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의 제국/전면 핵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8번째 줄: 38번째 줄:
<div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000; color: #000 border:2px solid #000; padding:20px 20px 20px 20px; box-shadow: 0px 0px 15px #000;"><span style="display: block;"></span>
<div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000; color: #000 border:2px solid #000; padding:20px 20px 20px 20px; box-shadow: 0px 0px 15px #000;"><span style="display: block;"></span>
== <span style="color:#0ff;">'''» 끝'''</span> ==
== <span style="color:#0ff;">'''» 끝'''</span> ==
<br><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font-size: 15px; color: #f00; text-shadow: 0 0 6px #f00;><span style="font-size: 25px;"><span style="font-weight: bold;">"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모스코비엔 국가판무관부에 대한 선전포고"</span></span><br>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이 시작됐다.<br><br>붉은 깃발은 다시 바람을 가르기 시작했다. 폐허 위에 세워진 소비에트 국가재건평의회는 멸망해가는 카자흐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손을 잡고, 러시아 전역에 흩어져 있던 무수한 지역 군벌들을 무력화하며 질서를 수립해나갔다. 혼란과 침묵의 시대를 끝낼 준비가, 그들 손에 의해 하나둘 차곡차곡 진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그들은 선언했다.<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붉은 심장이 잠든 그곳, 모스크바를 다시 우리의 품으로!"</span></span><br>모스크바 해방을 외치는 인민들의 환호는 하늘을 찔렀고, 각지의 노동자와 농민, 심지어 잔존하던 붉은 군대의 생존자들까지 재건평의회 아래로 집결했다. 반면, 대게르만국은 내부적으로 정치 엘리트 간의 파벌 갈등, 경제 통제의 실패, 동유럽 주둔군의 사기 저하 등 복합적인 문제로 심각한 균열을 겪고 있었다.<br><br>평의회는 이 순간을 놓치지 않았다. 붉은 군대는 순식간에 모스코비엔 국경을 돌파했고, 이어 오스트란트, 우크라이네 국가판무관부 전역에 걸쳐 무차별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독일 전쟁성은 예비 전력을 급히 동원했지만, 붉은 파도는 이미 국경선을 덮치고 있었다. 이에 대게르만국 전쟁성은 2차 세계대전 후 이례적으로 전시동원을 선포했고, 평의회 측에 최후통첩을 발송했다.<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즉시 퇴각 명령을 하달하지 않을 시, 그 후는 책임질 수 없을 것이다."'''</span></span><br><br>그러나, 돌아온 응답은 단 하나였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border: 2px solid #f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x-shadow:0 0 8px #f00; float: center;"
|-
! colspan="3" style="text-align: left; font-weight: normal; background: #000; color: #f00; border: 0; box-shadow: inset 0 0 6px #f00;" | <br><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font-size: 15px; color: #f00; text-shadow: 0 0 6px #f00;><span style="font-size: 25px;"><span style="font-weight: bold;">"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모스코비엔 국가판무관부에 대한 선전포고"</span></span><br>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이 시작됐다.<br><br>붉은 깃발은 다시 바람을 가르기 시작했다. 폐허 위에 세워진 소비에트 국가재건평의회는 멸망해가는 카자흐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손을 잡고, 러시아 전역에 흩어져 있던 무수한 지역 군벌들을 무력화하며 질서를 수립해나갔다. 혼란과 침묵의 시대를 끝낼 준비가, 그들 손에 의해 하나둘 차곡차곡 진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그들은 선언했다.<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붉은 심장이 잠든 그곳, 모스크바를 다시 우리의 품으로!"</span></span><br>모스크바 해방을 외치는 인민들의 환호는 하늘을 찔렀고, 각지의 노동자와 농민, 심지어 잔존하던 붉은 군대의 생존자들까지 재건평의회 아래로 집결했다. 