랐다. 다만 이터널유토피아당은 여타 정당에 비해 기반이 부족하고 엥스의 1인정당이기에 다음총선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으려면 엥스대표의 의회에서의 개인기 발휘가 필요하다.
다같이 사는 민주당
당초, 여조에서도 2위의 지지율을 유지하고 목표의석도 70석에서 100석을 예상하며 자유보수당과 함께 라이벌 구도를 형성했던 데빌구 대표의 다민당은 개표결과, 기대했던 지역구에서 대부분 2~3위로 낙선하여. 출구조사에서는 원외정당이 될 위기에 까지 쳐했다. 다행히도 빌뉴스에서 데빌구 대표가 자보당 안철수에게 한 표차 진땀승을 거두면서 완전히 참패하진 않았으나 기대에 크게 못미치는 결과를 거두었고 원내 3당으로 밀려났다
선거참패에 책임을 지고 데빌구 대표는 지지자들과 당원들에게 공식적으로 사죄의 뜻을 밝히기도 하였다.
농민연합
이전 국회에서 비례로만 33석을 내어 원내 2당 자리에 올랐던, 농민연합은 이번에도 비례로 29석을 내어 원내 4당에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사실 알고보면 원래 얻을 수 있었던 의석에 비해 훨씬 못 미치는 결과를 얻은 셈인데 바르샤바에서 제이미 안철수 후보가 아쉽게 낙선한 것은 물론이고, 다민당과 단일화를 한 비례대표에서 소수 다민당으로의 이탈표가 나오면서 비례로 29석을 얻었다. 전반적으로 본래 얻을 수 있었던 의석에 비해 못 미치는 결과를 얻은 셈이지만 준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도의 수혜를 톡톡히 받아 이번에도 비례로만 30석 가까히의 의석을 얻었다.
국가경제혁명당
가장 늦게 창당된 신당인 국가경제혁명당은 당대표인 동호가 바르샤바에서 저조한 득표율로 낙선한 것은 물론이고 비례대표에서도 낮은 득표를 얻었으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수혜를 받아 12석을 얻어 의회에 입성하였다.
지역구
비례대표
지역별 결과
논란 및 사건사고
여담
추가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