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정변: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border:2px solid #667700; max-width:450px; font-size:1.05em; text-align:center" ! colspan="2" style="background:#667700; color:#FFF; width:450px" | <big>8.15 정변</big><br><small>팔일오 정변</small> |- | colspan="2" | <div style="margin:-5px -9px> 파일:8.15 정변 사진.jpg |- ! colspan="2" style="background:#667700; color:#FFF" | 기간 |- | colspan="2" | 1945년 8월 15일 ~ 1945년 8월 16일 |- ! colspan=...)
(차이 없음)

2025년 4월 27일 (일) 15:04 판

8.15 정변
팔일오 정변

8.15 정변 사진.jpg

기간
1945년 8월 15일 ~ 1945년 8월 16일
장소
이응준 태극기.png 조선총독부 경성부[1]
원인
일본제국의 항복 이후, 대한제국복고회의 한반도 재탈환
교전 국가 및 세력
진압군 복고군
펼치기 · 접기
일본제국군(日本帝國軍)[2]
일본령 조선총독부
조선군[3]
대한제국 황가 일가
시민(市民)
대한제국 복고위원회
전력
조선군 대한제국 복고 청년단군
지휘관
아베 노부유키 이강
피해
10명 부상 8명 부상
영향
조선총독부 붕괴
대한제국 임시정부 수립
결과
대한민족의 자주적 국가 설립 시도
대한제국 임시정부 수립
  1. 現 대한제국 한성부
  2. 패잔병
  3. 한반도 주둔 일본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