반면, 대게르만국은 내부적으로 정치 엘리트 간의 파벌 갈등, 경제 통제의 실패, 동유럽 주둔군의 사기 저하 등 복합적인 문제로 심각한 균열을 겪고 있었다.<br><br>평의회는 이 순간을 놓치지 않았다. 붉은 군대는 순식간에 모스코비엔 국경을 돌파했고, 이어 오스트란트, 우크라이네 국가판무관부 전역에 걸쳐 무차별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독일 전쟁성은 예비 전력을 급히 동원했지만, 붉은 파도는 이미 국경선을 덮치고 있었다. 이에 대게르만국 전쟁성은 2차 세계대전 후 이례적으로 전시동원을 선포했고, 평의회 측에 최후통첩을 발송했다.<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즉시 퇴각 명령을 하달하지 않을 시, 그 후는 책임질 수 없을 것이다."'''</span></span><br><br>그러나, 돌아온 응답은 단 하나였다.
열지도 않은, 찢어진 통첩문서와, 그리고 다시 터져 나온 구호:<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Вперёд за Союз! УРА!!”</span> (연방을 위하여 전진하라! 만세!!!)</span><br><br>평의회는 선택을 마쳤다. 통일이 눈앞에 있었다. 수십 년간 사라졌던 하나의 이름, 하나의 깃발, 하나의 조국을 다시 부르짖을 수 있는 역사적 기회였다. 인민은 전진했고, 붉은 군대는 베오그라드- 아니, '''스탈린그라드'''까지 내려가기 시작했다.<br><br>그리고, 대게르만국은 마침내 결정을 내렸다.<br><br><br><br><br><br><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미사일을 운반하고,"</span></span><br><br><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발사대의 각도를 조정하며,"</span></span><br><br><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버튼을 눌렀다."</span></span><br><br><br><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font-size: 15px; color: #f00; text-shadow: 0 0 6px #f00;>대지가 요동치고, 하늘이 타올랐다.<br>동유럽과 중앙아시아, 중동과 북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 전역의 주요 도시들이 낙진에 휩싸였고, 수천만 명의 생명이 단 몇 시간 만에 사라졌다. 아인하이츠팍트의 선제 핵공격은 일방적인 선전포고이자 인류에 대한 경고였으며, 동시에 유럽 문명의 자살 행위였다.<br><br>미국 대통령은 긴급 연설을 통해 이를 규탄했다.<br>
열지도 않은, 찢어진 통첩문서와, 그리고 다시 터져 나온 구호:<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Вперёд за Союз! УРА!!”</span> (연방을 위하여 전진하라! 만세!!!)</span><br><br>평의회는 선택을 마쳤다. 통일이 눈앞에 있었다. 수십 년간 사라졌던 하나의 이름, 하나의 깃발, 하나의 조국을 다시 부르짖을 수 있는 역사적 기회였다. 인민은 전진했고, 붉은 군대는 베오그라드- 아니, '''스탈린그라드'''까지 내려가기 시작했다.<br><br>그리고, 대게르만국은 마침내 결정을 내렸다.<br><br><br><br><br><br><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미사일을 운반하고,"</span></span><br><br><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발사대의 각도를 조정하며,"</span></span><br><br><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버튼을 눌렀다."</span></span><br><br><br><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font-size: 15px; color: #f00; text-shadow: 0 0 6px #f00;>대지가 요동치고, 하늘이 타올랐다.<br>동유럽과 중앙아시아, 중동과 북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 전역의 주요 도시들이 낙진에 휩싸였고, 수천만 명의 생명이 단 몇 시간 만에 사라졌다. 아인하이츠팍트의 선제 핵공격은 일방적인 선전포고이자 인류에 대한 경고였으며, 동시에 유럽 문명의 자살 행위였다.<br><br>미국 대통령은 긴급 연설을 통해 이를 규탄했다.<br>
<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대게르만국의 핵무기 사용은 단지 유럽 내부의 전쟁이 아니라, 세계를 향한 공격이며, 우리 모두를 향한 도발이다.”</span></span><br><br>그리고 그날 이후, 사람들은 묻기 시작했다.<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이 전쟁은 무엇을 남겼는가?<br><br>그리고, 누가 이 잿더미 위에 설 것인가?"</span></span>
<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대게르만국의 핵무기 사용은 단지 유럽 내부의 전쟁이 아니라, 세계를 향한 공격이며, 우리 모두를 향한 도발이다.”</span></span><br><br>그리고 그날 이후, 사람들은 묻기 시작했다.<br><br><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25px;">"이 전쟁은 무엇을 남겼는가?<br><br>그리고, 누가 이 잿더미 위에 설 것인가?"</span></span>
</span></span>
</span></span>
|-
|}

2025년 5월 5일 (월) 23:32 기준 최신판


Wir brechen niemals zusammen. Unsere Stärke ist unendlich.
우리는 결코 무너지지 않는다. 우리의 힘은 무한하다.
– 요제프 괴벨스, 1942
광명의 제국우리 시대의 종말
Made by Aurora


현 문서는 작품의 엔딩으로써 작품의 강한 스포일러를 가집니다.
작품을 천천히 즐기고 싶다면, 다른 문서로 돌아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광명의 제국 로고.png
[ 주요 정보 ][ 국가 ][ 설정 ][ 기타 정보 ]
World News Department

- 소식은 없다 애송이!!!


우리 시대의 종말을 맞이한다.
광명의 제국 세로 독일 국기.png
광명의 제국 세로 한국 국기.png
광명의 제국 세로 미국 국기.png
광명의 제국 세로 이탈리아 국기.png
Großgermanisches Reich대게르만국 大韓國대한국 United States of America미합중국 Impero Italiano이탈리아 제국
광명의 제국 세로 독일 국기.png
대게르만국
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의 승리를 통해 유럽 대륙의 패권을 장악한 초강대국으로, 아인하이츠팍트를 주도하며 유럽 질서를 재편하였다. 스스로를 ‘유럽의 주인’이라 자처하는 대게르만국은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와 군사력을 바탕으로 동유럽과 북유럽을 영향권 아래 두고 있으며, 이탈리아 제국과는 유럽 내 패권을 두고 긴장된 경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전후 복구와 재건 과정을 통해 대게르만국은 뛰어난 기술력과 산업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였고, 내부적으로는 철저한 감시 체제와 선전 정치를 통해 체제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 외교적으로는 아인하이츠팍트 소속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며 사실상 위성국 수준으로 통제하고 있으며, 경제와 문화 분야에서도 독자적인 질서를 구축하여 유럽 전역에 걸쳐 '게르만식 질서'를 확산시키고 있다. 대게르만국의 수도 베를린은 현재 단순한 행정 중심지를 넘어, 정치·외교·기술의 심장부로 자리 잡고 있으며, 유럽 각국의 주요 결정이 이곳을 거쳐 이루어진다. 또한 군사적으로는 전역 배치된 고도로 기계화된 군대와 정예 친위대, 전략 무기 체계를 바탕으로 전 유럽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Project Z 화살표 백색.png 자세한 내용은 독일 민족의 대게르만국 문서 내용을 참고하세요.
광명의 제국 세로 한국 국기.png
대한국
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군사력을 바탕으로 동아시아의 중심 강국으로 부상한 초강대국으로, 공영권을 주도하며 아시아 질서를 재편하였다.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만주, 연해주, 중화 남부 등지를 영향권 아래 두고 있으며, 아메리카 및 유럽 세력과는 세계 패권을 두고 긴장된 경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전후 복구와 재건 과정을 통해 대한국은 자국 중심의 기술·과학 개발을 추진하며 빠르게 성장하였고, 내부적으로는 국가주의 이념과 정교한 선전 체계를 통해 체제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 외교적으로는 공영권 소속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며 사실상 위성국 수준으로 통제하고 있으며, 경제와 문화 분야에서도 ‘대동아 문화권’을 조성하여 동아시아 전역에 걸쳐 대한국 중심의 질서를 확산시키고 있다. 대한국의 수도 한성은 현재 단순한 행정 중심지를 넘어, 정치·외교·기술의 심장부로 자리 잡고 있으며, 공영권 내 주요 결정이 이곳을 거쳐 이루어진다. 또한 군사적으로는 전역에 배치된 고도로 기계화된 군대와 특수 기동대, 전략 무기 체계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Project Z 화살표 백색.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국 문서 내용을 참고하세요.
광명의 제국 세로 미국 국기.png
미합중국
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유주의 진영의 핵심 국가로 자리잡은 초강대국으로, 콩코드 연합을 주도하며 전통적인 민주주의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강력한 연방 체제와 방대한 경제력을 기반으로 북미 전역은 물론, 태평양과 서유럽 일부 지역까지 영향권 아래 두고 있으며, 유럽 및 아시아 권역의 권위주의 진영과는 세계 질서를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전후 군수산업과 정보기술을 중심으로 급격한 발전을 이룬 미국은 글로벌 금융과 문화의 중심지로 부상하였고, 내부적으로는 민주주의 제도를 유지하면서도 전략적 이해에 따라 정보기관과 국방 기구를 강화해왔다. 외교적으로는 콩코드 연합 소속 국가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 방위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세계 각지에서 개입을 통해 자유주의 가치 확산을 추구하고 있다.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는 국제 정치와 외교 전략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으며, 주요 국제 기구 및 연합 의사 결정의 본거지 역할을 하고 있다. 군사적으로는 전 세계에 걸쳐 구축된 해외 기지망과 항공모함 전단, 첨단 전략 무기를 통해 지구 전역에 투사 가능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Project Z 화살표 백색.png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문서 내용을 참고하세요.
광명의 제국 세로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제국
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남유럽과 북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한 초강대국으로, 메리디아 조약기구를 주도하며 지중해 중심의 질서를 구축하고 있다. 강한 황제권과 국가주의적 이념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 체제를 유지하며, 발칸 반도와 마그레브 지역을 영향권 아래 두고 있다. 대게르만국과는 유럽 내 패권을 두고 지속적인 긴장과 경쟁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중해의 ‘로마적 부흥’을 이상으로 내세우며 문명 전통의 계승을 강조하고 있다. 전후 대규모 국책 사업과 식민지 자원의 수탈을 통해 급속한 산업화를 달성하였고, 내부적으로는 황제 중심의 권위주의 체제 아래 정교한 감시와 검열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 외교적으로는 메리디아 조약기구 소속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며 제국의 이념을 확산시키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자급자족적 블록 경제를 추진하면서도 주변국과의 무역망을 통해 해양 패권을 공고히 하고 있다. 수도 로마는 제국의 정치·종교·문화의 중심지로서 고대와 현대가 혼재된 상징적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유럽 남부 및 아프리카 북부에 걸친 주요 결정들이 이곳에서 내려지고 있다. 군사적으로는 해군력을 중심으로 한 전방위 전략을 전개하고 있으며, 해외 식민지와 영향권 국가들에 대한 주둔 및 개입을 통해 지중해 일대를 사실상 통제하고 있다.

Project Z 화살표 백색.png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 제국 문서 내용을 참고하세요.
광명의 제국 일반 지도.png
아인하이츠팍트
대게르만국 (광명의 제국).jpg
핀란드 공화국 (광명의 제국).jpg
부르군트 SS국 (광명의 제국).jpg
브르타뉴 국민국 (광명의 제국).jpg
프랑스국 (광명의 제국).jpg
루마니아 왕국 (광명의 제국).jpg
헝가리 왕국 (광명의 제국).jpg
슬로바키아국 (광명의 제국).jpg
뵈멘 메렌 보호령 (광명의 제국).png
총독부 (광명의 제국).jpg
모스코비엔 국가판무관부 (광명의 제국).jpg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광명의 제국).jpg
우크라이네 국가판무관부 (광명의 제국).png
카우카지엔 국가판무관부 (광명의 제국).jpg
노르베겐 국가판무관부 (광명의 제국).jpg
브리튼 국가판무관부 (광명의 제국).jpg
퀘벡 국가판무관부 (광명의 제국).png
미텔아프리카 국가판무관부 (광명의 제국).jpg
쥐트아프리카 국가판무관부 (광명의 제국).jpg
공영권
오로라 대한국 국기.png
만주직할령 (광명의 제국).png
북해도 자치구 (광명의 제국).png
구주통감부 (광명의 제국).png
외몽고 자치구 (광명의 제국).png
화태 자치령 (광명의 제국).png
천도부 (광명의 제국).png
유구왕국 (광명의 제국).png
화령국 (광명의 제국).png
경화국 (광명의 제국).png
남왜국 (광명의 제국).png
북양군벌 (광명의 제국).png
섬서군벌 (광명의 제국).png
산서군벌 (광명의 제국).png
직례군벌 (광명의 제국).png
산동군벌 (광명의 제국).png
운남군벌 (광명의 제국).png
광서군벌 (광명의 제국).png
중화민국 (광명의 제국).png
메리디아 조약기구
이탈리아 제국 (광명의 제국).png
이베리아 왕국 (광명의 제국).png
튀르크 제국 (광명의 제국).png
불가리아 왕국 (광명의 제국).png
세르비아 구국정부 (광명의 제국).png
몬테네그로 왕국 (광명의 제국).png
헬라스 보호령 (광명의 제국).png
알바니아 보호령 (광명의 제국).png
크로아티아국 (광명의 제국).png
이탈리아령 이집트 왕국 (광명의 제국).png
이탈리아령 리비아 군관구 (광명의 제국).png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군관구 (광명의 제국).png
이탈리아령 레반트 총독부 (광명의 제국).png
이탈리아령 아라비아 연합왕국 (광명의 제국).png
콩코드 협상국
미합중국 (광명의 제국).png
브리튼 재건위원회 (광명의 제국).png
프랑스 공화국 (광명의 제국).png
캐나다 자치령 (광명의 제국).png
브라질 합중국 (광명의 제국).png
벵골 공화국 (광명의 제국).png
인도 공화국 (광명의 제국).png
필리핀 공화국 (광명의 제국).png
오세아니아 자치행정위원회 (광명의 제국).png
몰루
몰루
Made by Aurora
All Rights Reversed.


문화재단 이음 글자.png 본 문서는 문화재단 이음이 함께합니다.
문서에 대한 반달행위 및 기타 무례한 행위를 금합니다.


Mobile-screen-button-solid-white.svg Right-long-solid-white.svg Display-solid-white.svg
모바일 열람이 감지되었습니다.
PC 환경에서의 열람을 권장합니다.


문서 목차
1.


전 면 핵 전 쟁ALL-OUT THERMONUCLEAR WAR


작품의 몰입도를 위해 재생을 추천드립니다. 재생전 알맞게 소리를 조절하여 주십시오.

» 끝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모스코비엔 국가판무관부에 대한 선전포고"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이 시작됐다.

붉은 깃발은 다시 바람을 가르기 시작했다. 폐허 위에 세워진 소비에트 국가재건평의회는 멸망해가는 카자흐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손을 잡고, 러시아 전역에 흩어져 있던 무수한 지역 군벌들을 무력화하며 질서를 수립해나갔다. 혼란과 침묵의 시대를 끝낼 준비가, 그들 손에 의해 하나둘 차곡차곡 진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그들은 선언했다.

"붉은 심장이 잠든 그곳, 모스크바를 다시 우리의 품으로!"
모스크바 해방을 외치는 인민들의 환호는 하늘을 찔렀고, 각지의 노동자와 농민, 심지어 잔존하던 붉은 군대의 생존자들까지 재건평의회 아래로 집결했다. 반면, 대게르만국은 내부적으로 정치 엘리트 간의 파벌 갈등, 경제 통제의 실패, 동유럽 주둔군의 사기 저하 등 복합적인 문제로 심각한 균열을 겪고 있었다.

평의회는 이 순간을 놓치지 않았다. 붉은 군대는 순식간에 모스코비엔 국경을 돌파했고, 이어 오스트란트, 우크라이네 국가판무관부 전역에 걸쳐 무차별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독일 전쟁성은 예비 전력을 급히 동원했지만, 붉은 파도는 이미 국경선을 덮치고 있었다. 이에 대게르만국 전쟁성은 2차 세계대전 후 이례적으로 전시동원을 선포했고, 평의회 측에 최후통첩을 발송했다.

"즉시 퇴각 명령을 하달하지 않을 시, 그 후는 책임질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돌아온 응답은 단 하나였다.

열지도 않은, 찢어진 통첩문서와, 그리고 다시 터져 나온 구호:
“Вперёд за Союз! УРА!!” (연방을 위하여 전진하라! 만세!!!)

평의회는 선택을 마쳤다. 통일이 눈앞에 있었다. 수십 년간 사라졌던 하나의 이름, 하나의 깃발, 하나의 조국을 다시 부르짖을 수 있는 역사적 기회였다. 인민은 전진했고, 붉은 군대는 베오그라드- 아니, 스탈린그라드까지 내려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대게르만국은 마침내 결정을 내렸다.







"미사일을 운반하고,"



"발사대의 각도를 조정하며,"



"버튼을 눌렀다."


대지가 요동치고, 하늘이 타올랐다.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중동과 북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 전역의 주요 도시들이 낙진에 휩싸였고, 수천만 명의 생명이 단 몇 시간 만에 사라졌다. 아인하이츠팍트의 선제 핵공격은 일방적인 선전포고이자 인류에 대한 경고였으며, 동시에 유럽 문명의 자살 행위였다.

미국 대통령은 긴급 연설을 통해 이를 규탄했다.
“대게르만국의 핵무기 사용은 단지 유럽 내부의 전쟁이 아니라, 세계를 향한 공격이며, 우리 모두를 향한 도발이다.”

그리고 그날 이후, 사람들은 묻기 시작했다.

"이 전쟁은 무엇을 남겼는가?

그리고, 누가 이 잿더미 위에 설 것인가?"